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수술실 사용 기구
1. Clamps
2. Forceps
3. Scissors
4. Retracter
5. 그 외
Ⅱ. 봉합사
Ⅲ. 봉합바늘
1. Needle points
2. Needle body
3. Eye of needle
4. Needle of swage
5. 봉합방법
Ⅳ. 지혈제
Ⅴ. 소독간호사와 순환간호사의 역할
1. 소독간호사
2. 순환간호사
1. Clamps
2. Forceps
3. Scissors
4. Retracter
5. 그 외
Ⅱ. 봉합사
Ⅲ. 봉합바늘
1. Needle points
2. Needle body
3. Eye of needle
4. Needle of swage
5. 봉합방법
Ⅳ. 지혈제
Ⅴ. 소독간호사와 순환간호사의 역할
1. 소독간호사
2. 순환간호사
본문내용
: 결찰시 봉합사가 혈관 내강의 끝이나 조직에서 빠져 나오는 것을 방지하고자 할 때 사용함.
Ⅳ.지혈제
bovie(전기소작기) : 수술시 사용되는 전기소작기로 전기에너지를 이용하여 조 직을 절개하거나 작은 혈관을 응고시켜 지혈 시킨다.
bone wax : 70%의 Beeswax와 30%의 Vaseline 혼합물로 이루어진 비흡수성의 재질이다. 문지름으로써 뼈 내에 있는 혈관의 채널을 기계적으로 차 단하여 지혈효과를 얻게 된다. 인체조직의 대체 및 수복 (뼈로부터 일 어나는 출혈에 대한 기계적 지혈)을 부드럽고 쉽게 원하는 형태로 적 용 할 수 있고, 다루기 쉽다. celox : 주요 동맥출혈을 조절하고 열을 생성하지 않고, 극한 온도에서도 작용 하며 경량에 휴대성이 있고 특별한 교육 없이 쉽게 사용할 수 있다. 출혈 부위에 쏟아 붓는 과립 형태이다. 출혈 부위에서 젤리 형태로 되고 쉽게 제거할 수 있다. 과립 형태이기 때문에 깊고 좁은 상처에 적용할 수 있다.
hemocon bandage : 동결 건조 키토산 드레싱으로 점액접착성 표면 농도와 손 상 부위에서 키토산의 구조적 결합성을 최대화해 고안되었다. 본질적으로 hemocon bandage는 혈액과 접촉했을 때 극도로 찐득거리게 되어서 작용 한다. 접착 작용이 상처를 밀폐하고 출혈을 조절한다. 화학적 구성은 양전하 를 띄어 음전하인 적혈구를 끌어 당긴다. 적혈구는 hemocon bandage에 흡 수되는 대로 밀폐를 만들어 밀폐된 접착성 응고(딱지)를 형성한다.
fibrin-based sealant : polyglactin 망사 받침에 인체 섬유소원, 인체 트롬빈과 염화칼슘을 동결 건조해 포함하고 있다. 준비 과정 없이 포장에서 꺼냈을 때 바로 사용할 수 있어 편리하다. 구성요소는 인체파생물임에도 에이즈나 간염같은 전염 질환의 위험이 없다.
직접체험 : 출혈부위를 네오빌이란 거즈로 덮은 다음 Tissel을 녹여서 네오빌 위해 뿌려서 지혈을 시킴.
Ⅴ. 소독간호사와 순환간호사의 역할
1. 소독간호사
기본 수술 복장 외에 철저한 외과적 손 소독을 하고 소독 가운과 소독 장갑을 착용
1.절차에 따라 손을 소독한 후 수술가운을 입고 closed method로 장갑을 낀다.
2. 수술에 대비하여 기계상의 기구들을 준비한다.
3. 수술시작 전에 순회간호사와 함께 거즈, 패드, 기구, surgical blade, 바늘 등을 센다.
4. 국소마취인 경우에는 약명과 용량을 순회간호사와 같이 확인하고 준비한다.
5. 소독간호사의 자리에서 기구를 안전한 방법으로 집도의에게 확인하고 건네준다.
6. 수술 중 거즈와 봉합사, 물품, 장비 등을 제공하고 수술 진행에 따른 요구를 예견하고 준비한다.
7. 수술 부위 주위를 깨끗이 정리하고 기계가 서로 겹치지 않도록 한다.
8. cavity 봉합 직전, cavity 봉합 후 , 피부봉합 직전에 거즈, 패드, 기구, surgical blade, 바늘 등을 정확히 계수하고 기록한다.
9. 피부봉합이 끝난 후 피부 절개부위의 피를 닦기 위한 젖은 거즈와 드레싱을 준비한다.
10, 모든 기구를 정확히 계수한 후 세척 및 소독을 의뢰한다.
11. 다음 수술을 위해 순회간호사와 함께 방을 정리한다.
12. package, 세트, 거즈, 물품을 정돈하여 다음 수술에 대비한다.
-수술의 해부와 생리, 수술 과정에 대해 명확히 알고 있어야 한다.
- 수술 부위를 제외하고 소독포로 덮는 것을 돕는다.
- 혈액의 손실을 계산하기 위하여 사용한 세척 용액을 계산해 둔다.
- 새로운 수술실 간호사를 교육시킨다.
2. 순환간호사
기본적인 수술실 복장만 갖추면 됨
1. 환자가 들어오기 전에 방을 정리 정돈하고 장비가 잘 작동되는지 점검한다.
2. 수술침대의 어스선이 연결되어 있는지 확인한다.
3. 장시간의 수술로 인한 피부손상을 예방하기 위하여 수술침대 위에 젤패드나 스펀지를 적용한 후 시트를 펴 둔다.
4. 환자가 수술실에 입실하면 수술스케줄, 등록번호 등을 참고하고 개방형 질문을 이용하여 환자를 확인한다.
5. 환자의 프라이버시를 유지하고 보온해준다.
6. 환자를 수술침대에 옮긴 후 수술 전 전신피부상태를 관찰하고 기록한다.
7. 억제대를 적용하기 전 환자에게 필요성을 설명하고 필요부위를 고정한다.
8. Bovie plate의 부착부위, 피부와의 접착 상태 등을 확인하고 기록한다.
9. 기구상 위에 소독포, 기구, 수술에 필요한 물품들을 편다. 펴기 전에 반드시 소독확인표(indicator)와 유효일자를 확인한다.
10. 소독간호사와 함께 거즈, 패드(pad), 바늘, surgical blade 등을 센다.
11. 수술팀의 가운 입는 것을 도와준다.
12. 무영등의 초점을 맞추고 필요로 하는 사람에게 발판을 놓아준다.
13. 수술침대의 양쪽에 거즈통을 놓아주고 흡인기와 전기지혈기 등 수술에 필요한 장비들을 연결한다.
14. 수술이 시작되면 수술방 문을 닫아 양압을 유지하고 출입을 최소한으로 한다.
15. 수술의 진행에 따라 수술팀에게 필요한 것을 공급하며 수술실을 정리 정돈한다.
16. 담당 수술실 내에 머물면서 수술 동안의 환자 상태와 진행을 파악하고, 수술에 필요한 물품 등을 준비하고 공급한다.
17. 검체가 있는 경우는 검체에 라벨을 부착한 후 정해진 장소에 보관한다.
18. 수술이 끝난 후 환자가 수술실을 나가기 전에 반창고, 피 등을 제거해준다.
19, 수술 후 의 전신 피부상태를 관찰하고 기록한다.
20. 환자를 수술팀(인턴, 주치의, 회복실 간호사)과 함께 이송용 침대로 안전하게 옮긴다.
21. 수술간호 기록을 확인하고 처치재료를 정확히 입력한다.
22. 미화원에게 연락하여 수술방을 청소한다.
23. 수술침대, 기구상, 메이요상(mayostand) 등 환자와의 직접 접촉부위를 소독액으로 닦은 후 다음 수술환자가 들어오도록 한다.
24. 모든 수술이 끝난 후 흡인기와 전기지혈기 등 모든 전기기구의 플러그를 빼고 정리한다.
25. 접수되지 않고 남아있는 검체가 있으면 즉시 접수하도록 조치한다.
26. 근무시간에 발생한 문제점이나 물품공급상의 문제에 대해 수간호사에게 보고함
Ⅳ.지혈제
bovie(전기소작기) : 수술시 사용되는 전기소작기로 전기에너지를 이용하여 조 직을 절개하거나 작은 혈관을 응고시켜 지혈 시킨다.
bone wax : 70%의 Beeswax와 30%의 Vaseline 혼합물로 이루어진 비흡수성의 재질이다. 문지름으로써 뼈 내에 있는 혈관의 채널을 기계적으로 차 단하여 지혈효과를 얻게 된다. 인체조직의 대체 및 수복 (뼈로부터 일 어나는 출혈에 대한 기계적 지혈)을 부드럽고 쉽게 원하는 형태로 적 용 할 수 있고, 다루기 쉽다. celox : 주요 동맥출혈을 조절하고 열을 생성하지 않고, 극한 온도에서도 작용 하며 경량에 휴대성이 있고 특별한 교육 없이 쉽게 사용할 수 있다. 출혈 부위에 쏟아 붓는 과립 형태이다. 출혈 부위에서 젤리 형태로 되고 쉽게 제거할 수 있다. 과립 형태이기 때문에 깊고 좁은 상처에 적용할 수 있다.
hemocon bandage : 동결 건조 키토산 드레싱으로 점액접착성 표면 농도와 손 상 부위에서 키토산의 구조적 결합성을 최대화해 고안되었다. 본질적으로 hemocon bandage는 혈액과 접촉했을 때 극도로 찐득거리게 되어서 작용 한다. 접착 작용이 상처를 밀폐하고 출혈을 조절한다. 화학적 구성은 양전하 를 띄어 음전하인 적혈구를 끌어 당긴다. 적혈구는 hemocon bandage에 흡 수되는 대로 밀폐를 만들어 밀폐된 접착성 응고(딱지)를 형성한다.
fibrin-based sealant : polyglactin 망사 받침에 인체 섬유소원, 인체 트롬빈과 염화칼슘을 동결 건조해 포함하고 있다. 준비 과정 없이 포장에서 꺼냈을 때 바로 사용할 수 있어 편리하다. 구성요소는 인체파생물임에도 에이즈나 간염같은 전염 질환의 위험이 없다.
직접체험 : 출혈부위를 네오빌이란 거즈로 덮은 다음 Tissel을 녹여서 네오빌 위해 뿌려서 지혈을 시킴.
Ⅴ. 소독간호사와 순환간호사의 역할
1. 소독간호사
기본 수술 복장 외에 철저한 외과적 손 소독을 하고 소독 가운과 소독 장갑을 착용
1.절차에 따라 손을 소독한 후 수술가운을 입고 closed method로 장갑을 낀다.
2. 수술에 대비하여 기계상의 기구들을 준비한다.
3. 수술시작 전에 순회간호사와 함께 거즈, 패드, 기구, surgical blade, 바늘 등을 센다.
4. 국소마취인 경우에는 약명과 용량을 순회간호사와 같이 확인하고 준비한다.
5. 소독간호사의 자리에서 기구를 안전한 방법으로 집도의에게 확인하고 건네준다.
6. 수술 중 거즈와 봉합사, 물품, 장비 등을 제공하고 수술 진행에 따른 요구를 예견하고 준비한다.
7. 수술 부위 주위를 깨끗이 정리하고 기계가 서로 겹치지 않도록 한다.
8. cavity 봉합 직전, cavity 봉합 후 , 피부봉합 직전에 거즈, 패드, 기구, surgical blade, 바늘 등을 정확히 계수하고 기록한다.
9. 피부봉합이 끝난 후 피부 절개부위의 피를 닦기 위한 젖은 거즈와 드레싱을 준비한다.
10, 모든 기구를 정확히 계수한 후 세척 및 소독을 의뢰한다.
11. 다음 수술을 위해 순회간호사와 함께 방을 정리한다.
12. package, 세트, 거즈, 물품을 정돈하여 다음 수술에 대비한다.
-수술의 해부와 생리, 수술 과정에 대해 명확히 알고 있어야 한다.
- 수술 부위를 제외하고 소독포로 덮는 것을 돕는다.
- 혈액의 손실을 계산하기 위하여 사용한 세척 용액을 계산해 둔다.
- 새로운 수술실 간호사를 교육시킨다.
2. 순환간호사
기본적인 수술실 복장만 갖추면 됨
1. 환자가 들어오기 전에 방을 정리 정돈하고 장비가 잘 작동되는지 점검한다.
2. 수술침대의 어스선이 연결되어 있는지 확인한다.
3. 장시간의 수술로 인한 피부손상을 예방하기 위하여 수술침대 위에 젤패드나 스펀지를 적용한 후 시트를 펴 둔다.
4. 환자가 수술실에 입실하면 수술스케줄, 등록번호 등을 참고하고 개방형 질문을 이용하여 환자를 확인한다.
5. 환자의 프라이버시를 유지하고 보온해준다.
6. 환자를 수술침대에 옮긴 후 수술 전 전신피부상태를 관찰하고 기록한다.
7. 억제대를 적용하기 전 환자에게 필요성을 설명하고 필요부위를 고정한다.
8. Bovie plate의 부착부위, 피부와의 접착 상태 등을 확인하고 기록한다.
9. 기구상 위에 소독포, 기구, 수술에 필요한 물품들을 편다. 펴기 전에 반드시 소독확인표(indicator)와 유효일자를 확인한다.
10. 소독간호사와 함께 거즈, 패드(pad), 바늘, surgical blade 등을 센다.
11. 수술팀의 가운 입는 것을 도와준다.
12. 무영등의 초점을 맞추고 필요로 하는 사람에게 발판을 놓아준다.
13. 수술침대의 양쪽에 거즈통을 놓아주고 흡인기와 전기지혈기 등 수술에 필요한 장비들을 연결한다.
14. 수술이 시작되면 수술방 문을 닫아 양압을 유지하고 출입을 최소한으로 한다.
15. 수술의 진행에 따라 수술팀에게 필요한 것을 공급하며 수술실을 정리 정돈한다.
16. 담당 수술실 내에 머물면서 수술 동안의 환자 상태와 진행을 파악하고, 수술에 필요한 물품 등을 준비하고 공급한다.
17. 검체가 있는 경우는 검체에 라벨을 부착한 후 정해진 장소에 보관한다.
18. 수술이 끝난 후 환자가 수술실을 나가기 전에 반창고, 피 등을 제거해준다.
19, 수술 후 의 전신 피부상태를 관찰하고 기록한다.
20. 환자를 수술팀(인턴, 주치의, 회복실 간호사)과 함께 이송용 침대로 안전하게 옮긴다.
21. 수술간호 기록을 확인하고 처치재료를 정확히 입력한다.
22. 미화원에게 연락하여 수술방을 청소한다.
23. 수술침대, 기구상, 메이요상(mayostand) 등 환자와의 직접 접촉부위를 소독액으로 닦은 후 다음 수술환자가 들어오도록 한다.
24. 모든 수술이 끝난 후 흡인기와 전기지혈기 등 모든 전기기구의 플러그를 빼고 정리한다.
25. 접수되지 않고 남아있는 검체가 있으면 즉시 접수하도록 조치한다.
26. 근무시간에 발생한 문제점이나 물품공급상의 문제에 대해 수간호사에게 보고함
추천자료
[성인간호]위암 간호진단
지주막하출혈 성인간호학 SAH 케이스스터디 간호과정
[성인간호학] 신경외과 hemiparesis 간호과정 case study
[성인간호학][피부이식][Skin Graft][화상환자간호]문헌고찰
[성인간호학 공통] 당뇨병의 분류와 당뇨병 환자의 일반적인 치료 중재 및 당뇨병 환자들에게...
[성인간호학 공통] 우리나라는 지속적으로 대장암의 발생률이 증가하고 있으며 이로 인한 장...
★ 성인간호학 - 울혈성 심부전 ( 울혈성 심부전, Acorn Cardiac Support Device, 간호과정, ...
[성인간호학]]혈액투석과_간호
[성인간호학] 호흡기계 질환에 대한 일반적 간호중제
[성인간호학A+]유방장애 대상자 간호와 관리
[성인간호] 요실금_병태생리 및 간호중재
[성인간호] 지주막하출혈 병태생리 및 간호진단
[성인간호] 요붕증_병태생리, 약물요법 및 간호중재
[성인간호] 대동맥판 협착증(Aorta stenosis) 병태생리 및 간호진단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