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작가소개
2. 책 줄거리
-⑴한인의 러시아 이주
-⑵조선의 모습
-⑶경흥 방문기
3. 책의 의의 및 느낀 점
2. 책 줄거리
-⑴한인의 러시아 이주
-⑵조선의 모습
-⑶경흥 방문기
3. 책의 의의 및 느낀 점
본문내용
의 왕 시스템에 대해서만 배워왔지 이러한 왕정이 갖는 문제점이나 그에 대한 비판 의식은 안중에도 없었습니다. 그러나 이 책을 독서하면서 약간이나마 조선 전제주의의 실상을 알게 되었고 그에 대해 깊이 생각하게 되었습니다. 또한 그 동안 단편적인 지식으로만 알아왔던 한인의 러시아 이주에 대해 왜 조선정부가 잔혹한 방법까지 써가며 러시아 이주를 중지시키려 했는지에 대해서도 곰곰이 생각할 수 있었습니다. 생각 끝에 저는 당시 상황에 비추어 봤을 때 그러한 조선 정부의 태도에는 2가지가 이유가 있다는 결론에 도달하게 되었습니다. 우선 러시아로의 이주는 농민이주가 대부분 이었습니다. 이러한 사실에 근거하였을 때 정부는 세금을 낼 백성들이 이주하여 세금을 걷을 인구 수가 주는 것을 원치 않았고 또한 농민의 이주로 인한 일손 부족을 막기 위해서 잔혹한 방법으로 러시아 이주를 막은 것입니다. 또한 전제주의라는 조선정부의 성격에서도 그 이유를 찾을 수 있습니다. 전제주의는 왕이 절대적 권력을 가지고 다스리는 것으로 자신의 권력에 저항하지 못하도록 자신이 정한 법을 어긴 러시아 이주 한인들을 본보기로 택한 것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자신이 가진 권력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백성들이나 신하들에게 보여줄 자극이 필요했을 것이고 그것이 러시아 이주중지 정책에 투영된 것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이렇게 저는 이 책을 읽으면서 옛 조선에 대해서 다른 관점으로 심도 있게 생각할 수 있는 기회를 갖게 되었습니다. 그동안 공부를 위해서만 알아왔던 조선에 대해 외국인의 시각에서 바라본 이 책을 통해서 새로운 관점을 가지고 바라보게 되었습니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