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보안학 産業保安學] 바람직한 위기관리 프로세스 - 위기관리 계획의 수립과 효과적인 위기관리 모형, 위기관리 프로세스 구성 시 유의사항, 위기관리팀(Crisis Management Team)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산업보안학 産業保安學] 바람직한 위기관리 프로세스 - 위기관리 계획의 수립과 효과적인 위기관리 모형, 위기관리 프로세스 구성 시 유의사항, 위기관리팀(Crisis Management Team)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위기관리 계획의 수립

2. 효과적인 위기관리 모형

3. 위기관리 프로세스 구성 시 유의사항
 1) 전략적 기획(Strategic Planning)
 2) 효과적 위기관리 체계(Framework/Model)
 3) 폭넓은 이해관계자(Broader Stakeholder) 참여
 4) 상황적 접근(Contingencies)
 5) 비상연락(Emergency Communications) 체계
 6) 신뢰의 문제(Trust Issues)

4. 위기관리팀 (Crisis Management Team)

참고문헌

본문내용

은 모든 위기는 '신뢰’와 연관되는 문제일 수 있다고 주장한다. 이는 전통적인 위기에 대한 관점인 기업이나 조직은 위기의 피해자라는 시각과 상충되는 것이다. 기업 조직이 위기의 피해자라는 인식은 특히 자연재해의 경우 더더욱 사실로 여겨졌다. 그러나 최근에는 자연재해가 발생했을 경우라고 하더라도 그 기업 조직이 적절히 대비하지 못했을 경우에 비판받기도 한다. 즉, 해당위기를 야기했거나 또는 그 위기에 대한 대응을 어떻게 했느냐에 따라서 비난을 받거나 책임을 져야 한다는 시각이 팽배하다. 설령 어느 조직이 위기의 결과에 대해 직접적으로는 비난받지 않는다고 하더라도 대중으로부터의 신뢰를 잃을 가능성은 매우 높다.
4. 위기관리팀 (Crisis Management Team)
일반적으로 글로벌 기업 등에서 위기대응과 관련된 프로세스는 주로 위기관리팀(CMT: Crisis Management Team)이 수행하고 있다. 위기관리팀은 대체적으로 기업 등 조직 각 핵심 기능의 대표자들로 구성된다. 국내기업의 특성 상 바람직한 위기관리 체계의 정립을 위해 가장 시급히 요청되는 것이 바로 위기관리팀의 구성 및 관련 프로세스의 실행이라고 본다. 선진국 및 글로벌 기업의 경우에는 위기관리팀의 구성 및 운용이 필수적으로 요구되고 있으며, 실제 위기상황 발생 시에 효과적이고도 적절하게 위기관리와 관련한 의사결정이 제대로 이루어지고 또 사전에 정의된 역할 분담과 명확하게 규정된 프로세스에 따라 위기 대응을 할 수 있도록 평상시에 가상 시나리오 등을 통한 테스트(모의훈련: Table-top Exercise or Drill)를 정기적으로 실시하고 있다.
[그림 5] 위기관리팀(CMT)의 구성
다음의 [그림 5]는 IBM이나 GE 등과 같은 세계적인 글로벌 기업에서 전형적으로 운영하는 위기관리팀(CMT)의 구성5®을 그 예로 제시한 것으로서, 이는 해당 기업 조직의 사업적 특성과 지리적 공간적 환경 및 사업장의 특수성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대부분의 경우, 최고경영자(CEO)가 위기관리팀의 의장(Chair)을 맡아 최종적인 의사결정을 하게 되며, 기업 조직 내 핵심 기능의 대표자들이 위기관리팀의 팀원으로 참석하게 된다. 각 기업 · 조직에 따라 차이가 있을 수 있지만 대부분의 경우에 법무(Legal), 인사(HR), 재무(CFO), 홍보(Communications), 영업(Marketing/Sales), IT(CIO), 총무(General Services), 보안(Security) & 감사(Audit) 등의 직능 대표자들이 위기관리팀(CMT)의 주요 구성원이 된다.
이가 가장 바람직한 경우이다.
최근 들어 예전과 달리 위기상황들이 더욱 복잡해지고 지리적으로 다양하거나 혹은 동시다발적 양상을 띠게 됨에 따라 한 기업이나 조직의 위기관리팀이 다른 기업 조직이나 외부의 위기대응 관리팀들과 상호작용하게 되었다. 게다가 2005년 미국에서 발생한 허리케인 카트리나로 인한 피해시처럼 위기 당사자(조직)의 위기관리팀뿐만 아니라 정부기관 및 지역사회의 긴급대응 서비스 등도 이러한 위기대응 관리팀들 간의 네트워크에 참여하기도 한다.
유의할 점은 비록 위기관리팀이 적정하게 구성되었다고 하더라도 실제 위기상황에서 제대로 된 의사결정 프로세스가 이루어지고 사전에 위기관리팀 구성 당시 부여받은 직능별 역할을 동요 없이 효과적으로 수행하기 위해서는 평소 각각의 구체적 위기상황에 대한 가상 시나리오에 근거한 모의훈련(Drill/Testing)을 정기적으로 시행하여야 한다는 것이다. 이러한 모의훈련을 통해 상호 논의, 협조, 관찰, 문제 발견 및 검토 반성의 프로세스를 거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따라서 위기관리팀의 모의훈련 과정에 있어서 특별히 유의해야 할 사항들을 다음과 같이 정리해보았다.
첫째, 모의훈련을 통해 위기관리팀원들은 가상 시나리오의 '구조’가 아닌 '시나리오 자체의 문제점’ 파악에 노력해야 한다.
둘째, 모든 위기관리팀 구성원은 자신의 역할과 위기상황에 상관되는 대응 행동 조치가 무엇인가를 가상 시나리오를 통해 충분히 협의해야 한다.
셋째, 위기관리팀 모두의 의견이다 중요하다.
넷째, 위기관리팀은 각 핵심 기능별 부서에 소속된 직원들과도 함께 일해야 한다.
참고문헌
이창무, 김민지 저, 산업보안이론, 법문사 2013
최선태, CPP 저, 기업보안론(산업보안실무), 진영사 2014
현대호, 이호용 저, 산업기술 보호법, 법문사 2013
신제철, 김순석 저, 산업보안론, 그림 2013
  • 가격2,0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15.07.13
  • 저작시기2015.7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97676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