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물 육안관찰 이론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광물 육안관찰 이론 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관찰 이론.......................... P.1~2


2.자신만의 육안관찰 분류 방법... P.2


3.광물 관찰........................ P.3~13


4.관찰 후기............................. P.13

본문내용

들었으며 굳기가 7인 석영으로 긁어 보았을 때 석영이 긁히는 걸로 보아 굳기가 7 이상인걸로 추정된다. 마찰에 의해 극성을 띈다고 알려져 있는데 실제로 마찰하고 자석을 데 보았으나 자성이 있는지는 알 수 없었다.
6).암염
무색을 띄고 이었으며 비금속광택을 띄며 유리광택을 띈다. 크기가 작았으나 정육면체의 결정모양을 볼 수 있었다. 조흔판에 긁었을 때 흰색을 띄었으며 손톱으로 긁히는 것으로 보아 강도는 2이하로 추정 되며 실제로 짠맛이 나타남을 알 수 있었다. 염산과 반응 하지 않았다.
7). 석류석
자주 빛색을 띄고 있었다.(실제로 붉은색 갈색 노란색 등 여러 색을 띈다.) 유리광택을 띄고 있었으며 십이면체의 결정 구조가 뚜렷했다. 조흔판에 긁어 보았을 때 흰색을 나타냈으며 조흔판에는 긁히며 쇠못보다 강한 걸로 보아 5~6으로 추정했다(실제 석류석의 강도는 6.5~7.5이다.) 염산과는 반응 하지 않았다.
8). 아놀소클레이스(Anorthoclase)
비금속광택 중 빛에 비추어 보았을 때 반짝거리는 유리광택을 나타냈고 주상과 입상의 결정구조를 보인다고 알려있으나 광물의 크기가 작아 확인하지 못하였다. 조흔판에 긁었을 때 흰색의 조흔색이 나타났다. 쇠못보다는 강하나 조흔판에 긁히는 걸로 보아 강도는 6에 해당되어 보이며 염산과 반응 하지 않았다.
9). 방연석
연회색의 색을 띄고 있었으며 금속광택을 볼 수 있었다. 조흔판에 긁었을 때 연화색의 색(거의 검은색)을 띄고 있었으며 철과 같은 느낌을 받아 경도가 강하게 나타날 줄 알았으나 쇠못 등에 긁히는 걸로 보아 강도는 3으로 추정 되었다. 염산반응은 하지 않았다.
10). 정장석
분홍색의 색을 띄고 있었으며 이는 미립의 적철석을 함유하고 있기 때문이다. 유리광택을 나타낸다고 알려져 있으나 광택은 확인 할 수 없었다. 조흔판에 긁어 본 결과 흰색의 조흔색을 보였다. 석영보다 약한 걸로 보아 강도는 6정도로 추정되며 투입쌍정이 보였다.
11). 아라고나이트
분홍색의 색을 띄고 있었으며 유리광택을 볼 수 있었다. 주상의 결정을 볼 수 있었다. 조흔판에 긁어 보았을 때 흰색의 조흔색이 나타났고 손톱에는 강하나 쇠못에 긁히는 걸로 보아 강도는 3~4로 추정되며 염산과 반응하는 걸로 보아 탄산염을 가지고 있는 걸로 확인된다.(아라고나이트는 방해석과 동질이상)
12). 사장석
유리광택이 잘 드러나는 걸 볼 수 있었다. 조흔판으로 긁어 보았을 때 흰색을 나타냈고 이걸로 보아 강도는 6.5 이상으로 알 수 있다. 염산과는 반응 하지 않았다. 힌빙향의 줄이 계속 나타나는 걸로 보아 한방향의 벽개를 나타내는 걸로 보인다.(실제로는 두 방향의 벽개를 가진다.)
13). 형석
무색을 나타내고 있었으며 비금속광택 중 유리광택을 나타내고 있음을 볼 수 있다. 육면체의 결정을 나타내는 걸 볼 수 있었다. 조흔판으로 긁어 보았을 때 흰색을 나타내고 있었다. 손톱에 긁히지 않고 쇠못에 긁히는 걸로 보아 강도는 4정도로 추정하였는데 형석은 실제 모스경도계에서 강도4를 나타내고 있었다. 염산과 반응 하지 않았다.
14). 흑운모
흑갈색의 색을 띄고 있었으며 금속광택을 볼 수 있었다. 한방향의 벽개가 잘 타나 나는 걸 볼 수 있고 실제로 판으로 쪼개지는 걸 경험할 수 있었다. 조흔판에 긁어 보았을 때 흰색을 띔으로서 조흔색은 흰색아라고 할 수 있었으며 손톱에는 강하며 쇠못에 긁히는 걸로 보아 굳기는 2.5~3사이로 추정 된다. 염산과 반응 하지 않았다.
15). 돌로마이트
흰색을 띄고 있음을 볼 수 있으며 비금속광택 중 유리광택을 나타내고 있음을 볼 수 있었다. 조흔판에 긁어 보았을 때 흰색의 조흔색을 띔을 볼 수 있었으며 활석보다 강하나 쇠못에 긁히는 걸로 보아 강도는 3~4로 추정 되며 염산과 반응 하는 걸로 보아 탄산염광물을 함유하고 있는걸 알 수 있었다. 실제로 방해석의 돌로마이트화로 생성된 광물이다.
16). 자철석
자철석은 철 성분이 함유된 광물이기 때문에 공기 중에서 산화가 돼있음을 볼 수 있다. 광택은 보이지 않았고 조흔판으로 긁었을 때 검은색이 나타났다. 쇠못보다는 강하고 조흔판에 긁히는 걸로 보아 강도는 5~6사이로 추정 할 수 있었으며 염산과는 반응 하지 않았으나 자석과 반응 하였을 때 약간의 자성을 띔을 볼 수 있었다.
17). 황철석
황금색을 띄고 있으며 금속광택을 띄고 있음을 볼 수 있다. 광물의 크기가 작아서 확실하지는 안으나 주상의 정벽을 보이고 있었으며 조흔판으로 긁었을 때 검은색을 띄었으며 형석에는 강하고 조흔판에 긁히는 걸로 보아 강도는 6으로 추정 된다. 염산에는 반응 하지 않았다.
18). 방해석
무색이나 흰색을 띄는걸 알 수 있으며 진주광택을 나타냄을 관찰 할 수 있었다. 조흔판으로 긁었을 때 흰색의 조흔색을 나타냄을 알 수 있으며 손톱보다는 강하나 쇠못에 긁힘으로 강도는 3으로 추정된다. 방해석은 염산과 반응하는데 탄산염을 가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아라고나이트의 동질이상이며 돌로마이트와 성질이 비슷하다고 할 수 있다.
19). 장석
흰색을 보이며 유리광택을 졸 수 있다. 조흔판에 긁어 보았을 때 흰색의 조흔색을 볼 수 있었으며 칼날에 강하고 조흔판에 긁히는 걸로 보아 강도는 6으로 추정되며 염산에 반응 하지 안았다. 칼륨과 나트륨 칼슘과 고용체 관계를 가지고 있다.
20). 갈탄
갈탄은 석탄의 한 종류 로서 겉보기 색은 검은색이 으로 나타나며 결정형은 알아 볼 수 없었다. 조흔판에 긁어 보았을 때 검은색으로 나타났으며 손톱에도 쉽게 긁히는 걸로 보아 강도는 2이하로 추정된다. 자성이 없으며 염산과 반응 하지 않았다.
3. 관찰 후기
- 관찰을 실제로 해봄으로서 여러 가지 광물들을 분류 할 수 있는 자신만의 기준이 생겨 좋았다. 자연 상태의 광물에서는 많은 변수가 작용하기 때문에 실제 실험한 값이랑 인터넷에서 찾은 값이 다른 것도 있었다. 광물의 결정형은 몇몇 광물을 제외하고는 관찰하기가 매우 어려웠다. 또 자성을 가지고 있는 광물 또한 실험에서는 관찰하기 어려웠다. 따라서 이번 관찰 실험에서는 겉보기 색, 조흔색, 강도, 염산반응을 통해 주로 분류 하였는데 어느 정도 광물을 분류 할 수 있었다.
  • 가격6,300
  • 페이지수13페이지
  • 등록일2015.09.04
  • 저작시기2014.9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98045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