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동발달에 대한 반두라(A. Bandura)이론의 특징과 장단점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행동발달에 대한 반두라(A. Bandura)이론의 특징과 장단점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서 론
2. 본 론
1) 인지적 사회학습이론
2) 반두라 이론의 특징
3) 반두라 이론의 장단점
3. 결 론
▣ 참고문헌

본문내용

냄으로써 시어즈의 상관접근법이 안고 있던 커다란 문제점 또한 해결하였다. 반두라의 실험적인 접근을 통해 사회적 발달 분야는 진정한 의미의 과학으로 발돋움할 수 있었다.
하지만 사회인지이론은 행동의 연령별 변화에는 주목하지 못했다는 비판을 받았고 반두라는 발달하는 인지역량을 점차 강조하였지만 정작 사회인지이론을 구체적인 발달 변화에 적용한 연구는 거의 없었다. 그렇기 때문에 사회학습이론과 사회인지이론은 아직도 많은 발전 가능성이 남아있고 발달에 좀 더 주의를 기울일 필요가 있다. 또한 이 이론의 주된 개념인 강화, 처벌, 이성적 설득, 모델링 중에서 반두라는 모델링의 이론적이고 경험적인 노력에 집중하였으므로 강화, 처벌, 이성적 설득에 의한 행동 변화도 연구과제로 남아있다. 또한 모델링을 가장 중요시했기 때문에 핵심개념인 강화와 처벌에는 별 관심을 기울이지 않았고 다른 연구자들이 관심을 기울였던 이성적 설득에도 관심을 두지 않았다는 한계를 가지고 있다.
3. 결 론
인간행동과 사회환경(2005). 송대영·최현섭. 한국방송통신대학교출판문화원
지금까지 살펴본 결과 반두라는 인간행동의 형성과 변화를 사람과 환경, 행동 간의 상호 결정 관계로 보고 연구하였다. 모델링을 통한 관찰과 모방을 강조하고 환경적, 유전적 요소를 중시하였으며 기존의 행동주의 발달이론과 달리 인지적 능력, 주관, 의지를 인정하는 등 합리적 인간관을 토대로 한 이론을 만들어나갔다. 복잡한 인간의 발달과정을 연구하기 위해 자료와 용어를 학습이론에서 끌어와 사회학습이론을 발전시켰고, 나중에는 이 이론에 현대적인 정보처리 개념을 과학적으로 도입하여 발달심리학의 발전에 큰 공을 세웠다.
물론 행동의 연령별 변화에 주목하지 못했고 구체적인 발달 변화에 적용한 연구가 미흡했을지라도 사회인지라는 개념을 동원하여 인간 학습에서 사회적 기원과 행위 주체자로서 인간의 역할을 중요시 여겼고 인간의 발달을 이해하는 데 많은 공헌을 하였으므로 현재의 우리가 많은 빚을 지고 있음은 분명한 사실이다.
▣ 참고문헌
· 발달심리학 거장들의 핵심이론 연구(2004). Ross D. Parke 외 엮음. 이민희·정태연 옮김.
학지사
· 발달심리학-전생애 인간발달(2006). 정옥분. 학지사
· 변화하는 사회 속에서의 자기효능감(2004). 알베르트 반두라 편저. 윤우정·정정옥·
가경신 공역. 학지사
· 인간행동과 사회환경(2005). 송대영·최현섭. 한국방송통신대학교출판문화원
  • 가격5,0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15.10.13
  • 저작시기2014.9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98425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