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사회문제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한국사회문제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한국사회문제

1. 지역이나 공동체가 주체가 되어 해결하고자 한 실제 사례
2. 사회문제 인식과 해결방법



Ⅲ. 결론


※ 부록
참고문헌

본문내용

했다는 것이다. 이 글을 있는데 참 뿌듯했고, 나까지 기분이 좋아졌다. 여민동락은 고령화 문제의 해결뿐만 아니라 지역에서 조손 가정의 아이들을 비롯해 학습권을 보장받지 못하는 아이들을 보살피는 일도 하고 있다. 도시처럼 교육의 손길이 보장되지 못하기 때문에 농촌에서는 사교육도 힘들도 공교육 또한 이사로 인해 아이들이 도시로 나가면서 그 자리가 위태롭기도 하다. 그래서 지역의 유관 기관들과 함께 ‘큰들 야학’을 운영한다. 이런 이야기를 듣고 마을과 지역을 재생하자면서 전문역량을 갖춘 귀농인들이 늘어나고 있다.
이 공동체는 억압과 소외, 빈곤이 없는 마을, 세상을 만들기 위해 사회적 실천에 동참하겠다고 한다. 삶의 근본이자, 민족의 뿌리인 농촌의 경제와 교육과 문화를 살리고 앞으로 블루 오션이 될 농촌 복지 시대를 위해 노력하고 있다. 또한 노인복지의 한국적 모델을 연구하고 복지 교육을 실천하기 위해 노령사회로 전환하는 상황에 맞게 노인복지 모델도 구축하고 있다. 또한 어린 아이들을 정직하고 아름다운 성인으로 성장하도록 양성하고 이들의 교육을 위해 힘쓰고 있다. 여민동락은 이곳 서비스 대상자의 삶의 조건과 처지를 우선적으로,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인간적이고 양심적으로 복지 활동을 하여, 마을 주민들 모두가 가족애를 도모하고 다양한 경험과 학습을 토대로 복지의 전문화를 앞당기고자 최선을 다하고 있다.
Ⅲ. 결론
여민동락은 무너져가는 농촌을 살리는 복지 공동체다. 지금도 곳곳의 농어촌에서 농업 인력의 감소와, 마을 주민의 이동, 젊은층과 아이들의 인구 감소로 힘들어 하고 있는 곳이 많다. 이런 곳에 여민동락의 의미를 갖은 여러 공동체들이 생겨남으로서 농촌도 살리고, 고령화와 귀농에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다.
무엇보다 이런 공동체를 구성하게되면 지역사회에 관한 애정부터 남다르게 된다. 나의 고향, 내가 살고 있는 지역이라는 의미보다는 삶의 터전과 미래의 꿈이 있는 곳으로 지역에 도움이 되고자 하는 노력부터 계획까지 모든일에 애정을 갖게 되는 것이다. 또한 사회복지 사업의 한계를 자급자족과 지역 사회, 지역 주민, 후원자들과 함께하여 정부지원 없는 다른 노선을 채택했다는 점이 큰 장점 인 것 같다. 항상 여민동락과 지역을 위해 공부하고 쌓인 지식과 전문성으로 이 공동체를 지속 가능하게 만들고 있는 것이다.
우리 나라사회는 사회적 구조로 인해 점점 문제가 많아 지고 있다. 다양한 환경과 조건들 속에서 이런 사회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개인적일 노력뿐만 아니라 공동체를 이루어 힘을 합해 해결해 나간다면 더 빠르고, 신속하고, 정확하게 해결 할 수 있을 것이다. 사회 구조적 변화를 통한 해결을 시간이 오래거릴 수밖에 없다. 하지만 내 삶, 내 지역의 환경을 스스로 개척하고 변화시킨다면 국가의 적극적인 개입 없이도 문젤ㄹ 해결해 나갈 수 있다는 점을 앞으로도 부각 시키면 좋을 것 같다.
※ 부록
참고문헌
* 마을을 먹여 살리는 마을기업, 정기석, 이매진, 2011.
* 마을 기업 희망 공동체 농촌을 살리는 대안 경제, 정윤성, 씽크스마크, 2013
  • 가격3,0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15.09.19
  • 저작시기2015.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98200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