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2장. 증폭기의 주파수 특성
1. 사용 장비 및 부품
2. 실험 방법 및 결과
3. 결론
1. 사용 장비 및 부품
2. 실험 방법 및 결과
3. 결론
본문내용
7.4249
17.414
444
7.4000
17.385
100k
444
7.4147
17.402
443
7.3833
17.365
200k
438
7.3335
17.308
440
7.3333
17.306
400k
422
7.0347
16.945
420
7.0000
16.902
500k
408
6.8277
16.682
409
6.8167
16.671
700k
380
6.3403
16.039
312
5.2000
14.320
1M
336
5.6100
14.997
244
4.0667
12.185
3M
159
2.6556
8.5114
100
1.6667
4.4370
5M
100
1.6598
4.4433
72
1.2000
1.5836
7M
71
1.1883
1.5768
62
1.0333
0.2848
10M
50
0.8519
-1.5768
46
0.7667
-2.3079
입력에 60mVpp인 정현파 신호를 인가하고 주파수를 10Hz~10MHz로 변화시켜가며 전압 이득을 측정하였다. PSPICE 시뮬레이션과 실험 측정값이 대체적으로 비슷했지만 700kHz이상 부터는 약간의 차이가 있었다. 실험에서 출력 전압이 최대일 때는 약 443mVpp였고 이보다 약 0.707배인 출력이 313mVpp인 주파수를 찾아 하한 주파수와 상한 주파수를 찾았다. 실험에서 전압 이득이 최대일 때 실험에서 중간 주파수 이득은 약17.385dB 이였고 3dB 감소한 하한과 상한 주파수를 찾아보니 하한 주파수 =115Hz, 상한 주파수 =700kHz 이였다. PSPICE 시뮬레이션에서 얻은 =117.7Hz =1.14MHz과 비교하였을 때 하한 주파수는 거의 비슷했지만 상한 주파수는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2.2.4 검토 사항
이 실험에서는 대체적으로 PSPICE 시뮬레이션과 비슷했지만 700Hz이상에서는 실험 측정 전압 이득이 PSPICE로 예상했던 값보다 더 빨리 떨어졌다. 예비보고서 작성시에 이론적으로 계산한 상한 주파수는 약 0.5MHz였는데 실험 및 PSFICE 시뮬레이션 값과 다른 것을 보아 계산을 틀린 것 같다. MATLAB을 통해 그래프를 그린 그림에서 상한 주파수 이후에서 약간 빈 구간이 있는데 그 구간을 좀 더 측정했다면 더 정확한 결과를 얻을 수 있었을 것이다.
3. 결론
이번 실험을 통해 증폭기가 주파수에 따라 증폭률이 달라지는 원리와 상한 하한 주파수의 개념을 알 수 있었다. 주파수가 낮아지면 결합 커패시터와 단락 커패시터가 이득을 감소시키고, 주파수가 높아지면 트랜지스터 내부의 기생 커패시터들의 영향을 받아 이득을 감소시키는 것을 이번 실험을 계기로 알 수 있었다. 아직 배우지 않은 개념이라 실험이 약간 생소했지만 실험 결과 값은 예상했던 만큼 나와 큰 문제는 없었다. 또한 이번 실험에서 MATLAB을 사용해 실험 결과 값을 그래프로 그려보는 방법을 배웠고 MATLAB의 커맨드 창에 전압 이득 등 필요한 정보를 계산한 결과를 쉽게 확인할 수 있어 직접 하나하나 계산하지 않고 MATLAB을 통해 쉽게 계산할 수 있다는 것을 배우게 되어 유익했다.
17.414
444
7.4000
17.385
100k
444
7.4147
17.402
443
7.3833
17.365
200k
438
7.3335
17.308
440
7.3333
17.306
400k
422
7.0347
16.945
420
7.0000
16.902
500k
408
6.8277
16.682
409
6.8167
16.671
700k
380
6.3403
16.039
312
5.2000
14.320
1M
336
5.6100
14.997
244
4.0667
12.185
3M
159
2.6556
8.5114
100
1.6667
4.4370
5M
100
1.6598
4.4433
72
1.2000
1.5836
7M
71
1.1883
1.5768
62
1.0333
0.2848
10M
50
0.8519
-1.5768
46
0.7667
-2.3079
입력에 60mVpp인 정현파 신호를 인가하고 주파수를 10Hz~10MHz로 변화시켜가며 전압 이득을 측정하였다. PSPICE 시뮬레이션과 실험 측정값이 대체적으로 비슷했지만 700kHz이상 부터는 약간의 차이가 있었다. 실험에서 출력 전압이 최대일 때는 약 443mVpp였고 이보다 약 0.707배인 출력이 313mVpp인 주파수를 찾아 하한 주파수와 상한 주파수를 찾았다. 실험에서 전압 이득이 최대일 때 실험에서 중간 주파수 이득은 약17.385dB 이였고 3dB 감소한 하한과 상한 주파수를 찾아보니 하한 주파수 =115Hz, 상한 주파수 =700kHz 이였다. PSPICE 시뮬레이션에서 얻은 =117.7Hz =1.14MHz과 비교하였을 때 하한 주파수는 거의 비슷했지만 상한 주파수는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2.2.4 검토 사항
이 실험에서는 대체적으로 PSPICE 시뮬레이션과 비슷했지만 700Hz이상에서는 실험 측정 전압 이득이 PSPICE로 예상했던 값보다 더 빨리 떨어졌다. 예비보고서 작성시에 이론적으로 계산한 상한 주파수는 약 0.5MHz였는데 실험 및 PSFICE 시뮬레이션 값과 다른 것을 보아 계산을 틀린 것 같다. MATLAB을 통해 그래프를 그린 그림에서 상한 주파수 이후에서 약간 빈 구간이 있는데 그 구간을 좀 더 측정했다면 더 정확한 결과를 얻을 수 있었을 것이다.
3. 결론
이번 실험을 통해 증폭기가 주파수에 따라 증폭률이 달라지는 원리와 상한 하한 주파수의 개념을 알 수 있었다. 주파수가 낮아지면 결합 커패시터와 단락 커패시터가 이득을 감소시키고, 주파수가 높아지면 트랜지스터 내부의 기생 커패시터들의 영향을 받아 이득을 감소시키는 것을 이번 실험을 계기로 알 수 있었다. 아직 배우지 않은 개념이라 실험이 약간 생소했지만 실험 결과 값은 예상했던 만큼 나와 큰 문제는 없었다. 또한 이번 실험에서 MATLAB을 사용해 실험 결과 값을 그래프로 그려보는 방법을 배웠고 MATLAB의 커맨드 창에 전압 이득 등 필요한 정보를 계산한 결과를 쉽게 확인할 수 있어 직접 하나하나 계산하지 않고 MATLAB을 통해 쉽게 계산할 수 있다는 것을 배우게 되어 유익했다.
추천자료
전자회로 실험 실습기
전자오르간[전자회로 실험 텀프로젝트]
[전자회로실험] 이미터팔로워 실험
[전자회로실험] 전압레귤레이션
전자회로 실험(김동식 저) - 1장 다이오드 특성 및 반파 정류회로 실험
전자회로 실험 리포트
전자회로 실험 JFET특성
[전자회로실험] 종속접속 증폭기, 오디오 증폭기 발표자료입니다.
[전자회로실험] 이미터 접지 바이어스와 증폭도 발표자료입니다.
[전자회로실험] 접합형 전계효과 트랜지스터 발표자료입니다.
[전자회로 실험] BJT의 특성 및 DC Bias 회로 - 실험
[전자회로 실험 1] (결과) DIODE 2 - Bridge회로를 구성하고 동작원리를 이해, Transformer를...
[전자회로 실험] 반파정류기와 전파정류기의 출력파형을 관찰하고 측정
전자회로 설계 및 실험 - 다이오드 특성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