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모교육] 맞벌이가족의 특성과 맞벌이가족의 문제 및 맞벌이가족 자녀의 자녀교육 지침,여성 취업에 대한 사회적 태도의 변화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부모교육] 맞벌이가족의 특성과 맞벌이가족의 문제 및 맞벌이가족 자녀의 자녀교육 지침,여성 취업에 대한 사회적 태도의 변화 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맞벌이가족의 특성
1. 맞벌이가족의 발생 원인
2. 여성 취업에 대한 사회적 태도의 변화
3. 맞벌이가족의 특징

Ⅲ. 맞벌이가족의 문제

Ⅳ. 맞벌이가족 자녀의 자녀교육 지침

Ⅴ.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권위를 가지고 있는 것이 좋다. 또한 자녀를 돌보는 양육자와 부모는 가급적 동일한 양육 기준을 가지고 있는 것이 바람직한데, 그것은 가령 자녀가 동일한 행위로 인해 낮에는 돌보는 양육자에게 칭찬을 받고 저녁에는 부모에게 야단을 맞는다면 가치관의 혼란을 빚기 때문이다. 일관성 없는 양육은 자녀의 가치관 정립과 성격 형성에 부정적인 영향을 주며, 자녀는 지나치게 의존적인 성향을 보일 수 있다.
② 돌보는 양육자의 권위를 인정하고 존중한다. 부모가 자녀 앞에서 돌보는 양육자의 잘못을 꾸짖거나 탓하는 행동은 바람직하지 못하다. 왜냐하면 이러한 행위를 목격한 자녀가 돌보는 양육자에 대한 신뢰감이 상실되어 양육 효과가 감소되기 때문이다.
③ 맞벌이 부모는 퇴근 후 짧은 시간이나마 자녀와 하루 일과에 대해 대화하는 시간을 갖는 등 자녀와 질적으로 의미 있는 시간을 갖도록 노력한다. 자녀와 함께 있는 시간이 어느 정도인가도 중요하나 함께하는 시간을 어떻게 보내는가는 더 중요하다. 물론 자녀가 3세 이전 영아기에는 시간의 질뿐만 아니라 양도 중요하므로 주말이나 공휴일에는 가급적 자녀와 함께 시간을 보내는 것이 바람직하다.
④ 아버지의 적극적인 육아 및 가사 참여가 필요하다. 맞벌이 부부에게 자녀양육은 어머니만의 역할이 아니라 부부가 함께 담당해야 하는 역할이다. 그러므로 아버지의 육아 참여와 가사 분담은 아내의 부족한 일손을 돕는 차원이 아니라, 아이가 육아와 집안일을 함께 하는 아버지를 통해 양성 평등한 가정과 바람직한 성 역할을 배운다는 교육적 의의가 크다.
⑤ 부모는 자녀를 과잉보호하거나 지나친 물질적 보상을 하는 것을 지양한다. 많은 맞벌이 부부는 죄책감 때문에 자녀의 요구에 지나치게 수용적인 태도를 취하기 쉽다. 이러한 관계가 지속되면, 자녀는 부모에게 점점 더 지나친 요구를 하게 되고, 급기야는 응석받이나 이기적인 자녀로 성장하기 쉽다. 따라서 부모는 자녀의 요구에 대해서 분명한 한계를 설정할 필요가 있다. 특히 부모는 미안함과 사랑을 자녀에게 물질적 경제적 차원으로 보상하려고 하는 태도를 지양해야 한다.
⑥ 자녀에게는 부모의 맞벌이 여부보다는 자녀에 대한 부모의 마음가짐과 양육 태도가 중요하다. 맞벌이 부모는 자녀가 부모의 일을 자랑스럽게 여기고 수용하도록 도와주는 것이 중요하다. 이를 위해 부모, 특히 어머니는 자신의 일에 자부심을 갖고 당당하게 성취해 나가는 모습을 보여 주어야 한다.
⑦ 맞벌이 부부의 경우 가사노동과 경제활동으로 인해 양육의 질이 낮아지는 것보다는 조부모의 지원을 요청하는 것이 보다 적극적인 대안이 될 수 있다. 최근 맞벌이가족의 육아 문제나 자녀의 발달을 위해 외형상으로는 핵가족이지만 실제로는 확대가족의 성격을 띠는 수정 핵가족이 점차 중가하고 있다.
Ⅴ. 결론
이상과 같이 맞벌이가족 내에서 부부가 사회적 역할과 부모역할을 동시에 수행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어려움이 수반된다. 아직도 우리 사회에서는 자녀양육과 가사노동에 대한책임이 여성에게 있다고 간주하는 사회적 분위기가 팽배하다. 이러한 사회적 부담으로 인해 맞벌이가족의 여성은 직장일, 어머니 역할, 아내 역할 둥에 대한 역할 부담이 심각하다. 따라서 가정의 삶의 질과 복지 중진을 위해서는 아버지의 양육 참여와 가사 분담, 맞벌이 상황에 대한 인식 개선이 필요하다.
참고문헌
이선애, 김상림 외 저, 부모교육, 정민사 2015
박성연, 김상희 외 저, 부모교육(자녀와의 진정한 만남을 위한), 교육과학사 2014
김정미, 이원영 저, 예비부모교육(대학생을 위한), 학지사 2011
연미희, 김진숙 저, 부모교육 이론과 실제, 동문사 2009
유은정, 김혜연 외 저, 부모교육, 양성원 2012
  • 가격2,200
  • 페이지수8페이지
  • 등록일2015.09.07
  • 저작시기2015.9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98090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