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키의 모든것 (초급부터 고급이론& 안전수칙 & 안내표식 -그림파일)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스키의 모든것 (초급부터 고급이론& 안전수칙 & 안내표식 -그림파일)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스키의 이론
*스키 경기의 종류
*스키 용어
*스키 안전수칙 (그림파일)
*스키의 초급,중급,고급기술
*스키의 주의표식과 지시표식 (그림파일)

본문내용

움직일 수 있는 것이다.
이 것은 회전기술을 익히기 위한 방법이다.
※중급 스키어들이 범하는 오류※
중급 스키어들은 둥근 곡선을 그리면서 스키를 타지 않고 양쪽 발을 갑자기 한꺼번에 틀어서 턴을 하기
때문에 옆으로 미끄러지면서 회전을 하게 된다.이것은 양쪽 스키에 모두 무게를 싣고 턴을 하기 때문에 스키가만들어 내는 유연한 곡선의 회전을 만들수 없다. 이제껏 위에서 언급했던 한발 스키가 되지 않고 있다는 것이다.체중이동이 되지 않기 때문이다. 이런 수준의 중급 스키어들은 옆으로 미끄러지면서 턴을 할 수 있지만 스키날로 만들어지는 둥근곡선의 회전을 하지 못하게 된다.
<<고급기술>>
1.패러렐 턴(parllel turn)
패럴턴은 한마디로 한다면 스키를 나란히 두고 이동하는 기술이다. 포인트는 체중이동인데 체중이 항상
턴 하거나 사활강을 할 때 스키의 중심은 외측 스키에 있다는 것이다. 한쪽 발로 타는 스키이다. 안쪽스키
는 보조적으로 설면에 스치듯이 같이 보조를 맞춘다. 회전의 반경에 따라 외측스키에 체중의 압력을 가감
하면서 조절하는 것이다. 회전을 시작하기 전에 체중을 안쪽 스키로 옮기면서 자연스럽게 스키를 끌어다
붙이면서 회전한다.
1)미리 무게 이동
미리 무게 이동은 패럴턴의 핵심내용이다. 턴을 하고 다음 턴을 들어 가기 전에 산 위쪽 스키에 체중을
옮기고 아랫쪽 스키를 들어 턴을 시작한다. 이 때 몸은 아래쪽 방향으로 크로스 오버를 해야 턴이 이루어
진다. 패럴턴은 두 스키가 평행하게 회전하면 완벽한 턴을 만들어 내는 것이다. 무게 이동하고 바로 턴
하면 된다.
* 스케이팅(skating)
이 방법은 완벽한 패럴턴 구사 하기 위해 연습하는 방법으로 무게 이동을 익히기 위한 방법이다. 스키는
체중이동에 따른 바깥쪽 발의 스키 휨의 영향으로 회전하는 것이다. 이는 체중을 이동하여 스키를 눌러
휘게 하는 것이다. 따라서 스케이팅을 이용하여 체중이동을 완전하게 익혀야 된다. 이는 아이스 스케이팅
처럼 하나의 스키로 설면을 킥하고 그 힘을 이용하여 반대쪽 스키를 설면에 대고 활주하는 것이다. 이때
반대발로 킥을 하기 위해 무릎을 굽혀 일어서는 동시에 스키를 지면대고 반대발로 차서 활주한다. 이 때
스키는 작은 회전을 하게 되는데 이렇게 스케이팅 하듯 서로 무게 이동하면서 연습하면 된다.
상급자들은 이와 같이 서로 반대되는 발의 교차 즉 체중이동이 스케이팅과 같은 방법으로 이루어지고
있는데 초급자에는 구분이 잘 안간다. 이것은 한발로 스키를 타는 것과 연결하여 턴의 원리를 익히는데
좋은 연습방법이다.
2)크로스 오버
방향 전환시 유연하게 턴을 마무리하기 위해서 중요한 것은 크로스 오버이다. 아래쪽 스키에서 윗쪽 스키
로 무게 이동을 하더라도 몸을 숙여주지 않으면 방향전환이 느리게 된다. 하지만 무게 이동과 동시에 몸을
아래쪽으로 기울려 몸이 스키의 앞쪽으로 아래쪽으로 몸을 던진다. 완벽한 턴을 만들기 위한 중요한 요소
이다.
* 잦은 스텝턴(step turn)
스텝턴은 턴하기 전에 바깥발(계곡쪽)스키를 들어주므로서 자연스럽게 체중이동을 반대쪽으로 넘기고
턴에 들어가는 것을 말하는데 좋은 회전의 곡선을 만들어 내는데 반드시 연습할 과정이다. 턴을 하고
반대쪽으로 진행하다 턴의 시작지점에서 이전 회전에서 바깥쪽 스키에 체중을 옮기고 턴했던 그 다리를
들어 반대쪽으로 스키에 체중이 넘어가고 몸을 크로스 오버하게 되면 자연스럽게 턴이 이루어진다. 잦은
스텝 턴은 이와 같은 원리로 턴을 마치고 진행하는 중에 양발을 지면에서 그냥 걷듯이 하면서 턴이 이루
어지는 곳에서 바깥스키로 체중을 이동시키고 안쪽스키의 발뒤꿈치를 자연스럽게 끌어 모으면 된다. 결코
어려운 턴이 아니고 완벽한 패러렐턴이 이루어지는 하나의 방법이다.
2.숏 턴(shot turn)
이 턴은 기존 회전의 자연스러움을 유지한 채 곡선을 유지하면서 턴하던 것과 달리 체중이동과 스키에
가하는 힘을 인위적으로 가감하므로서 회전 반경을 작게하는 턴이다. 웨데른(wedelling)라고 불린다. 이
기술은 완벽한 곡선을 유지한 턴, 즉 패러렐 턴을 익힌 다음 자연스럽게 지형조건에 맞게 턴을 이루어
내는 것인데 이 기술은 회전을 할 때 한쪽 스키로만 타는 것을 여러분이 잘 알고 있듯이 여기에 무릎에
힘을 주어 스키의 휨의 정도를 요구하여 짧은 회전이 만들어 낸다. 이 기술은 상체는 고정되고 다리와
스키만 가지고 턴을 하는것이다. 다음턴을 위한 체중을 옮기고 크로스 오버로 몸을 던지고 스키는 틀어
주고 몸은 산아래쪽을 향하게 한다.
*가위스텝턴
회전 후반부에 산쪽스키를 가위 모양으로 옮겨 돌려 놓는 기술로서 힘이 가해진 계곡쪽 스키의 설면 반발
력을 이용하여 산쪽 스키는 가위차기 형태로 옮겨 딛어 추진력을 가하여 중심을 옮겨 간다. 이 기술은
목표 회전 지점을 지나치거나 턴이 늦었을 때 빠른 다음 회전과 리듬 찾기에 도움이 되는 기술이다. 회전
한 바깥쪽 스키가 다음 턴을 할때 안쪽스키가 되는데 턴 회전 전에 안쪽 스키인 스키를 힘껏 차고
나가면서 회전 전에 바깥 스키를 설면에서 뛰우고 다음 회전을 준비하면서 교대로 턴하는 스키이다.
* 벤딩턴
모글을 탈때 있어서 가장 중요한 것은 벤딩턴을 구사 할 수 있는지 여부에 달렸다. 벤딩이란 단어적 의미
는 감는다는 뜻인데 이는 상체와 하체의 자연스러움과 스키의 회전력을 이용한 턴이라고 볼수 있다. 보통
패럴턴은 턴에 들어가기전에 체중이동 하면서 업하고 턴에 들어가서 다운하면서 턴을 마무리 하는데 벤딩
턴은 정상적으로 업되어야 할 부분에서 업이 없고 업이 없기 때문에 다운도 없는 턴이다.스키가 회전을
하고 스피드를 줄이고 들어오지 않기 때문에 강하 원심력이 생기게 되는데 이 원심력을 그대로 무릎으로
받아준다는 기분으로 엣지 체인지에 들어가야 하는 것이다.패럴턴은 인위적인 업다운 동작으로 바깥쪽스
키에 체중을 실어 회전을 만들어내지만 벤딩턴은 상체를 계곡쪽으로 고정하고 하체를 가지고 원을 그리듯
이 치고 나간다.하체의 자유스러움이 보장이 되지 않으면 결코 이룰 수 없는 테크닉이라고 본다.
Ski Area Pictogram
주제: 스키
  • 가격2,000
  • 페이지수13페이지
  • 등록일2010.08.09
  • 저작시기2009.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2648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