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실험목적
2. 실험원리
3. 실험기구 및 장치
4. 실험방법
5. 실험결과
6. 참고문헌
2. 실험원리
3. 실험기구 및 장치
4. 실험방법
5. 실험결과
6. 참고문헌
본문내용
춘다. 경사판이 평평하게 되도록 수직추를 이용한다. 도르래의 위치를 조정하여 끈이 경사면의 표면과 수평이 되도록 한 다.
(2) 용수철 저울을 이용하여 마찰 블록의 무게 W를 측정한다.
(3) 나무토막과 도르래를 설치한다. 실이 수평으로 나무토막을 끌게 끔 조절한다.
(4) 마찰블록을 작은 힘으로 밀었을 때 경사판을 따라 천천히 일정한 속도로 계속해서 움직 이도록 추의 무게를 조정한다.
(5) 깨끗한 넓은 면, 깨끗한 좁은 면, 테이프가 붙은 면으로 실험한다.
(6) 미끄럼 마찰의 크기와 수직항력의 크기의 비를 계산한다. 이 비를 마찰계수라 한다.
(7) 두 물체 사이에 작용하는 미끄럼 마찰력은 두 물체 사이에 작용하는 수직 항력, 접촉 면적, 접촉 재질과 어떤 관계가 있는지 알아본다.
5. 실험결과
질량(g)
추와 나무토막(g)
무게(g)
A
B
C
50
113.30
16.62
17.4
11.57
100
163.30
26.24
28.67
22.7
힘=9.8무게(kg)
질량(g)
수직항력
(dyne)
(dyne)
A
B
C
A
B
C
50
1.11
0.16
0.17
0.11
0.15
0.15
0.10
100
1.6
0.26
0.28
0.22
0.14
0.18
0.14
A B C
그림 3. 50g추 실험
A B C
그림 4. 100g추 실험
수직항력이 변하면 마찰력도 변한다는 것이 마찰계수를 정의하게 된 이유이다. 하지만 그렇다 하더라도 그 비는 변하지 않아야 한다.위 실험에서 A와 B는 같은 마찰계수 값을 가져야 한다. 왜냐하면 한 물체에서 면적이 좁은 부분과 넓은 부분이 있더라도 mg값은 변하지 않기 때문이다. 반면 물체C 에서의 마찰계수는 낮게 나왔다. 매끈한 면이 거친 면보다 적은 마찰계수는 가진다는걸 알 수 있었다. 이를 통해 마찰계수는 물체의 크기 (면적)에 무관하고 접촉면의 상태(재질, 거칠기)에 영향을 받는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실험에서 수평을 맞추는데 어려움을 겪어서 인지 100g추를 올렸을 때 그림 4 와 같이 균형을 이루지 못하고 측정했다. 이로 인해 C일 때의 마찰력이 크게 측정되었다. 이로 인해 마찰계수가 더 크게 계산되는 오차가 생겼다.
6. 참고문헌
[1]일반물리학실험, 김용민 외, 북스힐, 75p~77p (2013)
[2]https://www.youtube.com/watch?feature=player_detailpage&v=o8vVlpH4bAc
[3]네이버 지식백과 그림1
(2) 용수철 저울을 이용하여 마찰 블록의 무게 W를 측정한다.
(3) 나무토막과 도르래를 설치한다. 실이 수평으로 나무토막을 끌게 끔 조절한다.
(4) 마찰블록을 작은 힘으로 밀었을 때 경사판을 따라 천천히 일정한 속도로 계속해서 움직 이도록 추의 무게를 조정한다.
(5) 깨끗한 넓은 면, 깨끗한 좁은 면, 테이프가 붙은 면으로 실험한다.
(6) 미끄럼 마찰의 크기와 수직항력의 크기의 비를 계산한다. 이 비를 마찰계수라 한다.
(7) 두 물체 사이에 작용하는 미끄럼 마찰력은 두 물체 사이에 작용하는 수직 항력, 접촉 면적, 접촉 재질과 어떤 관계가 있는지 알아본다.
5. 실험결과
질량(g)
추와 나무토막(g)
무게(g)
A
B
C
50
113.30
16.62
17.4
11.57
100
163.30
26.24
28.67
22.7
힘=9.8무게(kg)
질량(g)
수직항력
(dyne)
(dyne)
A
B
C
A
B
C
50
1.11
0.16
0.17
0.11
0.15
0.15
0.10
100
1.6
0.26
0.28
0.22
0.14
0.18
0.14
A B C
그림 3. 50g추 실험
A B C
그림 4. 100g추 실험
수직항력이 변하면 마찰력도 변한다는 것이 마찰계수를 정의하게 된 이유이다. 하지만 그렇다 하더라도 그 비는 변하지 않아야 한다.위 실험에서 A와 B는 같은 마찰계수 값을 가져야 한다. 왜냐하면 한 물체에서 면적이 좁은 부분과 넓은 부분이 있더라도 mg값은 변하지 않기 때문이다. 반면 물체C 에서의 마찰계수는 낮게 나왔다. 매끈한 면이 거친 면보다 적은 마찰계수는 가진다는걸 알 수 있었다. 이를 통해 마찰계수는 물체의 크기 (면적)에 무관하고 접촉면의 상태(재질, 거칠기)에 영향을 받는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실험에서 수평을 맞추는데 어려움을 겪어서 인지 100g추를 올렸을 때 그림 4 와 같이 균형을 이루지 못하고 측정했다. 이로 인해 C일 때의 마찰력이 크게 측정되었다. 이로 인해 마찰계수가 더 크게 계산되는 오차가 생겼다.
6. 참고문헌
[1]일반물리학실험, 김용민 외, 북스힐, 75p~77p (2013)
[2]https://www.youtube.com/watch?feature=player_detailpage&v=o8vVlpH4bAc
[3]네이버 지식백과 그림1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