목차
T형 라멘교 설계
[1] 설계조건
[2] 슬래브의 지간
[3] 고정하중모멘트
[4] 활하중모멘트
[5] 충격
[6] 인장철근량 계산
[7] 배력철근
[8] 단부보
[1] 설계조건
[2] 슬래브의 지간
[3] 고정하중모멘트
[4] 활하중모멘트
[5] 충격
[6] 인장철근량 계산
[7] 배력철근
[8] 단부보
본문내용
의한 모멘트는
총 모멘트
[6] 인장철근량 계산
주철근으로 D29(공칭지름 28.6mm)를 사용하기로 하고 피복두께를 60mm로 하면
콘크리트 응력사각형의 깊이 a=50mm로 가정하면
c=50/0.85 = 59mm이므로 철근의 순 인장변형률은 식 (5.6b)로부터
, 이므로 이다.
단위폭당 소요철근량은
이에 대하여 D29(642.4㎟)를 15cm 간격으로 배치하면 단위폭당 철근량은
3단배치하면
a를 검사하면
a=56mm
철근비 검사
즉 이므로 철근량은 적당하다.
[7] 배력철근
주철근이 차량 진행방향에 평행이므로
% <50%
따라서 필요한 배력 철근량은
이에 대하여 D19를 20cm간격으로 주철근에 직각방향으로 주철근 위에 배치한다.
[8] 단부보
자중
계수 고정하중 모멘트
계수 활하중 모멘트
총 모멘트
[6] 인장철근량 계산
주철근으로 D29(공칭지름 28.6mm)를 사용하기로 하고 피복두께를 60mm로 하면
콘크리트 응력사각형의 깊이 a=50mm로 가정하면
c=50/0.85 = 59mm이므로 철근의 순 인장변형률은 식 (5.6b)로부터
, 이므로 이다.
단위폭당 소요철근량은
이에 대하여 D29(642.4㎟)를 15cm 간격으로 배치하면 단위폭당 철근량은
3단배치하면
a를 검사하면
a=56mm
철근비 검사
즉 이므로 철근량은 적당하다.
[7] 배력철근
주철근이 차량 진행방향에 평행이므로
% <50%
따라서 필요한 배력 철근량은
이에 대하여 D19를 20cm간격으로 주철근에 직각방향으로 주철근 위에 배치한다.
[8] 단부보
자중
계수 고정하중 모멘트
계수 활하중 모멘트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