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실습 내용
2. 실습결과
3. 고찰
4. 반성과제
5. 안전수칙 및 주의사항
6. 참고문헌
2. 실습결과
3. 고찰
4. 반성과제
5. 안전수칙 및 주의사항
6. 참고문헌
본문내용
된다는 말이 된다. 그림에서 곡선은 마르텐사이트의 생성을 피할 수 있는 한도 내에서의 최대 냉각 속도이며 조직은 전부 펄라이트 조직이 된다.
4.2 원소재의 경도는 얼마이며, 현미경 조직은 어떤가?
원소재의 경도는 Rockwell 경도기로 측정한 3번 중 가까운 2개 값의 평균값으로 HRA 59.3이 측정되었다. 이는 변환표와 선형보간법을 이용해서 변환해 보면 HRC 17.6의 값과 동일하다. 현미경으로 관찰하면 비교적 큰 결정입자를 확인할 수 있고, 페라이트와 펄라이트의 구분이 사진보다 명확하다..
4.3 조압한 소재의 경도는 얼마이며, 현미경조직은 어떤가?
열처리 후 소재의 경도는 HRC 52.5였고 위와 같이 변환표와 선형보간법을 이용해서 변환하면 HRA 77이다. 열처리 후 소재의 경도는 강해진 것을 알 수 있다. 현미경으로 관찰하면 열처리 후 급냉 과정을 통해 조직이 조밀해져 페라이트와 펄라이트의 구분이 쉽지 않다.
4.4 강의 급냉 조직에 대해 논하라
오스테나이트화된 철-탄소 합금 약 726도 정도에서 냉각시키면 다음과 같이 두 가지가 일어난다.
제1의 변화 : r철이 a철로 변화
제2의 변화 : r철 중의 C가 시멘타이트로 분리
그러므로 급랭하면 제1의 변화는 일어나지만 제2의 변화는 비교적 시간을 요하므로 일어날 여유가 없고, 따라서 a철에 c가 고용된 상태 즉 마르텐사이트조직으로 된다. 이마르텐사이트는 오스테나이트의 무확산 변태로부터 만들어진 비평형 상태의 단일상 구조이다. 이것은 펄라이트, 베이나이트 대신에 생성되는 변태생성물로 생각할 수 있다. 어떤식의 확산이라도 이러나면 페라이트와 시멘타이트의 상이 형성된다. 이 마르텐사이트는 아주 경하며 조직의 모습도 미세화 된다.
4.5 금속의 미세조직과 경도의 관계를 논하라.
금속의 미세조직이 크면 클수록 연하고 작고 조밀할수록 단단하다. 이번 실험으로 열처리를 해 조직을 미세하게 만들어서 단단해진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기계적으로 펄라이트 부분은 무르고 연성인 페라이트와 단단하고 취성인 시멘타이트의 중간 성질을 갖는다. 그리고 조직이 미세한 마르텐사이트는 경한 성질을 갖는다. 즉, 조직의 형태를 관찰했을 때 조직의 크기가 클 때는 연하고, 작을 때 단단하다.
5. 안전수칙 및 주의사항
① 젖은 손으로 전원스위치를 만지지 않는다.
② 시편을 전기로에 넣고 꺼낼 때에는 피부가 노출되지 않도록 소매가 긴 옷을 입는다.
③ 시편을 넣고 꺼낼 때에는 반드시 석면장갑을 끼고 집게로 작업을 한다.
④ 가열된 시편은 최대한 빨리 냉각시킨다.
⑤ 정마된 정마기 표면에 물을 흘리면서 정마한다.
⑥ 정마된 시험편 표면에 지문이 묻지 않도록 주의한다.
⑦ 부식시킬 때 부식액이 피부에 묻지 않도록 주의한다.
⑧ 부식액이 묻은 시편은 반드시 흐르는 물에 씻는다.
⑨ 경도기를 조작할 때는 무리한 힘을 가하지 않는다.
⑩ 잘 모르는 스위치나 작업은 반드시 담당조교의 지시에 따라 작업한다.
6. 참고문헌
1) 김동원, 기계공작법, 청문각, 1991
2) 강명순, 기계공작법, 청문각, 1995
4.2 원소재의 경도는 얼마이며, 현미경 조직은 어떤가?
원소재의 경도는 Rockwell 경도기로 측정한 3번 중 가까운 2개 값의 평균값으로 HRA 59.3이 측정되었다. 이는 변환표와 선형보간법을 이용해서 변환해 보면 HRC 17.6의 값과 동일하다. 현미경으로 관찰하면 비교적 큰 결정입자를 확인할 수 있고, 페라이트와 펄라이트의 구분이 사진보다 명확하다..
4.3 조압한 소재의 경도는 얼마이며, 현미경조직은 어떤가?
열처리 후 소재의 경도는 HRC 52.5였고 위와 같이 변환표와 선형보간법을 이용해서 변환하면 HRA 77이다. 열처리 후 소재의 경도는 강해진 것을 알 수 있다. 현미경으로 관찰하면 열처리 후 급냉 과정을 통해 조직이 조밀해져 페라이트와 펄라이트의 구분이 쉽지 않다.
4.4 강의 급냉 조직에 대해 논하라
오스테나이트화된 철-탄소 합금 약 726도 정도에서 냉각시키면 다음과 같이 두 가지가 일어난다.
제1의 변화 : r철이 a철로 변화
제2의 변화 : r철 중의 C가 시멘타이트로 분리
그러므로 급랭하면 제1의 변화는 일어나지만 제2의 변화는 비교적 시간을 요하므로 일어날 여유가 없고, 따라서 a철에 c가 고용된 상태 즉 마르텐사이트조직으로 된다. 이마르텐사이트는 오스테나이트의 무확산 변태로부터 만들어진 비평형 상태의 단일상 구조이다. 이것은 펄라이트, 베이나이트 대신에 생성되는 변태생성물로 생각할 수 있다. 어떤식의 확산이라도 이러나면 페라이트와 시멘타이트의 상이 형성된다. 이 마르텐사이트는 아주 경하며 조직의 모습도 미세화 된다.
4.5 금속의 미세조직과 경도의 관계를 논하라.
금속의 미세조직이 크면 클수록 연하고 작고 조밀할수록 단단하다. 이번 실험으로 열처리를 해 조직을 미세하게 만들어서 단단해진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기계적으로 펄라이트 부분은 무르고 연성인 페라이트와 단단하고 취성인 시멘타이트의 중간 성질을 갖는다. 그리고 조직이 미세한 마르텐사이트는 경한 성질을 갖는다. 즉, 조직의 형태를 관찰했을 때 조직의 크기가 클 때는 연하고, 작을 때 단단하다.
5. 안전수칙 및 주의사항
① 젖은 손으로 전원스위치를 만지지 않는다.
② 시편을 전기로에 넣고 꺼낼 때에는 피부가 노출되지 않도록 소매가 긴 옷을 입는다.
③ 시편을 넣고 꺼낼 때에는 반드시 석면장갑을 끼고 집게로 작업을 한다.
④ 가열된 시편은 최대한 빨리 냉각시킨다.
⑤ 정마된 정마기 표면에 물을 흘리면서 정마한다.
⑥ 정마된 시험편 표면에 지문이 묻지 않도록 주의한다.
⑦ 부식시킬 때 부식액이 피부에 묻지 않도록 주의한다.
⑧ 부식액이 묻은 시편은 반드시 흐르는 물에 씻는다.
⑨ 경도기를 조작할 때는 무리한 힘을 가하지 않는다.
⑩ 잘 모르는 스위치나 작업은 반드시 담당조교의 지시에 따라 작업한다.
6. 참고문헌
1) 김동원, 기계공작법, 청문각, 1991
2) 강명순, 기계공작법, 청문각, 1995
추천자료
순환기계 실습 CASE STUDY(간호력, 간호과정, 진단 수행 등)
성인간호학실습지침서(순환기계병동)
경도측정실험 : 인장시험과 함께 기계적 시험법 중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시험으로 주로 금...
[아주대 기계 공학 실험] 멀티미터기 실습
[아주대 기계 공학 실험] 통계자료 처리법 실험
[아주대 기계 공학 실험] 길이 측정 실습 실험
[냉동][냉동 개요][냉동 개념][냉동 방법][냉동 종류][냉동 장치][냉동법][동결][냉각][진공...
[기계공학실험] 광탄성 실험 : 광탄성 실험의 원리와 개념을 이해하고 광탄성 감도 측정법, ...
[유아문학]유아문학 활동의 실제 - 동화로 접근하는 경험적·분석적 접근법(도구와 기계) - 트...
[유아문학]유아문학 활동의 실제 - 동화로 접근하는 경험적·분석적 접근법(도구와 기계) - 검...
[기계공학]용접 - 아크용접과 가스용접 실습
[기계공학 실습] 압력 측정
만5세 평가인증 통과한 1월 "도구와기계" 보육일지(보육실습일지)
[기계공학]솔리드웍스 실습일지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