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응급실 간호사례 (Case study)
Ⅰ. 서론
Ⅱ. 연구기간 및 방법
Ⅲ. 문헌고찰
Ⅳ. 대상자 사정, 관찰
Ⅴ. 결론
Ⅳ. 참고문헌
Ⅰ. 서론
Ⅱ. 연구기간 및 방법
Ⅲ. 문헌고찰
Ⅳ. 대상자 사정, 관찰
Ⅴ. 결론
Ⅳ. 참고문헌
본문내용
방사선 검사이며 이번 촬영의 목적은 KUB를 살펴보기 위함
-
· Lt. Lower Ureter 0.6cm 결석 관찰됨
Inject
· 대상자의 호소에 따른 즉각적인 inject로 안위를 도모함
· 디크놀, 트리돌,
알기론 1ample,
실린지, 알코올
솜, 하트만용액,
수액세트 등
· 통증의 감소
약물명
효능
용량 및 투여방법
부작용
금기
주의사항
하트만
용액
- 순환혈액량
및 조직간액
의 감소시
세포외액의
보급/보정,
대사성 산증
보정
500ml
IV
QD
- 대량 급속
투여시 뇌
부종, 폐수
종, 말초의
부종이 나
타날 위험
- 젖산혈증,
수분과다
상태, 고나
트륨혈증
- 신질환에서 기인한 신부전, 심부전, 고장성탈수증, 폐쇄성 요로 질환에 의한 요량감소가 있는 환자, 중증간장애, 저나트륨혈증 (120mmol/L 미만)
디크놀
- 류마티양
관절염, 골
관절염(퇴행
성관절질환),
강직성 척추
염, 외상 후
수술 후 염
증 및 동통,
급성통풍,
신 및 간
산통
2ml
IM
QD
- 드물게
쇽, 소화성
궤양, 위장
출혈, 식욕
부진, 구역,
구토, 복통,
과립구감소, 혈소판감소, 피부점막안
증후군,
급성신부전,
황달, 핍뇨,
혈뇨, 발진,
간장애 등
- 소화성
궤양, 심한
혈액 이상,
심한 간·신·
장애, 심한
고혈압·심기
능부전, 본제
성분에 과민
증자, 아스피린이나 NSA
IDs에 천식,
두드러기, 알레르기 반응
또는 그 기왕력자, 관상동맥 우회로술(CABG) 전후에 발생하는 통증치료
- 소화성궤양의 기왕력자, 혈액이상·간·신장애 또는 기왕력자, 고혈압, 심기능부전, 과민증의 기왕력자, 기관지 천식, 궤양성 대장염, 크론병, 식도통과장애, 고령자, 소아, 아황산소소나트륨 감수성 자
알기론
- 위장관계·담
도계·비뇨기계의 경련 및 기능적 운동장애, 간산통, 신산통, 월경곤란, 소화관 내시경 검사의 전 투약,
분만 통증시
5mg
IM
QD
-일시적으로 구강건조, 고용량을 사용할 때 눈의 조절장애 및 빈맥을 동반한 두근거림, 감각 장애, 배뇨곤란, 안압상승, 두통, 어지러움, 안면홍조, 다행증, 졸음, 무력증, 변비, 구역, 알레르기성 피부반응
- 본제 주성분 또는 기타성분 과민증, 전립선비대증, 녹내장, 요저류, 유문협착 등 위장관의 기능적 협착, 마비성 장폐색, 궤양성 대장염, 거대 결장증, 역류성 식도염, 중증 근무력증
- 자율신경계 질환,
신장과 간장질환,
호흡기의 만성 폐쇄성 염증질환, 갑상선기능항진증, 관상동맥질환, 울혈성심부전, 부정맥, 고혈압, 이상고열증,
통증(특히 복통의 경우)의 유래가 심근경색이 아님을 확인 필요
트리돌
- 중증 및 중
등도의 급만
성동통(각종
암 등), 진단
및 수술 후
동통
100mg
IM
QD
-발작, 과민증, 때때로 호흡억제, 호흡곤란, 심계항진, 졸음, 구역, 구토, 빈뇨, 두드러기, 환각, 착란, 두드러기 등
-급성 알코올중독, 중추신경계 작용약물 중독, 심한 호흡억제상태, 두부손상, MAO저해제를 투여 또는 최근 14일 이내에 투약한 경험, 임부, 수유부 등
- 음주시, 아편에 과
민증자, 약물 투여자,
신·간기능저하시, 담
도질환
6. 약물치료
7. 간호진단
간호과정 적용서식Nursing
Assessment
Nursing
diagnosis
Nursing goal
Planning
Implementation&Evaluation
· 주관적 자료
“옆구리랑 왼쪽 아랫배가 너무 아파서 잠에서 깼다.”-by. 본인
“둔하게 아프다 계속..”-by. 본인
· 객관적 자료
- Ureter stone
진단
- 통증사정척도
NRS 결과 7점
으로 측정됨
- 옆구리를 움
켜쥐는 모습이
관찰됨
- 얼굴을 찡그
리는 모습이
관찰됨
· 결석의 자극과
관련된 통증
· 대상자의
통증사정이
7점에서 1점
으로 줄어
든다.
· 대상자가
통증이 줄어
들었다고
말한다.
· 진단적 계획 :
① 통증을 사정
한다.
· 치료적 계획 :
② 진통제를 투여
한다.
· 교육적 계획 :
③ 보호자를 교육
한다.
④ 대상자를 지지
한다.
· 이론적근거 :
- 간호수행의 첫
째 목표는 통증
조절이며 많은
양의 마취제와
항경련제를 투여
하여 통증을
조절함
- 통증이 너무 심
한 경우 환자는
수분섭취와 거동
을 할 수 없기
때문
· 진단적 수행 :
① NRS을 이용
하여 통증을
사정하였다
(대상자는 7점,
둔통, 악화와
완화를 반복)
· 치료적 계획 :
② 진통을 호소
하실 때마다
디크놀, 알기론
과 트리돌을
QD로 IM하였
다.
· 교육적 계획 :
③ 대상자가
이상반응을
보이거나 통증
호소 시에
말씀해 달라고
하였다.
④ 대상자가
통증을 호소할
때마다 옆에
있어주며 약물
투여상황을 알
려주었다.
· 평가 :
대상자의 통증척도가 7에서 3으로 줄어들었으며 통증이 줄어들었다고 말하였다.
Ⅴ. 결론
요관결석이 너무나 고통이 심해 산통이라고 할 정도라는 말은 들었지만 사실 믿지 못했다. 하지만 이 환자분을 보면서 직접 느끼지는 못했지만 직접 보면서 간접적으로 실감할 수 있었다. 그리고 나의 체외충격파쇄석술을 통해서 결석치료를 하셨다는 것에 대해서도 신기하게 여겨졌다. 수술은 노인환자로서 부담이 있으셨을 텐데 비교적 간단히 치료받으신 것에 대해 다행스러웠다.
이번 간호과정을 통해서 목표를 단기목표로 삼고, 빠른 계획과 수행, 결과를 이루어내는 응급실만의 특징을 발견할 수 있었다. 또한, 미리 신장·요로계에 대해 공부해보는 시간을 가지게 되어 후에 많은 도움이 될 것이라 생각한다.
Ⅵ. 참고 문헌
- 김금순, 김영숙 외(2012). 성인간호학Ⅱ. 수문사 Page.1530~1538
- 성미혜 외(2008). 간호과정의 이론과 적용. 수문사
- 성인간호학 현장실습 지침서Ⅱ 특수파트. 춘해보건대학교
- http://www.kimsonline.co.kr/index.aspx
- 그림 http://blog.naver.com/mgsong?Redirect=Log&logNo=140030612761
목 차
응급실 간호사례 (Case study)
Ⅰ. 서론
Ⅱ. 연구기간 및 방법
Ⅲ. 문헌고찰
Ⅳ. 대상자 사정, 관찰
Ⅴ. 결론
Ⅳ. 참고문헌
-
· Lt. Lower Ureter 0.6cm 결석 관찰됨
Inject
· 대상자의 호소에 따른 즉각적인 inject로 안위를 도모함
· 디크놀, 트리돌,
알기론 1ample,
실린지, 알코올
솜, 하트만용액,
수액세트 등
· 통증의 감소
약물명
효능
용량 및 투여방법
부작용
금기
주의사항
하트만
용액
- 순환혈액량
및 조직간액
의 감소시
세포외액의
보급/보정,
대사성 산증
보정
500ml
IV
QD
- 대량 급속
투여시 뇌
부종, 폐수
종, 말초의
부종이 나
타날 위험
- 젖산혈증,
수분과다
상태, 고나
트륨혈증
- 신질환에서 기인한 신부전, 심부전, 고장성탈수증, 폐쇄성 요로 질환에 의한 요량감소가 있는 환자, 중증간장애, 저나트륨혈증 (120mmol/L 미만)
디크놀
- 류마티양
관절염, 골
관절염(퇴행
성관절질환),
강직성 척추
염, 외상 후
수술 후 염
증 및 동통,
급성통풍,
신 및 간
산통
2ml
IM
QD
- 드물게
쇽, 소화성
궤양, 위장
출혈, 식욕
부진, 구역,
구토, 복통,
과립구감소, 혈소판감소, 피부점막안
증후군,
급성신부전,
황달, 핍뇨,
혈뇨, 발진,
간장애 등
- 소화성
궤양, 심한
혈액 이상,
심한 간·신·
장애, 심한
고혈압·심기
능부전, 본제
성분에 과민
증자, 아스피린이나 NSA
IDs에 천식,
두드러기, 알레르기 반응
또는 그 기왕력자, 관상동맥 우회로술(CABG) 전후에 발생하는 통증치료
- 소화성궤양의 기왕력자, 혈액이상·간·신장애 또는 기왕력자, 고혈압, 심기능부전, 과민증의 기왕력자, 기관지 천식, 궤양성 대장염, 크론병, 식도통과장애, 고령자, 소아, 아황산소소나트륨 감수성 자
알기론
- 위장관계·담
도계·비뇨기계의 경련 및 기능적 운동장애, 간산통, 신산통, 월경곤란, 소화관 내시경 검사의 전 투약,
분만 통증시
5mg
IM
QD
-일시적으로 구강건조, 고용량을 사용할 때 눈의 조절장애 및 빈맥을 동반한 두근거림, 감각 장애, 배뇨곤란, 안압상승, 두통, 어지러움, 안면홍조, 다행증, 졸음, 무력증, 변비, 구역, 알레르기성 피부반응
- 본제 주성분 또는 기타성분 과민증, 전립선비대증, 녹내장, 요저류, 유문협착 등 위장관의 기능적 협착, 마비성 장폐색, 궤양성 대장염, 거대 결장증, 역류성 식도염, 중증 근무력증
- 자율신경계 질환,
신장과 간장질환,
호흡기의 만성 폐쇄성 염증질환, 갑상선기능항진증, 관상동맥질환, 울혈성심부전, 부정맥, 고혈압, 이상고열증,
통증(특히 복통의 경우)의 유래가 심근경색이 아님을 확인 필요
트리돌
- 중증 및 중
등도의 급만
성동통(각종
암 등), 진단
및 수술 후
동통
100mg
IM
QD
-발작, 과민증, 때때로 호흡억제, 호흡곤란, 심계항진, 졸음, 구역, 구토, 빈뇨, 두드러기, 환각, 착란, 두드러기 등
-급성 알코올중독, 중추신경계 작용약물 중독, 심한 호흡억제상태, 두부손상, MAO저해제를 투여 또는 최근 14일 이내에 투약한 경험, 임부, 수유부 등
- 음주시, 아편에 과
민증자, 약물 투여자,
신·간기능저하시, 담
도질환
6. 약물치료
7. 간호진단
간호과정 적용서식Nursing
Assessment
Nursing
diagnosis
Nursing goal
Planning
Implementation&Evaluation
· 주관적 자료
“옆구리랑 왼쪽 아랫배가 너무 아파서 잠에서 깼다.”-by. 본인
“둔하게 아프다 계속..”-by. 본인
· 객관적 자료
- Ureter stone
진단
- 통증사정척도
NRS 결과 7점
으로 측정됨
- 옆구리를 움
켜쥐는 모습이
관찰됨
- 얼굴을 찡그
리는 모습이
관찰됨
· 결석의 자극과
관련된 통증
· 대상자의
통증사정이
7점에서 1점
으로 줄어
든다.
· 대상자가
통증이 줄어
들었다고
말한다.
· 진단적 계획 :
① 통증을 사정
한다.
· 치료적 계획 :
② 진통제를 투여
한다.
· 교육적 계획 :
③ 보호자를 교육
한다.
④ 대상자를 지지
한다.
· 이론적근거 :
- 간호수행의 첫
째 목표는 통증
조절이며 많은
양의 마취제와
항경련제를 투여
하여 통증을
조절함
- 통증이 너무 심
한 경우 환자는
수분섭취와 거동
을 할 수 없기
때문
· 진단적 수행 :
① NRS을 이용
하여 통증을
사정하였다
(대상자는 7점,
둔통, 악화와
완화를 반복)
· 치료적 계획 :
② 진통을 호소
하실 때마다
디크놀, 알기론
과 트리돌을
QD로 IM하였
다.
· 교육적 계획 :
③ 대상자가
이상반응을
보이거나 통증
호소 시에
말씀해 달라고
하였다.
④ 대상자가
통증을 호소할
때마다 옆에
있어주며 약물
투여상황을 알
려주었다.
· 평가 :
대상자의 통증척도가 7에서 3으로 줄어들었으며 통증이 줄어들었다고 말하였다.
Ⅴ. 결론
요관결석이 너무나 고통이 심해 산통이라고 할 정도라는 말은 들었지만 사실 믿지 못했다. 하지만 이 환자분을 보면서 직접 느끼지는 못했지만 직접 보면서 간접적으로 실감할 수 있었다. 그리고 나의 체외충격파쇄석술을 통해서 결석치료를 하셨다는 것에 대해서도 신기하게 여겨졌다. 수술은 노인환자로서 부담이 있으셨을 텐데 비교적 간단히 치료받으신 것에 대해 다행스러웠다.
이번 간호과정을 통해서 목표를 단기목표로 삼고, 빠른 계획과 수행, 결과를 이루어내는 응급실만의 특징을 발견할 수 있었다. 또한, 미리 신장·요로계에 대해 공부해보는 시간을 가지게 되어 후에 많은 도움이 될 것이라 생각한다.
Ⅵ. 참고 문헌
- 김금순, 김영숙 외(2012). 성인간호학Ⅱ. 수문사 Page.1530~1538
- 성미혜 외(2008). 간호과정의 이론과 적용. 수문사
- 성인간호학 현장실습 지침서Ⅱ 특수파트. 춘해보건대학교
- http://www.kimsonline.co.kr/index.aspx
- 그림 http://blog.naver.com/mgsong?Redirect=Log&logNo=140030612761
목 차
응급실 간호사례 (Case study)
Ⅰ. 서론
Ⅱ. 연구기간 및 방법
Ⅲ. 문헌고찰
Ⅳ. 대상자 사정, 관찰
Ⅴ. 결론
Ⅳ. 참고문헌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