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보안 프로그램에 대한 이해
2. 보안 프로그램의 분류
1) 위험평가 및 분석(Risk Assessment/Analysis)
2) 보안관리(Security Management)
3) 보안의식 및 보안교육(Security Awareness & Education)
4) 보안컨설팅 및 보안감사(Security Consulting & Reviews)
5) 물리적 보안(Physical Security)
6) 정보보안(Information Protection)
7) 내부보안(Internal Security)
8) 사건 • 사고 관리 및 조사(Incident Management & Investigations)
9) 비상기획(Emergency Planning & Response)
10) 위기관리(Crisis/Disaster Management)
11) 사업 연속성 계획 지원(Business Continuity Planning)
12) 기업 내부 범죄 예방(Workplace Crime Prevention)
13) 테러 예방 및 대응 활동(Counterterrorism)
14) 폭발물 및 협박 대응(Bomb Threat Management/Response)
15) IT 보안(IT Security)
참고문헌
2. 보안 프로그램의 분류
1) 위험평가 및 분석(Risk Assessment/Analysis)
2) 보안관리(Security Management)
3) 보안의식 및 보안교육(Security Awareness & Education)
4) 보안컨설팅 및 보안감사(Security Consulting & Reviews)
5) 물리적 보안(Physical Security)
6) 정보보안(Information Protection)
7) 내부보안(Internal Security)
8) 사건 • 사고 관리 및 조사(Incident Management & Investigations)
9) 비상기획(Emergency Planning & Response)
10) 위기관리(Crisis/Disaster Management)
11) 사업 연속성 계획 지원(Business Continuity Planning)
12) 기업 내부 범죄 예방(Workplace Crime Prevention)
13) 테러 예방 및 대응 활동(Counterterrorism)
14) 폭발물 및 협박 대응(Bomb Threat Management/Response)
15) IT 보안(IT Security)
참고문헌
본문내용
nuity Planning)
① 기업 리스크 관리와 연계한 사업 연속성 계획의 지원(Support for BCP/BCM)
② 사업 영향 분석(Business Impact Analysis) 과정에의 참가
③ 재난 재해 복구계획 (Disaster Recovery Plan) 참여
12) 기업 내부 범죄 예방(Workplace Crime Prevention)
① 기업 기관 내부 도난/절도 예방 활동(Internal Theft Controls)
② 산업스파이 행위 예방(Anti-Espionage)
③ 사기/횡령/배임 등 내부자 범죄 감시(Economic Crime Monitoring & Control)
④ 사업장 내 폭력 방지(Preventing Workplace Violence)
⑤ 임직원의 마약류 및 약물 남용 예방(Drugs & Substance Abuse)
⑥ 부당 노동 쟁의 관련(Labor Disputes)
⑦ 제3자로부터의 범죄 예방 (Duty to Protect from Third-Party Crime)
13) 테러 예방 및 대응 활동(Counterterrorism)
① 테러 예방 활동 및 대응 절차 수립(Counter-terror Process)
② 테러 대응 임직원 교육 및 모의훈련 실시(Education and Training)
③ 생화학 테러 예방 및 대응(Countermeasures against Bio-Terrorism)
④ 군 경찰. 정보기관 등 테러 관련 기관 부처와의 연계 (Liaison and Cooperation)
14) 폭발물 및 협박 대응(Bomb Threat Management/Response)
① 폭발물 대응 프로세스 관리(Bomb Threat Management Process)
② 폭발물 폭파 협박 전화(Bomb Threat Call) 응대 요령 교육
③ 폭발물 탐지 활동 및 금속탐지기 운용(Measures for Bomb Detection)
④ 군 경찰 폭발물 처리반/부서와의 연락망 유지 (Contact with Agencies)
15) IT 보안(IT Security)
① IT 자산 관리 GT/Computer Asset Control & Management)
② 데이터 입 출력 관리 (Data Input/Output Management)
③ 컴퓨터/디지털 포렌식 조사 지원(Support for Digital Forensic Investigation)
④ 컴퓨터 보안(Computer/PC Security)
⑤ 인터넷/웹 보안(Internet/Web Security)
⑥ 네트워크 보안(Network Security)
⑦ 애플리케이션 보안(Application Security)
⑧ 각종 IT 보안 관련 기준 및 규범 준수(IT Security Governance)
참고문헌
이창무, 김민지 저, 산업보안이론, 법문사 2013
최선태, CPP 저, 기업보안론(산업보안실무), 진영사 2014
현대호, 이호용 저, 산업기술 보호법, 법문사 2013
신제철, 김순석 저, 산업보안론, 그림 2013
① 기업 리스크 관리와 연계한 사업 연속성 계획의 지원(Support for BCP/BCM)
② 사업 영향 분석(Business Impact Analysis) 과정에의 참가
③ 재난 재해 복구계획 (Disaster Recovery Plan) 참여
12) 기업 내부 범죄 예방(Workplace Crime Prevention)
① 기업 기관 내부 도난/절도 예방 활동(Internal Theft Controls)
② 산업스파이 행위 예방(Anti-Espionage)
③ 사기/횡령/배임 등 내부자 범죄 감시(Economic Crime Monitoring & Control)
④ 사업장 내 폭력 방지(Preventing Workplace Violence)
⑤ 임직원의 마약류 및 약물 남용 예방(Drugs & Substance Abuse)
⑥ 부당 노동 쟁의 관련(Labor Disputes)
⑦ 제3자로부터의 범죄 예방 (Duty to Protect from Third-Party Crime)
13) 테러 예방 및 대응 활동(Counterterrorism)
① 테러 예방 활동 및 대응 절차 수립(Counter-terror Process)
② 테러 대응 임직원 교육 및 모의훈련 실시(Education and Training)
③ 생화학 테러 예방 및 대응(Countermeasures against Bio-Terrorism)
④ 군 경찰. 정보기관 등 테러 관련 기관 부처와의 연계 (Liaison and Cooperation)
14) 폭발물 및 협박 대응(Bomb Threat Management/Response)
① 폭발물 대응 프로세스 관리(Bomb Threat Management Process)
② 폭발물 폭파 협박 전화(Bomb Threat Call) 응대 요령 교육
③ 폭발물 탐지 활동 및 금속탐지기 운용(Measures for Bomb Detection)
④ 군 경찰 폭발물 처리반/부서와의 연락망 유지 (Contact with Agencies)
15) IT 보안(IT Security)
① IT 자산 관리 GT/Computer Asset Control & Management)
② 데이터 입 출력 관리 (Data Input/Output Management)
③ 컴퓨터/디지털 포렌식 조사 지원(Support for Digital Forensic Investigation)
④ 컴퓨터 보안(Computer/PC Security)
⑤ 인터넷/웹 보안(Internet/Web Security)
⑥ 네트워크 보안(Network Security)
⑦ 애플리케이션 보안(Application Security)
⑧ 각종 IT 보안 관련 기준 및 규범 준수(IT Security Governance)
참고문헌
이창무, 김민지 저, 산업보안이론, 법문사 2013
최선태, CPP 저, 기업보안론(산업보안실무), 진영사 2014
현대호, 이호용 저, 산업기술 보호법, 법문사 2013
신제철, 김순석 저, 산업보안론, 그림 2013
키워드
추천자료
SCM(공급망관리)의 이론적 고찰과 물류산업의 공급망 사례분석
산업보안관리 정책 수립 및 보안체계 구축방안
산업체 안전관리 조직체계
[우리나라의 산업안전관리의 문제점과 정부의 대책에 대한 제언]
[A+] 건설산업에서의 공급사슬관리 (SCM : Supply Chain Management In Construction Industr...
[일본, 평생교육정책, 장애인고용정책]일본의 평생교육정책, 일본의 장애인고용정책, 일본의 ...
[2000년대, 인사관리, 문화정책, 미디어운동]2000년대의 인사관리, 2000년대의 문화정책, 200...
★ 호텔카지노운영관리 - 카지노 ( 미국의 카지노산업 )
[외식경영관리 효율화방식과 문제점] 외식경영구조의 현상, 외식경영기법, 외식경영관리상 문...
[단체급식관리 공통] 교육기관, 산업체, 의료기관, 사회복지시설, 영유아보육시설 등의 급식...
[단체급식관리 공통] 교육기관, 산업체, 의료기관, 사회복지시설, 영유아보육시설 등의 급식...
다국적기업론>>4차 산업혁명의 의미를 밝히고, 4차 산업혁명이 기업의 인적자원관리에 어떠한...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