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보육시설 평가인증
Ⅱ. 평가인증의 필요성
Ⅲ. 평가인증제도의 특징
Ⅳ. 평가인증과정
Ⅴ. 평가인증제도의 기대효과
Ⅵ. 참여대상
Ⅶ. 건강과 영양 평가인증내용
Ⅱ. 평가인증의 필요성
Ⅲ. 평가인증제도의 특징
Ⅳ. 평가인증과정
Ⅴ. 평가인증제도의 기대효과
Ⅵ. 참여대상
Ⅶ. 건강과 영양 평가인증내용
본문내용
를 영아 한명 갈이 시 마다 닦고 소독해야 함
-갈이 대 위에 깔개를 두어 사용하더라도 깔개를 갈이시마다 교체해 주거나 영아 한명 갈이 시 마다 닦고 소독해야 함
-기저귀 갈이 매트, 깔개의 경우 보육실에 기저귀 갈이 영역을 구성해 깔아두어도 되지만, 돌돌 말아 보관하는 경우 사용 시 매트가 말리지 않도록 보관방법을 고려해야 함
-기저귀 갈이 시 비닐장갑이나 손소독제를 사용하여도 되지만 반드시 마지막 정리 후에는 손을 씻어야 함(영아 한명 갈이시마다 비닐장갑 바꿔 끼우기 또는, 손소독제 사용)
3. 식재료
①급간식 유통기한도 중요하지만 교사의 개인음식, 영아가 가정에서 가져온 개인 음식 또한 유통기한이 매우 중요함
②영아 개별음식을 싸오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부득이한 경우 가정에서 가지고 왔을 때 유통기한을 반드시 확인하는 것이 필요
③우유는 상온에 오래 두어서는 안 됨
④개별음식을 먹이는 경우에는 기록을 해두는 것이 필요함
⑤교사 약의 경우 교사 장이나 가방 속에 보관해야 하며 보육실에 두어서는 절대 안 됨
⑥급간식 재료의 경우 구입일이 중요한 것이 아니라 유통기한이 중요함을 알고 수시로 유통기한을 확인하고 관리하는 것이 중요함
⑦빈 양념 통은 무조건 폐기 하여야 하며 유통기한이 지난 양념 통에 조금이라도 잔여물이 남아있으면 유통기한이 지난 재료를 사용하는 것으로 간주됨
4. 손 씻기, 양치질
①손 씻기, 양치질을 교사도 해야 함. 영유아에게 올바른 모델링
②만 0세의 경우에도 양치질 지도 반드시 해야 함. 거즈나 양치질용 물티슈, 손가락 칫솔, 영영아용 칫솔을 이용
③교사 손 수시로 씻기(코 닦아 준 후, 전염성 질병이나 상처 확인 후, 투약전후, 급간식 전후, 기저귀 갈이 전후 등)
5. 낮잠
①낮잠 요의 경우 공동사용이 가능하며, 개별 침구를 가지고 오지 않는 영유아가 있을 수도 있기 때문에 원에서 사용하는 여분의 침구가 마련되어 있어야 함
②낮잠 매트를 깔 때 매트간 거리를 어느 정도 두어야 함
6. 구급약품
①원에서는 구급약품을 관리하고 보관해야 하는데, 반드시 어떤 약품을 관리, 보관해야 한다는 항목은 없음
-약품의 종류가 평가 대상이 아님
②해열제와 먹는 약의 경우는 원의 원칙에 따라 보관하여도 되고, 보관하지 않아도 됨
③실외활동, 현장학습 시에도 반드시 구급약품을 챙겨야 함
④영유아의 투약은 반드시 정확하게 작성된 투약의뢰서에 의해 이루어져야 함
⑤1회 투약할 분량만 담아 가지고 오는 것이 좋음 (약물남용의 우려가 있음)
-약이 남은 경우 교사가 하원시간이 되어 가방에 정리해주었는데 영유아가 꺼내서 먹게 될 위험성이 있음
-교육으로 가방 안 약품을 꺼내거나 먹지 않도록 지도가 불가능한 영아반의 경우 약품을 가방 안에 보관 시 가방을 손이 닿지 않는 곳에 보관하는 것이 필요함
7. 정기적인 건강검진
①신체계측, 필수 예방접종 기록이 반드시 이루어져야 하며, 한명이라도 누락되어서는 안 됨
②영유아 뿐 아니라 원에 오래 머무는 사람, 교사, 교직원의 경우 건강검진서가 필요
③특기교사, 실습생, 봉사자와 같은 미 임용 보육교직원도 건강검진서가 필요함
-실습생이나 봉사자와 같이 원에서 머무는 시간이 짧은 경우 보건소에서 발급받는 보건증도 가능함
8. 급간식
①자연식품은 주 3회 제공해야 함 (자연식품이란 가공되지 않은 것)
②과일, 채소명이 구체적으로 기록되어야 하며 같은 과일이 반복적으로 나와서는 안 됨
③식사 후 먹는 후식 과일은 간식 횟수로 인정되지 않음
9. 건강
①몸이 아프거나 다친 영유아의 대책을 마련하여 교사가 숙지하고 있어야 하며, 부모에게 공지해야함
-전염성 환아 관리, 비상시 업무 분담표, 응급처치 방법 숙지 등
-갈이 대 위에 깔개를 두어 사용하더라도 깔개를 갈이시마다 교체해 주거나 영아 한명 갈이 시 마다 닦고 소독해야 함
-기저귀 갈이 매트, 깔개의 경우 보육실에 기저귀 갈이 영역을 구성해 깔아두어도 되지만, 돌돌 말아 보관하는 경우 사용 시 매트가 말리지 않도록 보관방법을 고려해야 함
-기저귀 갈이 시 비닐장갑이나 손소독제를 사용하여도 되지만 반드시 마지막 정리 후에는 손을 씻어야 함(영아 한명 갈이시마다 비닐장갑 바꿔 끼우기 또는, 손소독제 사용)
3. 식재료
①급간식 유통기한도 중요하지만 교사의 개인음식, 영아가 가정에서 가져온 개인 음식 또한 유통기한이 매우 중요함
②영아 개별음식을 싸오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부득이한 경우 가정에서 가지고 왔을 때 유통기한을 반드시 확인하는 것이 필요
③우유는 상온에 오래 두어서는 안 됨
④개별음식을 먹이는 경우에는 기록을 해두는 것이 필요함
⑤교사 약의 경우 교사 장이나 가방 속에 보관해야 하며 보육실에 두어서는 절대 안 됨
⑥급간식 재료의 경우 구입일이 중요한 것이 아니라 유통기한이 중요함을 알고 수시로 유통기한을 확인하고 관리하는 것이 중요함
⑦빈 양념 통은 무조건 폐기 하여야 하며 유통기한이 지난 양념 통에 조금이라도 잔여물이 남아있으면 유통기한이 지난 재료를 사용하는 것으로 간주됨
4. 손 씻기, 양치질
①손 씻기, 양치질을 교사도 해야 함. 영유아에게 올바른 모델링
②만 0세의 경우에도 양치질 지도 반드시 해야 함. 거즈나 양치질용 물티슈, 손가락 칫솔, 영영아용 칫솔을 이용
③교사 손 수시로 씻기(코 닦아 준 후, 전염성 질병이나 상처 확인 후, 투약전후, 급간식 전후, 기저귀 갈이 전후 등)
5. 낮잠
①낮잠 요의 경우 공동사용이 가능하며, 개별 침구를 가지고 오지 않는 영유아가 있을 수도 있기 때문에 원에서 사용하는 여분의 침구가 마련되어 있어야 함
②낮잠 매트를 깔 때 매트간 거리를 어느 정도 두어야 함
6. 구급약품
①원에서는 구급약품을 관리하고 보관해야 하는데, 반드시 어떤 약품을 관리, 보관해야 한다는 항목은 없음
-약품의 종류가 평가 대상이 아님
②해열제와 먹는 약의 경우는 원의 원칙에 따라 보관하여도 되고, 보관하지 않아도 됨
③실외활동, 현장학습 시에도 반드시 구급약품을 챙겨야 함
④영유아의 투약은 반드시 정확하게 작성된 투약의뢰서에 의해 이루어져야 함
⑤1회 투약할 분량만 담아 가지고 오는 것이 좋음 (약물남용의 우려가 있음)
-약이 남은 경우 교사가 하원시간이 되어 가방에 정리해주었는데 영유아가 꺼내서 먹게 될 위험성이 있음
-교육으로 가방 안 약품을 꺼내거나 먹지 않도록 지도가 불가능한 영아반의 경우 약품을 가방 안에 보관 시 가방을 손이 닿지 않는 곳에 보관하는 것이 필요함
7. 정기적인 건강검진
①신체계측, 필수 예방접종 기록이 반드시 이루어져야 하며, 한명이라도 누락되어서는 안 됨
②영유아 뿐 아니라 원에 오래 머무는 사람, 교사, 교직원의 경우 건강검진서가 필요
③특기교사, 실습생, 봉사자와 같은 미 임용 보육교직원도 건강검진서가 필요함
-실습생이나 봉사자와 같이 원에서 머무는 시간이 짧은 경우 보건소에서 발급받는 보건증도 가능함
8. 급간식
①자연식품은 주 3회 제공해야 함 (자연식품이란 가공되지 않은 것)
②과일, 채소명이 구체적으로 기록되어야 하며 같은 과일이 반복적으로 나와서는 안 됨
③식사 후 먹는 후식 과일은 간식 횟수로 인정되지 않음
9. 건강
①몸이 아프거나 다친 영유아의 대책을 마련하여 교사가 숙지하고 있어야 하며, 부모에게 공지해야함
-전염성 환아 관리, 비상시 업무 분담표, 응급처치 방법 숙지 등
추천자료
[영유아보육]영유아보육사업 발달, 영유아보육교사 작업환경, 영유아보육프로그램, 영유아보...
[영유아보육]영유아보육(영유아보육정책) 비전, 영유아보육(영유아보육정책) 현황, 보육시설...
보육의 개념과 목적, 보육의 필요성, 보육시설의 현황, 에듀케어(유치원보육, 교육)의 개념, ...
보육과 지역사회(보육과 지역사회와의 교류,연계, 협력방법, 성공적인 보육시설 프로그램, 활...
[보육학개론] 보육시설종사자 교육 - 사전교육(보육교사 2급, 보육교사 3급)과 보수교육(보수...
보육시설 종사자 중 보육교사와 시설장에게 기대되는 역할과 개인적 자질과 전문적 자질에 대...
보육학개론- 보육시설 종사자의 역할과 자질 및 보육시설 종사자의 관리
[보육학개론] 보육기관의 운영관리 - 설치 및 설비관리, 운영관리, 원아모집관리, 사무관리, ...
영유아 보육정책_사회복지정책, 영유아보육개념, 보육시설, 영유아보육문제, 개선과제
보육시설의 실내, 실외 안전관리에 대해 어떻게 교육하면 좋을지에 대해 서술
[보육학개론] 양질의 보육을 위한 효과적인 운영을 위한 「보육시설(保育施設) 운영 관리 영...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