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스키 안전 수칙에 대한 필요성
2. 스키의 기초 기술
2-1. 기초관리
2-2. 스키와 폴의 착용
2-3. 제자리 연습과 보행
2-4. 활주와 계단 등행
2-5. 기본적인 계단 등행
2-6. 사등행과 직등행
2-7. 넘어지기와 일어나기
2-8. 활강과 스타-턴
2-9. 정지와 정지 회전
2-10. 사활강
2-11. 횡단 타기
2-12. 제동회전
2-13. 하키스탑
2. 스키의 기초 기술
2-1. 기초관리
2-2. 스키와 폴의 착용
2-3. 제자리 연습과 보행
2-4. 활주와 계단 등행
2-5. 기본적인 계단 등행
2-6. 사등행과 직등행
2-7. 넘어지기와 일어나기
2-8. 활강과 스타-턴
2-9. 정지와 정지 회전
2-10. 사활강
2-11. 횡단 타기
2-12. 제동회전
2-13. 하키스탑
본문내용
어 있다.
정지 회전은 발의 뒷굽이 동일한 힘으로 설면(雪面)을 밀어내는 동안 몸무게를 양쪽 발에 두었던 것을 한쪽 발로 옮기는 것으로 그다지 복잡한 것이 아니다. 그 결과 체중 을 실은 바깥쪽 스키가 양쪽으로 회전하게 되는데 이것은 안쪽 에지의 방향에 따라 조종되기 때문이다. 이 과정은 양쪽 스키를 앞으로 나란히 향해 서게 하여 몸의 중심을 양쪽 발에 똑같이 둠으로써 끝나게 된다.
1. 스키를 좁게 벌린 자세(글라이딩 스노우 플라우)
정확한 자세 : 몸체는 수직강하 선을 정면으로 향하고 있으며, 팔을 앞으로 약간 내민 채 상체를 앞으로 굽힌다.
2. 스키를 넓게 벌린 자세(브레이킹 스노우 플라우)
정확한 자세 : 몸은 수직강하선 아래를 정면으로 향하게 하고 팔은 균형을 잡기 위해 넓게 벌리며 상체는 굽힌다. 그리고 무릎을 앞 쪽 안으로 밀어 넓은 'V'모양으로 만들고 스키는 안 쪽 에지로 지탱한다.
2-10. 사활강
사활강은 많이 쓰이고 유용한 방법으로서 스키의 길이와 에지에 의해 스키가 대부분 확실하게 슬로프에 고정되는 형식을 이용한 것이다. 기술은 매우 간단하다. 스키를 슬로프에 완전히 수평으로 노고 에지로 고정시킨다. 체중은 부츠의 중심을 통해 똑바로 아래로 향하게 한다. 스키어와 스키에 작용하는 힘은 아래로 작용하는 중력이며, 체중이 앞으로 기울면 기울수록 중력이 스키를 옆으로 더 많이 미끄러지게 할 것이다. 위의 동작은 본질적으로는 똑바로 내려가는 것과 같다.
한 가지 예외(이것은 슬로프에서 더 많은데)가 있다면 체중을 아래쪽 스키에 싣는다는 것이다. 이렇게 하기 위해서는 어깨가 슬로프 바깥쪽으로 약간 회전하여야 하고 바깥쪽의 낮은 쪽 다리는 무릎에서 약간 더 구부러져야 한다. 위쪽 스키를 아래쪽 스키보다 약간 앞쪽에 놓는 것은 슬로프의 경사 때문에 신체적으로 편안하며 이 자세는 어깨와 위쪽 팔이 슬로프 바깥쪽으로 회전하여 언덕 아래를 마주 보고 있을 때의 표준 자세이다.
이렇게 복잡하게 몸을 비트는 효과는 무릎과 넓적다리는 위로, 상체는 아래로 '밀리는' 허리에서의 구부러짐을 만들어내는 것이다. 그러나 이것은 그리 과장된 자세는 아니며 편안하고 논리적인 자세라고 할 수 있다.
2-11. 횡단 타기
횡단 타기는 일반적으로 앞쪽으로 이동함이 없이 슬로프를 수직으로 미끄러져 내려오는 기술이다. 그것은 스키에서 단 하나의 가장 유용한 방법으로 비상시에 사용되며 그것은 특히 가파른 경사와 좁고 어려운 경로를 스키어가 통과할 때 어려움을 잘 극복할 수 있도록 해준다. 그 기술은 양쪽 스키의 에지의 각도를 감소시키는 것이다. 이것은 다리와 발의 움직임을 통해서 에지의 각을 적절하게 만든다. 이 기술은 가파른 비탈에서는 쉬운 반면에 경사가 작으면 어렵다.
횡단 타기에 있어서 몸의 자세는 사활강에서와 같다. 낮은 쪽의 스키폴은 몸의 뒤쪽에 있어야 하는데 이는 스키와 부딪치지 않게 하기 위해서이다. 위쪽의 스키폴은 당신이 아래쪽으로 이동하고 싶을 때 사용될 수 있다.
1. 사활강에서부터 횡단 타기를 시작하는데 이때 양쪽 스키의 에지셋을 늦춘다.
2. 슬로프로부터 무릎을 바깥 족으로 움직인다.
3. 횡단 타기를 계속하면서 표준적인 사활 강 자세를 유지한다.
4. 에지로 운동량을 조절하도록 한다. 어떤 것이라도 무게는 아래에 위치한 스키에 조금이라도 더 많이 걸리게 한다.
2-12. 제동회전
정지회전은 계속적인 정지나 wedge상태에서 폴라인(슬로프의 아래쪽으로 쭉 곧은 선)의 한 면으로 향하는 것이다. 그런 반면에 제동 회전은 사활강의 상태에서 시작하는데 plow 자세에서 폴라인을 가로지르는 것이고 다시 사활강의 자세로 돌아왔을 때 스키들은 표준적인 사활강 자세로 돌아오게 된다. 그 회전의 반경은 조절이 가능한데 이것은 옆질 미끄럼막이의 정도를 나타낸다. 사활강의 자세에서 위쪽 스키나 아래쪽 스키는 plow의 자세로 만들어질 수 있다. 전자 즉 위쪽 스키의 다양성은 가장 유용하고 자연스러운 것이다.V자세는 강조되어서는 안 되는데 왜냐하면 이 자세는 다리를 조절할 수 없는 상황도 만들 수 있기 때문이다.
위쪽 스키가 무게를 받지 않은 채 미끄러지면 어깨와 상체가 폴라인을 향하게 된다. 그러면 그 스키에 무게가 가해지고 따라서 회전이 시작된다. 이 자세는 폴라인을 통과하면서 당신이 회전할 때도 유효한데 이때는 당신의 무게 중심을 앞쪽으로 두면서(바깥쪽 스키의 앞부분에)하게 되는데 이것은 회전을 끝마쳤을 때 다시 사활강의 자세를 취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안쪽 스키(위에서 말한 아래쪽 스키)는 무게가 걸리어 있지 않으므로 새로운 아래 스키와 평행하게 될 것이다. 양 스키는 앞의 회전동작과 함께 옆길에서 미끄러지는 것 을 막게 한다. 이것은 상체를 슬로프에서 옆으로 회전시키는 것으로 끝난다.
2-13. 하키스탑
하키스탑은 말로 설명하는 것보다 직접보고 따라 하는 것이 배우기에 훨씬 더 효과적이다. 그 기술은 양발을 같은 방향으로 돌리고 상체는 아래쪽으로 향하게 하는 것으로 이루어져 있다. 가장 간단한 형태는 단지 횡단 타기에 불과하다. 위쪽 제동회전부터 시작해서 아래쪽 스키에서 시작하는 방법을 사용하며 회전을 시작할 때처럼 스키를 비탈 아래로 미는 동안 몸을 슬로프 앞쪽으로 기울이는 것이 가장 좋은 연습 방법이다.
1. 미리 선택하여 놓은 정지 장소에 가까워질 때 서서히 양쪽 다리를 꼿꼿이 세운다. (사활강의 자세에서 시작할 때.)
2. 양쪽 발을 회전시키고 발목과 무릎을 구부린다.
3. 스키가 비탈 위로 회전하기 시작하면 양어깨가 폴라인으로 향하도록 하고 양 무릎으로 감속시키도록 한다.
4. 에지를 사용하여 스키를 조금 더 기울이면 균형 잡힌 정지를 쉽게 할 수 있다.
1. 선택해 놓은 정지 장소에 가까워질 때 미리 가볍게 몸을 편다.(직할 강에서 시작할 경우)
2. 양어깨를 폴라인의 아래쪽으로 향하게 하고 다리와 엉덩이를 비탈 위로 약간 회전시킨다.
3. 양어깨를 여전히 폴라인으로 향하게 하고 양 무릎을 굽히기 시작한다. 비탈 아래쪽의 스키에 체중을 두고 양 발 뒤꿈치를 비탈 아래로 민다.
4. 매우 빠른 정지를 하려면 양 스키를 슬로프에 강하게 에지 시키도록 한다.
정지 회전은 발의 뒷굽이 동일한 힘으로 설면(雪面)을 밀어내는 동안 몸무게를 양쪽 발에 두었던 것을 한쪽 발로 옮기는 것으로 그다지 복잡한 것이 아니다. 그 결과 체중 을 실은 바깥쪽 스키가 양쪽으로 회전하게 되는데 이것은 안쪽 에지의 방향에 따라 조종되기 때문이다. 이 과정은 양쪽 스키를 앞으로 나란히 향해 서게 하여 몸의 중심을 양쪽 발에 똑같이 둠으로써 끝나게 된다.
1. 스키를 좁게 벌린 자세(글라이딩 스노우 플라우)
정확한 자세 : 몸체는 수직강하 선을 정면으로 향하고 있으며, 팔을 앞으로 약간 내민 채 상체를 앞으로 굽힌다.
2. 스키를 넓게 벌린 자세(브레이킹 스노우 플라우)
정확한 자세 : 몸은 수직강하선 아래를 정면으로 향하게 하고 팔은 균형을 잡기 위해 넓게 벌리며 상체는 굽힌다. 그리고 무릎을 앞 쪽 안으로 밀어 넓은 'V'모양으로 만들고 스키는 안 쪽 에지로 지탱한다.
2-10. 사활강
사활강은 많이 쓰이고 유용한 방법으로서 스키의 길이와 에지에 의해 스키가 대부분 확실하게 슬로프에 고정되는 형식을 이용한 것이다. 기술은 매우 간단하다. 스키를 슬로프에 완전히 수평으로 노고 에지로 고정시킨다. 체중은 부츠의 중심을 통해 똑바로 아래로 향하게 한다. 스키어와 스키에 작용하는 힘은 아래로 작용하는 중력이며, 체중이 앞으로 기울면 기울수록 중력이 스키를 옆으로 더 많이 미끄러지게 할 것이다. 위의 동작은 본질적으로는 똑바로 내려가는 것과 같다.
한 가지 예외(이것은 슬로프에서 더 많은데)가 있다면 체중을 아래쪽 스키에 싣는다는 것이다. 이렇게 하기 위해서는 어깨가 슬로프 바깥쪽으로 약간 회전하여야 하고 바깥쪽의 낮은 쪽 다리는 무릎에서 약간 더 구부러져야 한다. 위쪽 스키를 아래쪽 스키보다 약간 앞쪽에 놓는 것은 슬로프의 경사 때문에 신체적으로 편안하며 이 자세는 어깨와 위쪽 팔이 슬로프 바깥쪽으로 회전하여 언덕 아래를 마주 보고 있을 때의 표준 자세이다.
이렇게 복잡하게 몸을 비트는 효과는 무릎과 넓적다리는 위로, 상체는 아래로 '밀리는' 허리에서의 구부러짐을 만들어내는 것이다. 그러나 이것은 그리 과장된 자세는 아니며 편안하고 논리적인 자세라고 할 수 있다.
2-11. 횡단 타기
횡단 타기는 일반적으로 앞쪽으로 이동함이 없이 슬로프를 수직으로 미끄러져 내려오는 기술이다. 그것은 스키에서 단 하나의 가장 유용한 방법으로 비상시에 사용되며 그것은 특히 가파른 경사와 좁고 어려운 경로를 스키어가 통과할 때 어려움을 잘 극복할 수 있도록 해준다. 그 기술은 양쪽 스키의 에지의 각도를 감소시키는 것이다. 이것은 다리와 발의 움직임을 통해서 에지의 각을 적절하게 만든다. 이 기술은 가파른 비탈에서는 쉬운 반면에 경사가 작으면 어렵다.
횡단 타기에 있어서 몸의 자세는 사활강에서와 같다. 낮은 쪽의 스키폴은 몸의 뒤쪽에 있어야 하는데 이는 스키와 부딪치지 않게 하기 위해서이다. 위쪽의 스키폴은 당신이 아래쪽으로 이동하고 싶을 때 사용될 수 있다.
1. 사활강에서부터 횡단 타기를 시작하는데 이때 양쪽 스키의 에지셋을 늦춘다.
2. 슬로프로부터 무릎을 바깥 족으로 움직인다.
3. 횡단 타기를 계속하면서 표준적인 사활 강 자세를 유지한다.
4. 에지로 운동량을 조절하도록 한다. 어떤 것이라도 무게는 아래에 위치한 스키에 조금이라도 더 많이 걸리게 한다.
2-12. 제동회전
정지회전은 계속적인 정지나 wedge상태에서 폴라인(슬로프의 아래쪽으로 쭉 곧은 선)의 한 면으로 향하는 것이다. 그런 반면에 제동 회전은 사활강의 상태에서 시작하는데 plow 자세에서 폴라인을 가로지르는 것이고 다시 사활강의 자세로 돌아왔을 때 스키들은 표준적인 사활강 자세로 돌아오게 된다. 그 회전의 반경은 조절이 가능한데 이것은 옆질 미끄럼막이의 정도를 나타낸다. 사활강의 자세에서 위쪽 스키나 아래쪽 스키는 plow의 자세로 만들어질 수 있다. 전자 즉 위쪽 스키의 다양성은 가장 유용하고 자연스러운 것이다.V자세는 강조되어서는 안 되는데 왜냐하면 이 자세는 다리를 조절할 수 없는 상황도 만들 수 있기 때문이다.
위쪽 스키가 무게를 받지 않은 채 미끄러지면 어깨와 상체가 폴라인을 향하게 된다. 그러면 그 스키에 무게가 가해지고 따라서 회전이 시작된다. 이 자세는 폴라인을 통과하면서 당신이 회전할 때도 유효한데 이때는 당신의 무게 중심을 앞쪽으로 두면서(바깥쪽 스키의 앞부분에)하게 되는데 이것은 회전을 끝마쳤을 때 다시 사활강의 자세를 취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안쪽 스키(위에서 말한 아래쪽 스키)는 무게가 걸리어 있지 않으므로 새로운 아래 스키와 평행하게 될 것이다. 양 스키는 앞의 회전동작과 함께 옆길에서 미끄러지는 것 을 막게 한다. 이것은 상체를 슬로프에서 옆으로 회전시키는 것으로 끝난다.
2-13. 하키스탑
하키스탑은 말로 설명하는 것보다 직접보고 따라 하는 것이 배우기에 훨씬 더 효과적이다. 그 기술은 양발을 같은 방향으로 돌리고 상체는 아래쪽으로 향하게 하는 것으로 이루어져 있다. 가장 간단한 형태는 단지 횡단 타기에 불과하다. 위쪽 제동회전부터 시작해서 아래쪽 스키에서 시작하는 방법을 사용하며 회전을 시작할 때처럼 스키를 비탈 아래로 미는 동안 몸을 슬로프 앞쪽으로 기울이는 것이 가장 좋은 연습 방법이다.
1. 미리 선택하여 놓은 정지 장소에 가까워질 때 서서히 양쪽 다리를 꼿꼿이 세운다. (사활강의 자세에서 시작할 때.)
2. 양쪽 발을 회전시키고 발목과 무릎을 구부린다.
3. 스키가 비탈 위로 회전하기 시작하면 양어깨가 폴라인으로 향하도록 하고 양 무릎으로 감속시키도록 한다.
4. 에지를 사용하여 스키를 조금 더 기울이면 균형 잡힌 정지를 쉽게 할 수 있다.
1. 선택해 놓은 정지 장소에 가까워질 때 미리 가볍게 몸을 편다.(직할 강에서 시작할 경우)
2. 양어깨를 폴라인의 아래쪽으로 향하게 하고 다리와 엉덩이를 비탈 위로 약간 회전시킨다.
3. 양어깨를 여전히 폴라인으로 향하게 하고 양 무릎을 굽히기 시작한다. 비탈 아래쪽의 스키에 체중을 두고 양 발 뒤꿈치를 비탈 아래로 민다.
4. 매우 빠른 정지를 하려면 양 스키를 슬로프에 강하게 에지 시키도록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