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1. 저출산의 현황---------------------------------------3
2. 저출산의 원인---------------------------------------3
Ⅱ. 본론
1. 만혼의 개념----------------------------------------4
2. 만혼화의 원인 - 사회·경제적 지위를 고려하는 동질혼------6
3. 만혼화의 원인 - 결혼비용 + 신혼집 마련비용-------------7
Ⅲ. 결론
--------------------------------------------------------------8
ⅳ. 참고자료
----------------------------------------------------------------9
1. 저출산의 현황---------------------------------------3
2. 저출산의 원인---------------------------------------3
Ⅱ. 본론
1. 만혼의 개념----------------------------------------4
2. 만혼화의 원인 - 사회·경제적 지위를 고려하는 동질혼------6
3. 만혼화의 원인 - 결혼비용 + 신혼집 마련비용-------------7
Ⅲ. 결론
--------------------------------------------------------------8
ⅳ. 참고자료
----------------------------------------------------------------9
본문내용
러한 가족경제이론은 성역할 분화를 기초로 삼고 있었다. 하지만 현대사회에서는 남성은 직장, 여성은 집안일로 성에 따라 분화되어있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성역할 분화에 따른 가족경제이론은 우리사회의 결혼양상을 설명 할 수 없게 되었다.
이제는 서로에게 이득이 되기 때문에 결혼하는 것이 아니라, 비슷한 계층에 있거나, 내 계층을 올려 줄 수 있는 사람을 찾아 결혼을 한다. 교육수준이나 직업, 소득이 유사한 계층 간의 혼인이 증가하는 상황이 이를 확인 시켜 준다. 유사한 계층 간의 결혼인 동질혼은 교육수준이 높은 고소득층뿐만 아니라 교육수준이 가장 낮은 저소득층에서도 높은 비율로 일어난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여성들의 대학진학률은 높아졌다.
< 성별 대학 진학률 >
2009년부터는 여성들이 남성의 대학진학률을 따라 잡았을 정도로 여성들의 대학진학률은 높아졌다. 그에 따라 여성의 경제활동에 있어서 지위가 상승되었고, 자신과 비슷한 사회·경제적 지위를 가진 남성들을 찾게 되었다. 그렇다 보니 자연스럽게 사회·경제적 지위가 낮은 남성들은 결혼이 힘들어 졌고, 사회·경제적 지위가 높은 남성을 찾는 여성들도 결혼 시기가 늦춰졌다.
3. 만혼화의 원인 - 결혼비용 + 신혼집 마련비용
2013년 한국 소비자원의 조사에 의하면 결혼식 및 여행 등 혼례를 치르는 데에만 평균 약 2,682만원이 들었고 전세로 신혼집을 마련한 경우, 주택과 혼수장만 비용을 더하면 평균 약 1억 9,677만원의 결혼 비용이 소요되었다.
<항목별 평균 결혼비용>
(자료: 한국소비자원)
결혼을 치른 커플의 79.6%는 결혼비용이 부담스럽다고 답했으며, 호화 사치 풍조가 존재한다고 응답한 사람 또한 85%였다. 위의 표 <항목별 평균 결혼 비용>에서 확인 할 수 있듯이 이제 막 직장생활을 시작한 사람들이 자력으로 결혼비용을 마련하기란 매우 힘들다. 그래서 결혼을 미루는 일들 까지도 생기고 있다.
< 결혼 연기 이유 >
(자료: 전국결혼 및 출산 동향조사, 보건복지부, 2012 )
Ⅲ) 결론
현재 우리나라가 처한 가장 큰 위기라고 해도 무방할 저출산에 대하여 문제의식을 가지고 저출산의 원인에 대해 알아보았다. 저출산의 원인으로는 자녀양육 및 교육비용의 증가, 전통적 가족제도의 해체현상, 여성에 대한 교육 및 고용기회의 변화, 한국 사회의 평균 결혼 연령증가 등이 있었다. 이러한 원인들 중 한국 사회의 평균 결혼 연령증가에 많은 의문을 가지게 되었고 그렇게 될 수밖에 없는 이유들에 대해 생각해 보게 되었다. 그 결과, 여성의 교육수준 상승에 따른 배우자 선택의 변화가 있었고, 스스로 부담 할 수 없는 결혼 비용이 있었다.
저출산의 원인 중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는 만혼화 현상을 해결하면, 우리나라의 출산율을 높이는 데에는 당연히 도움이 된다고 생각한다. 만혼화 현상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일자리 창출을 통해 많은 사람들이 경제적 지위를 높여야 한다고 생각한다.
또 결혼비용을 줄여야한다고 생각한다. 결혼비용을 줄이기 위해서는 타인의 시선으로 상대방은 물론 자신을 바라보지 않고, 자신들의 상황을 고려하는 검소한 결혼식과 검소한 주택마련을 추구해야한다.
우리 사회와 개인들이 저출산과 만혼화라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일련의 노력을 하고, 그를 통해 조금이라도 살기 좋은 방향으로 나아갔으면 하는 바람을 가진다. 끝으로 결혼과 가족 수업을 통해 그리고 레포트를 준비하며 남녀의 사랑과 가족, 그리고 저출산과 결혼의 현실에 대해 자세하게 알 수 있는 기회가 된 것 같아 보람참을 느낀다.
Ⅳ) 참고문헌
논문
● 박휴용, 「한국의 저출산 현상의 원인과 유아교육·보육정책의 방향 분석」,
한국영유아보육학, 85권, 2014.
● 김혜영, 「여성의 만혼화와 결혼의향」, 한국사회학, 제 12집 2호, 2011
● 이성용, 교육수준에 따른 비혼 구성비 추세분석, 사회과학연구, 제 25권 1호, 2014.
기사
● 윤혜진, 2014.12.10., 합계출산율 1.19명...'국가 유지 수준 못미쳐', 서울경제
(http://economy.hankooki.com/lpage/society/201412/e20141210074032117920.htm)
인터넷 자료
● 결혼제도를 통해서 본 여성의 배우자 선호와 그에 따른 짝짓기 패턴
(http://blog.daum.net/tiny/305)
● 결혼의 경제적 무게
(http://navercast.naver.com/magazine_contents.nhn?rid=2531&contents_id=55018)
이제는 서로에게 이득이 되기 때문에 결혼하는 것이 아니라, 비슷한 계층에 있거나, 내 계층을 올려 줄 수 있는 사람을 찾아 결혼을 한다. 교육수준이나 직업, 소득이 유사한 계층 간의 혼인이 증가하는 상황이 이를 확인 시켜 준다. 유사한 계층 간의 결혼인 동질혼은 교육수준이 높은 고소득층뿐만 아니라 교육수준이 가장 낮은 저소득층에서도 높은 비율로 일어난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여성들의 대학진학률은 높아졌다.
< 성별 대학 진학률 >
2009년부터는 여성들이 남성의 대학진학률을 따라 잡았을 정도로 여성들의 대학진학률은 높아졌다. 그에 따라 여성의 경제활동에 있어서 지위가 상승되었고, 자신과 비슷한 사회·경제적 지위를 가진 남성들을 찾게 되었다. 그렇다 보니 자연스럽게 사회·경제적 지위가 낮은 남성들은 결혼이 힘들어 졌고, 사회·경제적 지위가 높은 남성을 찾는 여성들도 결혼 시기가 늦춰졌다.
3. 만혼화의 원인 - 결혼비용 + 신혼집 마련비용
2013년 한국 소비자원의 조사에 의하면 결혼식 및 여행 등 혼례를 치르는 데에만 평균 약 2,682만원이 들었고 전세로 신혼집을 마련한 경우, 주택과 혼수장만 비용을 더하면 평균 약 1억 9,677만원의 결혼 비용이 소요되었다.
<항목별 평균 결혼비용>
(자료: 한국소비자원)
결혼을 치른 커플의 79.6%는 결혼비용이 부담스럽다고 답했으며, 호화 사치 풍조가 존재한다고 응답한 사람 또한 85%였다. 위의 표 <항목별 평균 결혼 비용>에서 확인 할 수 있듯이 이제 막 직장생활을 시작한 사람들이 자력으로 결혼비용을 마련하기란 매우 힘들다. 그래서 결혼을 미루는 일들 까지도 생기고 있다.
< 결혼 연기 이유 >
(자료: 전국결혼 및 출산 동향조사, 보건복지부, 2012 )
Ⅲ) 결론
현재 우리나라가 처한 가장 큰 위기라고 해도 무방할 저출산에 대하여 문제의식을 가지고 저출산의 원인에 대해 알아보았다. 저출산의 원인으로는 자녀양육 및 교육비용의 증가, 전통적 가족제도의 해체현상, 여성에 대한 교육 및 고용기회의 변화, 한국 사회의 평균 결혼 연령증가 등이 있었다. 이러한 원인들 중 한국 사회의 평균 결혼 연령증가에 많은 의문을 가지게 되었고 그렇게 될 수밖에 없는 이유들에 대해 생각해 보게 되었다. 그 결과, 여성의 교육수준 상승에 따른 배우자 선택의 변화가 있었고, 스스로 부담 할 수 없는 결혼 비용이 있었다.
저출산의 원인 중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는 만혼화 현상을 해결하면, 우리나라의 출산율을 높이는 데에는 당연히 도움이 된다고 생각한다. 만혼화 현상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일자리 창출을 통해 많은 사람들이 경제적 지위를 높여야 한다고 생각한다.
또 결혼비용을 줄여야한다고 생각한다. 결혼비용을 줄이기 위해서는 타인의 시선으로 상대방은 물론 자신을 바라보지 않고, 자신들의 상황을 고려하는 검소한 결혼식과 검소한 주택마련을 추구해야한다.
우리 사회와 개인들이 저출산과 만혼화라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일련의 노력을 하고, 그를 통해 조금이라도 살기 좋은 방향으로 나아갔으면 하는 바람을 가진다. 끝으로 결혼과 가족 수업을 통해 그리고 레포트를 준비하며 남녀의 사랑과 가족, 그리고 저출산과 결혼의 현실에 대해 자세하게 알 수 있는 기회가 된 것 같아 보람참을 느낀다.
Ⅳ) 참고문헌
논문
● 박휴용, 「한국의 저출산 현상의 원인과 유아교육·보육정책의 방향 분석」,
한국영유아보육학, 85권, 2014.
● 김혜영, 「여성의 만혼화와 결혼의향」, 한국사회학, 제 12집 2호, 2011
● 이성용, 교육수준에 따른 비혼 구성비 추세분석, 사회과학연구, 제 25권 1호, 2014.
기사
● 윤혜진, 2014.12.10., 합계출산율 1.19명...'국가 유지 수준 못미쳐', 서울경제
(http://economy.hankooki.com/lpage/society/201412/e20141210074032117920.htm)
인터넷 자료
● 결혼제도를 통해서 본 여성의 배우자 선호와 그에 따른 짝짓기 패턴
(http://blog.daum.net/tiny/305)
● 결혼의 경제적 무게
(http://navercast.naver.com/magazine_contents.nhn?rid=2531&contents_id=55018)
키워드
추천자료
[BEST]저출산에 대한 원인과 이에 따른 문제 및 정책적 대응방안
[BEST]저출산이 미치는 영향과 실태 및 문제점 해결방안에 관한 심층적 고찰
[사회학]저출산 및 고령사회에 대한 대비책
[졸업논문]우리나라 저출산 실정에 적합한 정책적 대응방안
고령화, 저출산 문제에 따른 대책
정책분석(저출산문제해결을 위한 방안)
아동수당제도, 저출산문제, 가정폭력방지법(가정보호처분)과 각자의 의견
복지국가 유형별 저출산, 아동보육, 육아휴직, 보육정책 보고서
[사회복지개론] 저출산 &#8228; 고령화 사회와 사회복지정책
[태권도] 현대사회의 저출산 고령화문제 등 태권도장 경영환경급변에 대한 태권도계 대응방안
[청소년복지] 저출산(低出産)과 청소년 인구감소가 청소년 삶에 미치는 영향 - 가정관련 변화
현재 우리나라의 문제가 되고 있는 저출산과 고령화에 대해 설명하고 실시되고 있는 정책과 ...
아동복지론]저출산 극복을 위한 아동복지 정책에 대한 자신의 견해를 서술하시오
건강가정기본법의 실천기술을 이해하고 저출산 문제를 극복하기 위한 대책을 서술하시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