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위(stomach)의 위치, 구조와 기능
1. 대장의 해부
2. 대장의 생리
1. 간의 구조와 기능
담도 췌장의 구조와 기능
1. 대장의 해부
2. 대장의 생리
1. 간의 구조와 기능
담도 췌장의 구조와 기능
본문내용
쌓여 두통, 구역질 등 여러 가지 증상이 나타나는데 이러한 증상이 다음날까지 지속되는 것을 숙취라고 한다. 또한 음식물에 포함된 단백질은 몸속에서 대사되어 암모니아를 발생시?? 통해 배설시키는 역할을 한다. 만약 간경변증 등에 간 기능이 나빠 혈액 속에 암모니아가 증가하면 중추신경계에 독성을 나타내어 간성혼수를 일으키게 된다.
2) 생합성작용
소화관에서 흡수된 포도당의 60%는 간에서 글리코겐으로 전환되어 저장되고, 운동을 하게 되면 근육세포는 포도당을 산화시켜 에너지를 생성하며 유산을 만들게 되는데 마찬가지로 글리코겐으로 변환되어 저장되게 된다.
저장된 글리코겐은 혈중 당 농도가 떨어지면 다시 포도당으로 되어 혈당량을 조절하게 된다. 간자체의 단백질은 물론 알부민, 피브리노겐, 프로트롬빈 등 혈장단백질도 대부분 간에서 만들어 지는데 간이 장애를 받으면 이들 혈장단백질 특히 알부민이 감소하게 된다. 그 외 간은 지질, 지방산, 콜레스테롤과 비타민 등을 생합성한다.
3) 분비 배출작용
하루에 분비되는 담즙의 양은 500~1,000mL 정도로 간세포에서 생성되어 십이지장으로 배출된다. 담즙은 소화효소는 함유되어 있지 않으나 지방분을 소화할 수 있을 정도로 작은 수용성입자로 분해하고 지용성비타민, 철과 칼슘을 흡수시킨다. 담즙은 또한 지방질의 퇴적물을 씻어주어 간장의 여러 통로를 막히지 않게 해준다.
4) 조혈 및 혈액량 조정
혈액을 저장하고 필요에 따라 방출하는 역할을 한다. 적혈구를 구성하는 철분을 저장하고 항빈혈인자인 비타민 B12도 저장한다. 매초 천 만개의 적혈구가 수명을 다하는데 수명이 다한 적혈구는 비장, 골수 및 간의 세망 내피계에서 파괴된다. 헤모글로빈은 화학반응을 받아 빌리루빈으로 되고 유리된 철은 간에 저장된다. 빌리루빈은 간을 거쳐 담즙으로 배출되어 신장에서 요중으로 배설된다. 장관으로 나온 빌리루빈은 장내세균에 의해 환원되어 우로빌리노겐이 되어 대변을 착색하게 되고 일부는 장으로 흡수되어 문맥을 거쳐 간에 도달하고 다시 장관내로 담즙과 함께 배출되는데 이를 장관순환이라 한다.
간기능검사(Liver function test)와 여러 증상 간장질환은 그 종류가 매우 많다. 그 중 바이러스성 간염과 만성간염 그리고 간경변증이 가장 많이 볼 수 있다. 간의 기능이 대부분 효소활동에 의해 나타나고 효소의 대부분은 단백질로 되어있어 단백질을 충분히 먹지 못하면 간내 단백질은 감소되고, 간의 활동은 저하된다.
담도 췌장의 구조와 기능
1) 췌장의 구조
췌장은 소화기 장기 중 후복막에 위치하고 있으며, 해부학적으로 십이지장, 하부담도 등과 한덩어리로 되어있으면서 위아래로는 복강동맥(celiac trunk), 상장간막동맥(superior mesenteric artery)으로부터 여러분지의 혈류를 공급받고 있다. 또한 대동맥과 대정맥을 바로 후방에 두고 있는 관계로 매우 복잡하게 신경 및 림프관 배액이 췌장주위로 뒤엉켜 있다.
췌장의 길이는 대략 18~28cm이며, 무게는 80~100g 정도이다. 크게 두부(head), 체부(body), 미부(tail)로 구분한다.
두부는 구상돌기를 포함하여 십이지장 내측으로부터 상장간막정맥 좌연까지의 부분이고, 체부는 두부좌측부터 대동맥 좌연까지로 정하고 체부의 좌측을 두부 좌측을 미부로 정의하고 있다.
2) 췌장의 기능
(1) 외분비 기능 : 소화액 분비 트립신(trypsin), 리파제(lipase), 아밀라제(amylase)
(2) 내분비 기능 : 혈중으로 호르몬 분비(인슐린,글루카곤,소마토스타틴)
3) Ampulla of vater
- 총담관과 췌장관이 십이지장으로 개구하기 전에 만나면서 늘어난 부위
- 오디 괄약근 : 자체적인 기능을 가지고 장액과 담즙및 췌장액의 역류를 서로 막아준다.
4) 담도(Billiary tract)
(1) 간에서 만들어진 지방소화에 관여하는 담즙을 십이지장까지 운반해주는 관구조의 통로
(2) 위치에 따른 분류 ① 간내담관(Intrahepatic Duct;IHD)
좌간관(Left hepatic duct),우간관(Right hepatic duct): 간에서 생산된 담즙을 간외담도 계로 배출하는 배관체계
② 담관
③ 간외담관(Extrahepatic bile duct)
- 간문부,총간관(commo hepatic duct;CHD),
- 총수담관(common bile duct;CBD),팽대부를 포함
④ 총담관(common duct):근위부인 총간관과 원위부인 총수담관으로 구분
2) 생합성작용
소화관에서 흡수된 포도당의 60%는 간에서 글리코겐으로 전환되어 저장되고, 운동을 하게 되면 근육세포는 포도당을 산화시켜 에너지를 생성하며 유산을 만들게 되는데 마찬가지로 글리코겐으로 변환되어 저장되게 된다.
저장된 글리코겐은 혈중 당 농도가 떨어지면 다시 포도당으로 되어 혈당량을 조절하게 된다. 간자체의 단백질은 물론 알부민, 피브리노겐, 프로트롬빈 등 혈장단백질도 대부분 간에서 만들어 지는데 간이 장애를 받으면 이들 혈장단백질 특히 알부민이 감소하게 된다. 그 외 간은 지질, 지방산, 콜레스테롤과 비타민 등을 생합성한다.
3) 분비 배출작용
하루에 분비되는 담즙의 양은 500~1,000mL 정도로 간세포에서 생성되어 십이지장으로 배출된다. 담즙은 소화효소는 함유되어 있지 않으나 지방분을 소화할 수 있을 정도로 작은 수용성입자로 분해하고 지용성비타민, 철과 칼슘을 흡수시킨다. 담즙은 또한 지방질의 퇴적물을 씻어주어 간장의 여러 통로를 막히지 않게 해준다.
4) 조혈 및 혈액량 조정
혈액을 저장하고 필요에 따라 방출하는 역할을 한다. 적혈구를 구성하는 철분을 저장하고 항빈혈인자인 비타민 B12도 저장한다. 매초 천 만개의 적혈구가 수명을 다하는데 수명이 다한 적혈구는 비장, 골수 및 간의 세망 내피계에서 파괴된다. 헤모글로빈은 화학반응을 받아 빌리루빈으로 되고 유리된 철은 간에 저장된다. 빌리루빈은 간을 거쳐 담즙으로 배출되어 신장에서 요중으로 배설된다. 장관으로 나온 빌리루빈은 장내세균에 의해 환원되어 우로빌리노겐이 되어 대변을 착색하게 되고 일부는 장으로 흡수되어 문맥을 거쳐 간에 도달하고 다시 장관내로 담즙과 함께 배출되는데 이를 장관순환이라 한다.
간기능검사(Liver function test)와 여러 증상 간장질환은 그 종류가 매우 많다. 그 중 바이러스성 간염과 만성간염 그리고 간경변증이 가장 많이 볼 수 있다. 간의 기능이 대부분 효소활동에 의해 나타나고 효소의 대부분은 단백질로 되어있어 단백질을 충분히 먹지 못하면 간내 단백질은 감소되고, 간의 활동은 저하된다.
담도 췌장의 구조와 기능
1) 췌장의 구조
췌장은 소화기 장기 중 후복막에 위치하고 있으며, 해부학적으로 십이지장, 하부담도 등과 한덩어리로 되어있으면서 위아래로는 복강동맥(celiac trunk), 상장간막동맥(superior mesenteric artery)으로부터 여러분지의 혈류를 공급받고 있다. 또한 대동맥과 대정맥을 바로 후방에 두고 있는 관계로 매우 복잡하게 신경 및 림프관 배액이 췌장주위로 뒤엉켜 있다.
췌장의 길이는 대략 18~28cm이며, 무게는 80~100g 정도이다. 크게 두부(head), 체부(body), 미부(tail)로 구분한다.
두부는 구상돌기를 포함하여 십이지장 내측으로부터 상장간막정맥 좌연까지의 부분이고, 체부는 두부좌측부터 대동맥 좌연까지로 정하고 체부의 좌측을 두부 좌측을 미부로 정의하고 있다.
2) 췌장의 기능
(1) 외분비 기능 : 소화액 분비 트립신(trypsin), 리파제(lipase), 아밀라제(amylase)
(2) 내분비 기능 : 혈중으로 호르몬 분비(인슐린,글루카곤,소마토스타틴)
3) Ampulla of vater
- 총담관과 췌장관이 십이지장으로 개구하기 전에 만나면서 늘어난 부위
- 오디 괄약근 : 자체적인 기능을 가지고 장액과 담즙및 췌장액의 역류를 서로 막아준다.
4) 담도(Billiary tract)
(1) 간에서 만들어진 지방소화에 관여하는 담즙을 십이지장까지 운반해주는 관구조의 통로
(2) 위치에 따른 분류 ① 간내담관(Intrahepatic Duct;IHD)
좌간관(Left hepatic duct),우간관(Right hepatic duct): 간에서 생산된 담즙을 간외담도 계로 배출하는 배관체계
② 담관
③ 간외담관(Extrahepatic bile duct)
- 간문부,총간관(commo hepatic duct;CHD),
- 총수담관(common bile duct;CBD),팽대부를 포함
④ 총담관(common duct):근위부인 총간관과 원위부인 총수담관으로 구분
추천자료
유치원 소화기계 보건교육안
노화에 따른 소화기계 변화와 간호중재
성인간호 소화기계 질환별 정리
호흡기계와 소화기계(위, 소장, 대장 등)
성인간호학 소화기계 article
성인간호학실습 소화기계
소화기계 요약 정리
소화기계 진단적 검사 (위장관계, 간담도췌장)
성인간호학 - 소화기계 (LES 자극요인, 식도염vs식도이완불능증)
[해부생리학] 혈액 생리
[전염병 관리방법] 소화기계 전염병(장티푸스,콜레라,세균성 식중독), 호흡기계 전염병(감기...
[소화기관] 소화기계(소화기)의 구조와 기능(구강, 인두, 식도, 위의 구조와 기능)
[소화기계질환의 치료식이요법] 위장질환의 식이요법 - 급성위염, 만성위염, 소화성궤양, 위...
소환기관(소화기계)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