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실험목적
2. 실험원리
3. 시약 및 기구
4. 실험방법
2. 실험원리
3. 시약 및 기구
4. 실험방법
본문내용
C 구성장치는 각각 소프트웨어상 조절이 가능하다.
6) 분리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혼합시료에 대하여 높은 분리능을 얻기 위해서는 ① 시료를 충분히 분리관에 머무르게 하여 용출시키며 ② 각 성분간에 충분한 Retention time이 있고 ③ 각 성분의 peak 폭이 좁고 다른 peak와 겹치지 않아야 하며 ④ 가능한 짧은 시간에 모든 성분이 용출 될 수 있어야 한다.
그런데 이와 같은 분리 조건을 좌우하는 분리인자로는 용량인자(Capacity Factor), 선택성(Selectivity), 컬럼효율(Efficiency)이 있는데 이들 요인의 상호작용에 의하여 분리관의 분리능이 결정된다.
분리능
* 용량인자 (Capacity Factor : K')
물질의 분리를 위해서는 시료를 고정상에 충분히 머무르게 할 필요가 있는데 이 머무르게 하는 효과를 용량인자 (capacity factor:K')라 한다.
K'은 이동상의 용매 강도를 의미하며, 일반적으로 선택된 이동상 용매의 조성비 또는 pH에 따라 크게 변화될 수 있는 화학적인 항으로 K'의 변화는 시료의 분리에 큰 영향을 미친다.
일반적으로 K'의 값이 증가하면 피크(peak)의 폭이 증가하며, 높이는 감소 하지만 시료의 용출시간은 증가하여 분리상태가 개량된다.
K' = (V1 - V0)/V0
K' = 0 : 시료가 컬럼에 전혀 머무르지 않고 V0에 용출됨
K' = 1 : 시료가 V0의 2배 되는 곳에서 용출됨
최적 K' : 2 - 6
* 선택성 (Selectivity : α)
α는 분리계수 또는 상대 머무름비라 하는데, 분리계수가 증가하면 피크사이의 간격이 상대적으로 커져 분리능이 증가한다.
그러나 피크의 높이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α = K'2/K'1 = (V2-V0)/(V1-V0)
α = 1 : 두 시료가 전혀 분리되지 않음
α > 1 : 두 시료의 분리가 이루어지며 α가 클수록 분리능은 좋아짐
α는 이동상, 고정상, 온도, 용질의 성질에 따라 달라짐
* 컬럼효율 (Efficiency : N)
N은 컬럼의 효율을 의미하는데 컬럼의 길이, 충진제의 입자모양 및 표면적, 유속, 온도 등에 영향을 받는다. 일반적으로 이론단수(N)가 5000이어야 정확한 분리가 가능하며, 이론단수가 증가하면 용출시간은 일정하나 피크폭이 감소하고 피크의 높이가 증가한다.
N = 25 (V12/W)
3. 시약 및 기구
* 시약
caffeine 표준용액, 커피, dicaffeine 커피, 홍차, 이동상(MeOH : H2O = 80 : 20)
* 기구
C18 역상 칼럼, 100㎕ syringer, vial 20 ml, syringe filter system,
비커, 주사기, HPLC, 메스 플라스크(500㎖)
4. 실험방법
시료준비(각각 전개용액으로 묽힌 후, 주사기로 취해서 Filter로 불순물을 제거)
UV detector on, pump on, module on, column 연결
Pump 조건 맞추기 → A 100% → flow rate 0.5ml/min 2초 후 0.0ml/min
Air 제거하기 → ‘draw’로 용매 빼기 → ‘run’으로 주사기 빼기 → 2~3번 반복
Flow rate 지정(isocratic : 등속도 용매)0.2 → 0.4 → 0.6 → 0.8 → 1.0 → 1.2까지 30초 간격으로 올려줌
Detector 조건(wavelength : 254nm, autozero, Aufs : 0.8)
Computer program, Autochro 실행(앞에 만든 디렉토리 삭제, 새로운 디렉토리 생성)new → 채널선택(1) → C:\autochro\inst\ → 분석시료 10개 → 확인
분석방법 → data 수집 방법 → 수집비(10), 수집시간 12분, 외부트리거 선택 후 확인
Caffeine 표준물 injection(20㎛이상 취하며, bubble이 생기지 않도록 주의)이동상으로 syringer washing 5회 → 시료로 washing 5회syringer injection 후 손잡이를 inject쪽으로 돌림(외부트리거)
분석이 완료될 때까지 기다림(프로그램의 왼쪽 상단에 채널 준비상태가 수집중으로 바뀌었는지 확인)
Syringe filter로 걸러낸 시료 용액을 차례로 injection
분석화면보기 → data 열기 → report → 파일 미리보기 → 인쇄
실험이 끝난 후, flow rate를 반대로 순차적으로 낮추면서 이동상을 20분간 흘려줌
기기 끄기, syringer washing, 주변정리
6) 분리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혼합시료에 대하여 높은 분리능을 얻기 위해서는 ① 시료를 충분히 분리관에 머무르게 하여 용출시키며 ② 각 성분간에 충분한 Retention time이 있고 ③ 각 성분의 peak 폭이 좁고 다른 peak와 겹치지 않아야 하며 ④ 가능한 짧은 시간에 모든 성분이 용출 될 수 있어야 한다.
그런데 이와 같은 분리 조건을 좌우하는 분리인자로는 용량인자(Capacity Factor), 선택성(Selectivity), 컬럼효율(Efficiency)이 있는데 이들 요인의 상호작용에 의하여 분리관의 분리능이 결정된다.
분리능
* 용량인자 (Capacity Factor : K')
물질의 분리를 위해서는 시료를 고정상에 충분히 머무르게 할 필요가 있는데 이 머무르게 하는 효과를 용량인자 (capacity factor:K')라 한다.
K'은 이동상의 용매 강도를 의미하며, 일반적으로 선택된 이동상 용매의 조성비 또는 pH에 따라 크게 변화될 수 있는 화학적인 항으로 K'의 변화는 시료의 분리에 큰 영향을 미친다.
일반적으로 K'의 값이 증가하면 피크(peak)의 폭이 증가하며, 높이는 감소 하지만 시료의 용출시간은 증가하여 분리상태가 개량된다.
K' = (V1 - V0)/V0
K' = 0 : 시료가 컬럼에 전혀 머무르지 않고 V0에 용출됨
K' = 1 : 시료가 V0의 2배 되는 곳에서 용출됨
최적 K' : 2 - 6
* 선택성 (Selectivity : α)
α는 분리계수 또는 상대 머무름비라 하는데, 분리계수가 증가하면 피크사이의 간격이 상대적으로 커져 분리능이 증가한다.
그러나 피크의 높이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α = K'2/K'1 = (V2-V0)/(V1-V0)
α = 1 : 두 시료가 전혀 분리되지 않음
α > 1 : 두 시료의 분리가 이루어지며 α가 클수록 분리능은 좋아짐
α는 이동상, 고정상, 온도, 용질의 성질에 따라 달라짐
* 컬럼효율 (Efficiency : N)
N은 컬럼의 효율을 의미하는데 컬럼의 길이, 충진제의 입자모양 및 표면적, 유속, 온도 등에 영향을 받는다. 일반적으로 이론단수(N)가 5000이어야 정확한 분리가 가능하며, 이론단수가 증가하면 용출시간은 일정하나 피크폭이 감소하고 피크의 높이가 증가한다.
N = 25 (V12/W)
3. 시약 및 기구
* 시약
caffeine 표준용액, 커피, dicaffeine 커피, 홍차, 이동상(MeOH : H2O = 80 : 20)
* 기구
C18 역상 칼럼, 100㎕ syringer, vial 20 ml, syringe filter system,
비커, 주사기, HPLC, 메스 플라스크(500㎖)
4. 실험방법
시료준비(각각 전개용액으로 묽힌 후, 주사기로 취해서 Filter로 불순물을 제거)
UV detector on, pump on, module on, column 연결
Pump 조건 맞추기 → A 100% → flow rate 0.5ml/min 2초 후 0.0ml/min
Air 제거하기 → ‘draw’로 용매 빼기 → ‘run’으로 주사기 빼기 → 2~3번 반복
Flow rate 지정(isocratic : 등속도 용매)0.2 → 0.4 → 0.6 → 0.8 → 1.0 → 1.2까지 30초 간격으로 올려줌
Detector 조건(wavelength : 254nm, autozero, Aufs : 0.8)
Computer program, Autochro 실행(앞에 만든 디렉토리 삭제, 새로운 디렉토리 생성)new → 채널선택(1) → C:\autochro\inst\ → 분석시료 10개 → 확인
분석방법 → data 수집 방법 → 수집비(10), 수집시간 12분, 외부트리거 선택 후 확인
Caffeine 표준물 injection(20㎛이상 취하며, bubble이 생기지 않도록 주의)이동상으로 syringer washing 5회 → 시료로 washing 5회syringer injection 후 손잡이를 inject쪽으로 돌림(외부트리거)
분석이 완료될 때까지 기다림(프로그램의 왼쪽 상단에 채널 준비상태가 수집중으로 바뀌었는지 확인)
Syringe filter로 걸러낸 시료 용액을 차례로 injection
분석화면보기 → data 열기 → report → 파일 미리보기 → 인쇄
실험이 끝난 후, flow rate를 반대로 순차적으로 낮추면서 이동상을 20분간 흘려줌
기기 끄기, syringer washing, 주변정리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