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광현미경의 이해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편광현미경의 이해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편광현미경이란
2. 편광현미경의 구조
3. 편광현미경의 기본원리
4. 편광현미경을 다룰 때의 유의사항
5. 관찰방법
6. 개방니콜 관찰
7. 직교니콜 관찰
8. 광학적 등방체와 이방체, 불투명 광물의 구별

본문내용

. 먼저, 직교니콜에서 관찰할 수 있는 대표적인 현상으로 복굴절이 있다. 복굴절이란 방향에 따라 굴절률이 다른 이방체광물에 빛이 도달할 경우 빛이 다른 방향의 두 개 이상의 굴절광으로 굴절되는 현상이다. 이는 직교니콜 상태에서 관찰이 가능하다. 또한 직교니콜 상태에서 관찰할 수 있는 대표적인 것 중 하나는 간섭색이다. 간섭색은 상부니콜을 넣었을 때 보이는 색으로 광물의 복굴절에 의한 광로차 때문에 생긴다. 그 외에 쌍정(twin) 또한 관측된다. 쌍정은 동일한 성분으로 구성된 두 개 이상의 결정인데, 이는 개방니콜 상태에서는 하나의 결정으로 보인다. 하지만, 직교니콜에서 광학적 차이로 인해 두 개로 보인다. 대표적인 쌍정으로는 앨바이트 쌍정(조장석으로 이루어진 쌍정), 칼스바드 쌍정(주로 정장석의 고온형인 새니딘으로 이루어진 쌍정) 등이 있다. 또한 직교니콜로 관찰 가능한 것 중 하나가 누대조직이다. 누대조직은 고용체 광물에서 주로 관찰되는 것으로 중심부에서 외측으로 갈수록 화학조성이 조금씩 달라지기 때문에 나타나는 현상이다. 즉, 광물의 화학조성이 중심부에서 외측까지 조금씩 다르므로 띠 모양으로 간섭색이 다르게 나타난다. 즉, 누대구조는 직교니콜에서 관찰할 수 있는 대표적인 현상 중 하나이다. 마지막으로, 직교니콜에서 관찰할 수 있는 대표적인 현상으로 소광이 있다. 소광은 상부니콜을 넣었을 경우, 빛이 입사하는 방향과 진동하는 방향이 수직이기 때문에 편광되어 아무것도 보이지 않게 되기 때문에 나타나는 현상이다. 보통 소광은 재물대를 돌릴 경우 마다 4번 나타난다. 즉, 상부니콜의 주 진동방향과 45방향으로 이방성 물질이 놓여있을 때 가장 밝게 보인다.
8. 광학적 등방체와 이방체, 불투명 광물의 구별
직교니콜에서 뿐만 아니라 개방니콜에서도 어둡게 보이면 불투명광물이다. 하지만, 개방니콜에서는 밝기 보이나 직교니콜에서는 어둡게 보이면 등방체이다. 개방니콜과 직교니콜 모두에서 관찰이 가능하면 이방체이다. 대표적인 이방체로는 방해석, 휘석, 각섬석, 다이아몬드, 섬아연석 등이 있다. 이방체는 복굴절을 보이는 광물을 말한다. 즉, 조직의 성분이 등방하게 있는 것이 아니라 성분의 변화가 존재하기 때문에 빛의 굴절방향이 달라져서 생기는 것이다. 이방체의 경우 성분이 다르므로 농도와 색의 변화가 존재하기 때문에 개방니콜에서 다색성이 나타나며, 직교니콜 하에서는 광물의 복굴절에 따른 광로차에 의해 간섭색이 나타난다.
  • 가격2,0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15.09.30
  • 저작시기2015.8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98289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