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욕창(Pressure sore)의 정의
2. 욕창의 원인(발생기전)
3. 욕창 위험요인 대상과 호발 부위
4. 욕창의 사정
5. 욕창의 예방법
2. 욕창의 원인(발생기전)
3. 욕창 위험요인 대상과 호발 부위
4. 욕창의 사정
5. 욕창의 예방법
본문내용
척하기 위해 충분한 압력을 만들어 내는
세척기구 사용.
(3) 욕창 드레싱
▷방법: 괴사조직을 축축하게 하고 주변조직은 건조하게 유지하는 것.
① 상처를 계속해서 습기 있게 유지하는 드레싱을 사용.
Wet-to-dry dressings: 상처에서 죽은 조직과 이물질 제거(debriment) 할 때만 사용.
② 궤양주변 피부는 손상 받기 쉬우므로 건조시킨다.
상처표면에만 습기 있는 드레싱(moisture dessing)을 한다.
③ 산출물을 흡수하는 드레싱을 한다.
④ 드레싱 재료를 사용하여 상처부위의 움푹 패인 부분을 느슨하게 채움.
⑤ 습기를 보유하는 드레싱에는 투명필름(transparent film), 하이드로콜로이드 드레싱 (hydrocolloid dessing), 친수성겔(hydrogels)이 있다.
♣ 드레싱의 종류와 특성
▷ 하이드로콜로이드
- 제품: DuoDERM, 듀어덤익스트라신, 컴필(coloplast)
- 특성:불투명한 막으로 두꺼운 것과 얇은 것이 있음
접찹식 웨이퍼
폐쇄성 보호막 : 박테리아와 물, 산소통과 안됨
박테리아와 삼출물 흡수 : 부종감소
습윤 환경 유지
겔 형태에서 삼출물과 수분 접촉 후에 반고형겔로 변화함
부착면이 상처표면을 부드럽게 하여 드레싱제거 시 통증이 없음
폐쇄성 드레싱으로 괴사조직과 소거조직제거에 효과 있음
드레싱 교환 : 1회/5~7일
-단점:드레싱제거 전 상처관찰이 어려움
농같이 노란색을 띔
냄새가 좋지 않음(감염이 생긴 것으로 오해할 수도 있음)
-적응: 혈관성 궤양(정맥성 궤양), 1도, 2도, 3도 욕창, 2도 화상
-금기: 감염상처, 삼출물이 많은 상처 (분말, 연고, 웨이퍼 형태가 있음)
▷ 투명드레싱(transparent film)
- 제품: ACU-derm, Tegaderm, Op.site,
- 특성:반투과성보호막: 산소와 수증기 통과, 방수, 세균침입방지, 삼출물 수집
얇고 유연한 투명필름: 상처관찰용이
상처 바로 위에 직접 부착되지 않음: 삼출물이 상처표면에 남아 표면의 세포이 동을 도움
가피형성과 외상으로부터 보호
신경종말부 보호 : 빠르게 통증 경감
5~7일정도 유지 가능하며, 투명막을 통해 관찰가능 : 잦은 드레싱으로 인한 새로 운 조직의 손상예방
욕창 초기 단계에 사용할 수 있음
- 적응: 마찰에 의한 욕창예방, 1도 화상, 욕창, 표명의 상처, 정맥주사부위
- 금기: 괴사, 감염, 삼출물이 많은 상처
▷ 하이드로 겔(Hydrogel)
- 제품: DuoDERM 하이드로 엑티브 겔(convaTec), 인트라사이트 겔
- 특성:상피 세포화를 증진시키는 친수성 콜로이드의 겔 형태
세포의 이동을 위한 촉촉한 상처환경을 유지
보통의 삼출물이 있는 상처에 사용, 2차적인 드레싱으로 상처를 덮어야 함
괴사조직에 다시 수분을 주어 좌멸괴사조직 제거를 촉진함
8~48시간 유지 할 수 있다.
- 적응: 깊게 균열된 상처, 3도 4도 욕창, 3도 화상
-금기: 과도한 상처의 배액이 있는 경우
▷ 칼슘알지네이트(calcium alginate)
- 제품: 알지사이트, 갈토스테이트
- 특성:해초로부터 추출된 폴리사카라이드(다당류)
지혈과 흡수작용
2차 드레싱 필요
- 적응:중정도의 삼출물이 있는 경우
깊고 좁은 누(fistular)와 누공, 궤양
화상, 피부이식공여부, 출혈, 감염상처
-금기: 건조한 상처
▷ 거즈드레싱
- 제품: Vaseline gauze, Xeroform
- 특성:면이나 합성물질 등이 재료
상처를 습기 있는 상태로 유지
감염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다른 드레싱이 필요
투명드레싱으로 덮을 경우 8~24시간 정도 유지 할 수 있다.
▷멸균 건조드레싱
▷wet to dry드레싱
▷붕대
세척기구 사용.
(3) 욕창 드레싱
▷방법: 괴사조직을 축축하게 하고 주변조직은 건조하게 유지하는 것.
① 상처를 계속해서 습기 있게 유지하는 드레싱을 사용.
Wet-to-dry dressings: 상처에서 죽은 조직과 이물질 제거(debriment) 할 때만 사용.
② 궤양주변 피부는 손상 받기 쉬우므로 건조시킨다.
상처표면에만 습기 있는 드레싱(moisture dessing)을 한다.
③ 산출물을 흡수하는 드레싱을 한다.
④ 드레싱 재료를 사용하여 상처부위의 움푹 패인 부분을 느슨하게 채움.
⑤ 습기를 보유하는 드레싱에는 투명필름(transparent film), 하이드로콜로이드 드레싱 (hydrocolloid dessing), 친수성겔(hydrogels)이 있다.
♣ 드레싱의 종류와 특성
▷ 하이드로콜로이드
- 제품: DuoDERM, 듀어덤익스트라신, 컴필(coloplast)
- 특성:불투명한 막으로 두꺼운 것과 얇은 것이 있음
접찹식 웨이퍼
폐쇄성 보호막 : 박테리아와 물, 산소통과 안됨
박테리아와 삼출물 흡수 : 부종감소
습윤 환경 유지
겔 형태에서 삼출물과 수분 접촉 후에 반고형겔로 변화함
부착면이 상처표면을 부드럽게 하여 드레싱제거 시 통증이 없음
폐쇄성 드레싱으로 괴사조직과 소거조직제거에 효과 있음
드레싱 교환 : 1회/5~7일
-단점:드레싱제거 전 상처관찰이 어려움
농같이 노란색을 띔
냄새가 좋지 않음(감염이 생긴 것으로 오해할 수도 있음)
-적응: 혈관성 궤양(정맥성 궤양), 1도, 2도, 3도 욕창, 2도 화상
-금기: 감염상처, 삼출물이 많은 상처 (분말, 연고, 웨이퍼 형태가 있음)
▷ 투명드레싱(transparent film)
- 제품: ACU-derm, Tegaderm, Op.site,
- 특성:반투과성보호막: 산소와 수증기 통과, 방수, 세균침입방지, 삼출물 수집
얇고 유연한 투명필름: 상처관찰용이
상처 바로 위에 직접 부착되지 않음: 삼출물이 상처표면에 남아 표면의 세포이 동을 도움
가피형성과 외상으로부터 보호
신경종말부 보호 : 빠르게 통증 경감
5~7일정도 유지 가능하며, 투명막을 통해 관찰가능 : 잦은 드레싱으로 인한 새로 운 조직의 손상예방
욕창 초기 단계에 사용할 수 있음
- 적응: 마찰에 의한 욕창예방, 1도 화상, 욕창, 표명의 상처, 정맥주사부위
- 금기: 괴사, 감염, 삼출물이 많은 상처
▷ 하이드로 겔(Hydrogel)
- 제품: DuoDERM 하이드로 엑티브 겔(convaTec), 인트라사이트 겔
- 특성:상피 세포화를 증진시키는 친수성 콜로이드의 겔 형태
세포의 이동을 위한 촉촉한 상처환경을 유지
보통의 삼출물이 있는 상처에 사용, 2차적인 드레싱으로 상처를 덮어야 함
괴사조직에 다시 수분을 주어 좌멸괴사조직 제거를 촉진함
8~48시간 유지 할 수 있다.
- 적응: 깊게 균열된 상처, 3도 4도 욕창, 3도 화상
-금기: 과도한 상처의 배액이 있는 경우
▷ 칼슘알지네이트(calcium alginate)
- 제품: 알지사이트, 갈토스테이트
- 특성:해초로부터 추출된 폴리사카라이드(다당류)
지혈과 흡수작용
2차 드레싱 필요
- 적응:중정도의 삼출물이 있는 경우
깊고 좁은 누(fistular)와 누공, 궤양
화상, 피부이식공여부, 출혈, 감염상처
-금기: 건조한 상처
▷ 거즈드레싱
- 제품: Vaseline gauze, Xeroform
- 특성:면이나 합성물질 등이 재료
상처를 습기 있는 상태로 유지
감염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다른 드레싱이 필요
투명드레싱으로 덮을 경우 8~24시간 정도 유지 할 수 있다.
▷멸균 건조드레싱
▷wet to dry드레싱
▷붕대
추천자료
무의식 환자 간호
환자 간호법
치매노인의 합병증 간호
중환자실 뇌수종 간호 케이스
뇌졸중 재활 간호
석고붕대에 대하여 간호
NSICU에서 이용되는 기본간호술
무균술의 정의와 간호 감염방지
(실습일지) 간호학과 실습일지
호지킨 림프종 간호중재 (Hodgkin's lymphoma)
[성인간호학] 협심증(AP) 스터디케이스
[ICU 간호과정] 진단명 : scalp wound infection / 주호소 : fever. op wd infection
경막외혈종케이스(간호과정:두개내 혈종과 관련된 뇌조직관류장애,두통과 관련된 통증,수술과...
Rectal ca 간호과정 (A급 자료)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