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시청각교육
2. 컴퓨터 관련 학습
3. 수업매체
2. 컴퓨터 관련 학습
3. 수업매체
본문내용
령, 지능, 적성, 흥미에 따라 학습매체선정
② S(State Objective) - 목표진술
- 학습자들이 도달해야 할 목표를 진술
- 학습목표는 수업 결과로 학습자가 무엇을 할 수 있는지 구체적으로 진술
③ S(Selection) - 선정
- 적절한 학습매체를 선정하는 단계
- 학습자의 특성, 인지발달수준, 연령, 지능, 적성, 흥미에 의거하여 선정
④ U(Utilize) - 활용
- 매체를 활용하는 단계
- 교사는 매체를 활용하기 전에 매체와 수업자료에 대해 수업 전에 면밀한 검토가
필요하다.
⑤ R(Require) - 요구
- 학습자들에게 학습에 대한 지식이나 기능을 제공하는 단계
- 학습자들의 적극적인 사고를 요구하는 단계
- 학습자의 학습반응을 유도하는 단계
⑥ E(Evaluate) - 평가
- 학습자들의 학업성취, 목표도달수준에 대한 평가
- 수업매체와 수업방법에 대한 평가
- 수업과정에 대한 평가가 이루어짐
5) 매체에 대한 연구
① 매체비교연구
- 행동주의 심리학에 토대를 둠
- 결과중심
- 가장 좋은 매체를 밝혀내는 데에 초점
- 교육목표를 달성하려는 수단으로서의 매체 → 특정 교과목에 맞는 매체를 탐색하고자 함
- 학습효과는 학습자의 흥미와 동기, 인지발달수준에 의해서도 결정된다. 하지만, 매체비교연구에서는 이러한 영향을 무시하였다는 데에서 한계가 있다.
② 매체속성연구
- 인지주의 심리학에 토대를 둠
- 과정중심
- 매체의 속성이 학습자에게 적합한지에 대한 문제제기로부터 시작
- 매체는 학습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해서 사용하는 것
→ 학습 효과의 극대화를 위해서는 매체속성과 학습자의 특성, 학습과제 등에 따라서 매체의 선정이 이루어져야 함
- 매체 속성 연구에서는 특정 매체의 속성이나 수업내용이 특정 학습과제를 학습하고 있는 학습자의 지식 습득과 인지과정을 어떻게 하면 촉진시킬 수 있는가에 대해 인지주의와 구성주의적 접근방법을 취하고 있다.
6) 매체의 효과성에 대한 입장
① Clark의 입장
- 매체는 내용을 전달하는 수단에 불과
- 어떠한 조건에서도 학습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는 입장
- Clark는 매체를 식료품을 배달하는 트럭에 비유하면서 트럭이 식료품의 상태에 직접 영향을 주지 못하듯이 매체도 학습효과에 영향을 주지 못한다고 하였다.
② Kulik, Kozma의 입장
- 교육방법은 매체에 따라 학생에게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다고 보았다.
- 교육과정에 적절한 매체는 학생들의 학업성취에 긍정적인 영향을 줌
7) 컴퓨터 교육에 대한 비판
① 애플 → 갈등론자
② 학교는 기성세대가 갖는 사회체제와 권력을 다음 세대에 그대로 전달
③ 오늘날 학교 교육과정의 설계나 연구에서 많은 사람들의 사고와 행동을 지배하고 있는 무의식적 가정은 소위 과학적 방법이라고 일컬어지는 실증주의적이고 기술공학적인 논리이다.
④ 교과 내용을 전달하는 데에 있어서 컴퓨터상의 다양한 학습자료를 활용할 경우, 교사들은 수업 자료를 만드는 과정과 분리됨 → 교사의 전문성↓
⑤ 가난한 아동은 컴퓨터 사용↓ → 학습에 있어서 불리한 위치
② S(State Objective) - 목표진술
- 학습자들이 도달해야 할 목표를 진술
- 학습목표는 수업 결과로 학습자가 무엇을 할 수 있는지 구체적으로 진술
③ S(Selection) - 선정
- 적절한 학습매체를 선정하는 단계
- 학습자의 특성, 인지발달수준, 연령, 지능, 적성, 흥미에 의거하여 선정
④ U(Utilize) - 활용
- 매체를 활용하는 단계
- 교사는 매체를 활용하기 전에 매체와 수업자료에 대해 수업 전에 면밀한 검토가
필요하다.
⑤ R(Require) - 요구
- 학습자들에게 학습에 대한 지식이나 기능을 제공하는 단계
- 학습자들의 적극적인 사고를 요구하는 단계
- 학습자의 학습반응을 유도하는 단계
⑥ E(Evaluate) - 평가
- 학습자들의 학업성취, 목표도달수준에 대한 평가
- 수업매체와 수업방법에 대한 평가
- 수업과정에 대한 평가가 이루어짐
5) 매체에 대한 연구
① 매체비교연구
- 행동주의 심리학에 토대를 둠
- 결과중심
- 가장 좋은 매체를 밝혀내는 데에 초점
- 교육목표를 달성하려는 수단으로서의 매체 → 특정 교과목에 맞는 매체를 탐색하고자 함
- 학습효과는 학습자의 흥미와 동기, 인지발달수준에 의해서도 결정된다. 하지만, 매체비교연구에서는 이러한 영향을 무시하였다는 데에서 한계가 있다.
② 매체속성연구
- 인지주의 심리학에 토대를 둠
- 과정중심
- 매체의 속성이 학습자에게 적합한지에 대한 문제제기로부터 시작
- 매체는 학습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해서 사용하는 것
→ 학습 효과의 극대화를 위해서는 매체속성과 학습자의 특성, 학습과제 등에 따라서 매체의 선정이 이루어져야 함
- 매체 속성 연구에서는 특정 매체의 속성이나 수업내용이 특정 학습과제를 학습하고 있는 학습자의 지식 습득과 인지과정을 어떻게 하면 촉진시킬 수 있는가에 대해 인지주의와 구성주의적 접근방법을 취하고 있다.
6) 매체의 효과성에 대한 입장
① Clark의 입장
- 매체는 내용을 전달하는 수단에 불과
- 어떠한 조건에서도 학습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는 입장
- Clark는 매체를 식료품을 배달하는 트럭에 비유하면서 트럭이 식료품의 상태에 직접 영향을 주지 못하듯이 매체도 학습효과에 영향을 주지 못한다고 하였다.
② Kulik, Kozma의 입장
- 교육방법은 매체에 따라 학생에게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다고 보았다.
- 교육과정에 적절한 매체는 학생들의 학업성취에 긍정적인 영향을 줌
7) 컴퓨터 교육에 대한 비판
① 애플 → 갈등론자
② 학교는 기성세대가 갖는 사회체제와 권력을 다음 세대에 그대로 전달
③ 오늘날 학교 교육과정의 설계나 연구에서 많은 사람들의 사고와 행동을 지배하고 있는 무의식적 가정은 소위 과학적 방법이라고 일컬어지는 실증주의적이고 기술공학적인 논리이다.
④ 교과 내용을 전달하는 데에 있어서 컴퓨터상의 다양한 학습자료를 활용할 경우, 교사들은 수업 자료를 만드는 과정과 분리됨 → 교사의 전문성↓
⑤ 가난한 아동은 컴퓨터 사용↓ → 학습에 있어서 불리한 위치
추천자료
[환경교육]환경교육의 정의, 환경교육의 특성, 환경교육의 목적과 목표, 환경교육의 필요성, ...
[장애인통합교육][특수교육]장애인통합교육의 유형, 장애인통합교육의 기준과 장애인통합교육...
[열린교육]열린교육의 개념, 열린교육의 특성, 열린교육의 기본형태, 열린교육의 사례, 열린...
[열린교육]열린교육의 의미, 열린교육의 구조, 열린교육의 가치, 열린교육의 학급구성, 열린...
공예학습(공예활동, 공예지도)의 교육적 의의와 목적, 공예학습(공예활동, 공예지도)의 금속...
유치원교육과정(유아교육과정)의 목표와 개정내용, 유치원교육과정(유아교육과정)의 관련법규...
유아 과학교육의 개념, 유아 과학교육의 활동 유형, 유아 과학교육의 목적, 유아 과학교육의 ...
EBS교육방송의 의의, EBS교육방송의 특징, EBS교육방송의 공익적기능, EBS교육방송과 국어교...
[가족교육론 공통] 가족교육의 학습자가 될 수 있는 사람을 한 명 선정하여 인터뷰를 통해 가...
가족교육론4공통)가족교육의 학습자가 될 수 있는 사람을 한 명 선정하여 인터뷰를 통해 가족...
가족교육의 학습자가 될 수 있는 사람을 한 명 선정하여 인터뷰를 통해 가족관련 정보와 교육...
가족교육론2017// 가족교육의 학습자가 될 수 있는 사람을 한 명 선정하여 인터뷰를 통해 가...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