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황혼연애
-개념
-현황(통계치)
2.황혼결혼(재혼)
-현황(통계치)
3.황혼 결혼 및 연애의 실태(사례)
-대중매체 속 황혼연애
-문학과 예술작품 속 황혼연애
-황혼 연애 중매
4.황혼 연애 원인
5. 황혼연애를 바라보는 시선
-긍정적인 면
-부정적인 면
6. 필자의 생각
-개념
-현황(통계치)
2.황혼결혼(재혼)
-현황(통계치)
3.황혼 결혼 및 연애의 실태(사례)
-대중매체 속 황혼연애
-문학과 예술작품 속 황혼연애
-황혼 연애 중매
4.황혼 연애 원인
5. 황혼연애를 바라보는 시선
-긍정적인 면
-부정적인 면
6. 필자의 생각
본문내용
09)고 한다. 이러한 이유로 홀로된 노인들의 황혼연애 및 황혼결혼 횟수가 증가하고 있다.
또한 급격한 황혼 이혼율의 증가또한 원인 중에 큰 비중을 차지한다.
자료통계청 ‘인구동향조사’
그림출처 : http://blog.daum.net/_blog/BlogTypeView.do?blogid=0oJFZ&articleno=12&categoryId=0®dt=20130214095700
<남자 연령대별 재혼건수><여자 연령대별 재혼건수>
통계청 “우리나라의 이혼 및 재혼 현황”, 2012
위의 표에서 볼 수 있듯 황혼이혼 비중은 해를 거듭할수록 급증하고 있다. 또한 남녀 각각의 평균재혼 연령도 갈수록 높아지는 추세이며 65세 이상 고령자 이혼후 재혼건수는 7년사이에 2배이상 급증하였다. 이렇게 굳이 배우자의 사별이 아니더라도 황혼에 이혼건수가 증가하면서 홀노되는 노인들이 증가해 위에서 언급한 원인들로 인해 새로운 짝을 찾는 사람들이 나날이 증가하고 있다. 또한 이 외에도 혼자된 부모를 부양하기 어려워하는 가족들의 적극적인 추천 , 부양부담 떠넘김 등으로 인해 황혼연애를 찾는 사람들이 증가하는 추세이다.
먼저 위에서도 언급했듯이 혼자 사는 노인들의 외로움 감소가 큰 이유이다. 노년기가 과거보다 훨씬 길어진 현실 속에서 인생의 황금기를 배우자 없이 쓸쓸하게 혼자 보내는 홀로된 노인들이 날로 증가하는데 이에 외로움과 소외감, 역할상실감이 사회문제화 되고 있는 시점에서 정서적 보양의 주제공자인 배우자를 대신해 심리적 지지와 애정을 제공해 줄 수 있는 이성이 필요하다고 한다 출처 : 네이버 블로그 http://blog.naver.com/hhelper/60037174376
. 또 다른 이유로는 노년의 성욕 해소이다. 노년의 성 생활을 연구한 학자 알 렉스 컴포트는 성적 기능이 인간의 다른 어떤 기능보다 오래 지속되는 기능이며 그 욕구와 능력은 평생 지속되는 것이라 했다. 성 기능을 담당한다고 알려진 고환이나 난소가 쇠퇴한다 하더라도 인간의 성욕은 성 기관에 영향을 받는 것보다 대뇌의 기억, 연상, 정서, 경험등에 더 큰 영향을 받는다고 한다. 김기영, 황혼의 남과 여, 사랑하고 또 사랑하라, 상상나무출판, 2009,105쪽
이처럼 노년이 되어도 성적 욕구가 크고 성활 동이 필요하지만 혼자된 노년들은 이를 충족할 수 없으니 이와 같은 이유로 새로운 짝을 만나는 사람도 많다고 한다. 또 다른 원인은 여성노인은 연애를 통하여 높은 자존감과 자아 정체성을 가지며, 남성노인은 친교와 섹스, 자기과시를 갖는다.(Bulcroft & O'Connor, 1986)고 한다. 또한 여성노인은 배우자와 같은 돌봄의 역할을 하며 개인적인 성숙 감을 느끼기도 한다(Noorman et al,. 2006)고 한다. 이와 관련된 조사에서는 외로움과 고독감이 느껴질 때 (38.2%) , 대화의 상대자가 필요할 때 (30%)의 원인으로 이성에 대한 욕구가 생긴다고 한다. 또한 이성친구와의 관계로는 여가, 취미생활을 함께하는 관계(47.2%), 애정관계 (19.4%), 성관계 (5.6%) 의 답변이 있다고 한다. 이와같은 이유로 황혼에 새로운 사람을 찾는 사람이 나날이 증가하고 있다 울산시노인복지관 설문조사 (노인 600명 대상)
5. 황혼연애의 긍정/부정적인 면
위에서 언급한 원인들이 황혼연애의 긍정적인 면으로 볼 수 있으니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황혼연애의 부정적인 면들은 실제로 황혼연애가 결혼으로 쉽게 이어지지 못하는 이유이기도 하며, 많은 노년의 사람들이 떳떳하게 사랑을 찾고, 밝힐 수 없는 이유이기도 하다.
우리사회의 전통저인 고정관념에 따라 이성교제에 대해 부정적인 태도를 보인 사례는 다음과 같다고 한다.
“ 점잖지 않아 보인다. 자식들 보기 민망스럽게, 전혀 하고 싶지 않다, 한 번도 그런 생각은 해본 적도 들은 적도 없다.”
“안될 말이다. 죽은 남편 때문이 아니라 동네 부끄럽게, 아니다..”
“할아버지하고 무슨 친구야. 남사스럽게. 아니다. ” 네이버 블로그, http://blog.daum.net/1062hoo/8133376
위의 사례와 같은 이유들로 많은 사람들이 노년의 연애를 꺼려한다고 한다. 또한 이성교제의 어려움에 대한 설문조사의 응답결과 주변사람들의 시선과 이목이 33.7%를 차지하였고 데이트비용 부담이 19.8%를 차지하고 자녀의 이해부족이 13.1%를 차지하였다. 울산시노인복지관 설문조사 (노인 600명 대상)
다른 원인으로는 결혼을 했을 시 재산상속 문제가 있다. 새로운 동반자에게 자녀 몫의 1.5배의 재산을 인정하느냐 또는 후처를 호적에 입적할 것인가 여부 등 이와 같은 재산분배문제와 이로인한 갈등을 두려워해 재혼의 결단에 어려움을 느끼는 등 현실적인 장애가 많이 따른다고 한다. 네이버 블로그 http://blog.naver.com/hhelper/60037174376
이와 같은 황혼 연애 및 결혼의 부정적인 측면들로 인해 많은 사람들이 정식결혼보다 동거를 하는 등 ‘황혼연애’에만 그치고 있다고 한다. 과거 가족주의 적이고 배우자에 대한 의리를 강요하다시피 한 과거 모습의 잔재 때문에 그러한 시선을 두려워하여 황혼연애를 꺼리는 사람또한 많은 실정이다.
6. 필자의 생각
우리는 위와 같이 다양한 황혼연애의 이야기, 사례, 행태, 원인, 장단점등을 분석해 보았다. 필자의 생각은 이렇다. 노년의 나이는 인생을 마무리하는 어쩌면 인생에서 가장 중요한 시기이다. 이를 가족들의 눈치를 보며, 과거 배우자와의 결혼생활의 추억에 갇혀 살며 외롭고 쓸쓸한 슬픔 속에서 삶의 질이 낮아진 채, 자존감이 낮아진 채 움츠러든 채 마무리 할 것인가, 아니면 자신에게 다가온 새로운 행복을 받아드리며 만끽하고 느끼고 사랑받고 사랑 주며 자유로운 삶속에서 새로운 사람과 함께 새로운 제 2의 삶을 시작할 것인가. 전자와 후자 모두 case by case라고 할 수 있지만 후자의 삶을 권하고 싶다. 하루아침에 맞은 노년이 아닌만큼, 수없이 다양한 생사고락을 겪어온 만큼, 가족을 위해 헌신하며 살아왔던 만큼 인생의 마무르기인 노년만큼은 자신을 위해, 마지막의 행복을 위한 선택을 하였으면 한다.
또한 급격한 황혼 이혼율의 증가또한 원인 중에 큰 비중을 차지한다.
자료통계청 ‘인구동향조사’
그림출처 : http://blog.daum.net/_blog/BlogTypeView.do?blogid=0oJFZ&articleno=12&categoryId=0®dt=20130214095700
<남자 연령대별 재혼건수><여자 연령대별 재혼건수>
통계청 “우리나라의 이혼 및 재혼 현황”, 2012
위의 표에서 볼 수 있듯 황혼이혼 비중은 해를 거듭할수록 급증하고 있다. 또한 남녀 각각의 평균재혼 연령도 갈수록 높아지는 추세이며 65세 이상 고령자 이혼후 재혼건수는 7년사이에 2배이상 급증하였다. 이렇게 굳이 배우자의 사별이 아니더라도 황혼에 이혼건수가 증가하면서 홀노되는 노인들이 증가해 위에서 언급한 원인들로 인해 새로운 짝을 찾는 사람들이 나날이 증가하고 있다. 또한 이 외에도 혼자된 부모를 부양하기 어려워하는 가족들의 적극적인 추천 , 부양부담 떠넘김 등으로 인해 황혼연애를 찾는 사람들이 증가하는 추세이다.
먼저 위에서도 언급했듯이 혼자 사는 노인들의 외로움 감소가 큰 이유이다. 노년기가 과거보다 훨씬 길어진 현실 속에서 인생의 황금기를 배우자 없이 쓸쓸하게 혼자 보내는 홀로된 노인들이 날로 증가하는데 이에 외로움과 소외감, 역할상실감이 사회문제화 되고 있는 시점에서 정서적 보양의 주제공자인 배우자를 대신해 심리적 지지와 애정을 제공해 줄 수 있는 이성이 필요하다고 한다 출처 : 네이버 블로그 http://blog.naver.com/hhelper/60037174376
. 또 다른 이유로는 노년의 성욕 해소이다. 노년의 성 생활을 연구한 학자 알 렉스 컴포트는 성적 기능이 인간의 다른 어떤 기능보다 오래 지속되는 기능이며 그 욕구와 능력은 평생 지속되는 것이라 했다. 성 기능을 담당한다고 알려진 고환이나 난소가 쇠퇴한다 하더라도 인간의 성욕은 성 기관에 영향을 받는 것보다 대뇌의 기억, 연상, 정서, 경험등에 더 큰 영향을 받는다고 한다. 김기영, 황혼의 남과 여, 사랑하고 또 사랑하라, 상상나무출판, 2009,105쪽
이처럼 노년이 되어도 성적 욕구가 크고 성활 동이 필요하지만 혼자된 노년들은 이를 충족할 수 없으니 이와 같은 이유로 새로운 짝을 만나는 사람도 많다고 한다. 또 다른 원인은 여성노인은 연애를 통하여 높은 자존감과 자아 정체성을 가지며, 남성노인은 친교와 섹스, 자기과시를 갖는다.(Bulcroft & O'Connor, 1986)고 한다. 또한 여성노인은 배우자와 같은 돌봄의 역할을 하며 개인적인 성숙 감을 느끼기도 한다(Noorman et al,. 2006)고 한다. 이와 관련된 조사에서는 외로움과 고독감이 느껴질 때 (38.2%) , 대화의 상대자가 필요할 때 (30%)의 원인으로 이성에 대한 욕구가 생긴다고 한다. 또한 이성친구와의 관계로는 여가, 취미생활을 함께하는 관계(47.2%), 애정관계 (19.4%), 성관계 (5.6%) 의 답변이 있다고 한다. 이와같은 이유로 황혼에 새로운 사람을 찾는 사람이 나날이 증가하고 있다 울산시노인복지관 설문조사 (노인 600명 대상)
5. 황혼연애의 긍정/부정적인 면
위에서 언급한 원인들이 황혼연애의 긍정적인 면으로 볼 수 있으니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황혼연애의 부정적인 면들은 실제로 황혼연애가 결혼으로 쉽게 이어지지 못하는 이유이기도 하며, 많은 노년의 사람들이 떳떳하게 사랑을 찾고, 밝힐 수 없는 이유이기도 하다.
우리사회의 전통저인 고정관념에 따라 이성교제에 대해 부정적인 태도를 보인 사례는 다음과 같다고 한다.
“ 점잖지 않아 보인다. 자식들 보기 민망스럽게, 전혀 하고 싶지 않다, 한 번도 그런 생각은 해본 적도 들은 적도 없다.”
“안될 말이다. 죽은 남편 때문이 아니라 동네 부끄럽게, 아니다..”
“할아버지하고 무슨 친구야. 남사스럽게. 아니다. ” 네이버 블로그, http://blog.daum.net/1062hoo/8133376
위의 사례와 같은 이유들로 많은 사람들이 노년의 연애를 꺼려한다고 한다. 또한 이성교제의 어려움에 대한 설문조사의 응답결과 주변사람들의 시선과 이목이 33.7%를 차지하였고 데이트비용 부담이 19.8%를 차지하고 자녀의 이해부족이 13.1%를 차지하였다. 울산시노인복지관 설문조사 (노인 600명 대상)
다른 원인으로는 결혼을 했을 시 재산상속 문제가 있다. 새로운 동반자에게 자녀 몫의 1.5배의 재산을 인정하느냐 또는 후처를 호적에 입적할 것인가 여부 등 이와 같은 재산분배문제와 이로인한 갈등을 두려워해 재혼의 결단에 어려움을 느끼는 등 현실적인 장애가 많이 따른다고 한다. 네이버 블로그 http://blog.naver.com/hhelper/60037174376
이와 같은 황혼 연애 및 결혼의 부정적인 측면들로 인해 많은 사람들이 정식결혼보다 동거를 하는 등 ‘황혼연애’에만 그치고 있다고 한다. 과거 가족주의 적이고 배우자에 대한 의리를 강요하다시피 한 과거 모습의 잔재 때문에 그러한 시선을 두려워하여 황혼연애를 꺼리는 사람또한 많은 실정이다.
6. 필자의 생각
우리는 위와 같이 다양한 황혼연애의 이야기, 사례, 행태, 원인, 장단점등을 분석해 보았다. 필자의 생각은 이렇다. 노년의 나이는 인생을 마무리하는 어쩌면 인생에서 가장 중요한 시기이다. 이를 가족들의 눈치를 보며, 과거 배우자와의 결혼생활의 추억에 갇혀 살며 외롭고 쓸쓸한 슬픔 속에서 삶의 질이 낮아진 채, 자존감이 낮아진 채 움츠러든 채 마무리 할 것인가, 아니면 자신에게 다가온 새로운 행복을 받아드리며 만끽하고 느끼고 사랑받고 사랑 주며 자유로운 삶속에서 새로운 사람과 함께 새로운 제 2의 삶을 시작할 것인가. 전자와 후자 모두 case by case라고 할 수 있지만 후자의 삶을 권하고 싶다. 하루아침에 맞은 노년이 아닌만큼, 수없이 다양한 생사고락을 겪어온 만큼, 가족을 위해 헌신하며 살아왔던 만큼 인생의 마무르기인 노년만큼은 자신을 위해, 마지막의 행복을 위한 선택을 하였으면 한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