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대상자 사정
2. 약물
3. 진단검사 소견
4. 문헌고찰
5. 간호과정
2. 약물
3. 진단검사 소견
4. 문헌고찰
5. 간호과정
본문내용
동을 최소한으로 유지
잦은 설사, 열, 독혈증(toxemia), 출혈이 있는 환자는 침상에서 안정을 취한다.
병변범위에 따라 설사의 심한 정도가 다르므로 배변의 횟수, 경도, 색깔, 혈액의 유무 등에 대해 계속 관찰
1) 약물관리
지사제
설사를 조절하기 위해 사용하는 아편제제의 약물들은 복부팽만과 거대결장을 일으킬 수도 있다.
항염제
염증에 대한 신체의 반응을 감소시키기 위해 스테로이드 제제와 corticotropin을 다른 치료법과 함께 사용한다. 스테로이드 제제는 염증을 감소시킴으로써 염증성 장질환 과정을 완화시킬 수 있다. 스테로이드 치료 시 생길 수 있는 위궤양을 예방하기 위해 제산제나 히스타민 수용체 길항제를 투여한다.
면역억제제
부교감신경 차단제 : 장폐쇄성 질환에서는 사용해서는 안된다.
향균제
2) 식이관리
화학적-물리적으로 자극이 없고, 칼로리와 단백질 및 무기질 등이 풍부한 음식과 수분 섭취
저섬유소성, 저지방 식이
Sulfasalazine 투여로 생길 수 있는 엽산염 결핍은 시간에 sulfasalazine을 투여하거나 엽산 또는 엽산염이 포함된 음식 섭취를 증가
고단백, 고칼로리 식이
코코아, 초코렛, 레몬주스, 찬음료, 탄산음료, 콩류나 씨앗류, 팝콘과 술 등은 피한다.
(6) 간호중재
1) 배변 조절
설사를 조절하기 위해 지사제를 투여한다. 지사제 투여 시 배변 횟수와 대변의 경도에 대해 주의 깊게 관찰. 수분과 전해질 균형 사정. 항문 주변 피부 찰과상이 있으므로 배변 후 따뜻한 물로 피부를 청결히 닦고 건조
2) 영양 관리
환자의 영양 섭취량을 관찰. 음식물 섭취는 위결장 반사를 자극하고, 배변 욕구를 자극한다. 섬유소가 적고, 장에 머무는 짧은 시간 동안에 흡수가 잘되는 음식을 섭취한다.
3) 통증 조절
통증을 사정하고 처방된 진통제 투여. 증상이 감춰지는 것을 막기 위해 마약성 진통제의 사용은 금한다.
Ⅲ 간호과정
간호 사정
주관적 자료
"입맛이 별로 없어요."
"무른변으로 봤어요..“
객관적 자료
-Dx: Crohn's disease
-diarreha 1회
-170cm, 53kg (BMI : 18.34(저체중)
Total Protein
6.6-8.3
6.4 ▼
-기운이 없고 피곤해서 활동이 저하되고, 침상에 누워있는 모습 관찰됨
간호 진단
설사 및 흡수불량과 관련된 영양부족
간호
계획
목표
-대상자는 정상 대변을 본다.
-대상자는 점차적으로 음식 섭취량을 늘려나간다.
-대상자는 현재 체중에서 10%이상의 체중변화를 보이지 않는다.
계획
1. 체중 변화를 사정한다.
2. 일일 음식섭취량과 배설량을 사정한다.
3. 충분한 열량을 섭취한다.
4. 충분한 휴식을 취하게 한다.
5. 적절한 식이교육을 한다.
6. 처방된 영양제를 투여한다.
간호 수행
수행
1. 매일 같은 시간에 같은 차림으로 체중을 측정하여 대상자의 체중이 정상범위에 있는지 사정했다.
2. 일일 음식 섭취량과 배설량을 사정하고 기록했다.
3. 병원에서 나오는 식사를 골고루 반찬과 함께 400kcal 이상 섭취하도록 하고, 식사 중간중간에 간식을 섭취하여 열량을 증가하도록 했다.
4. 과로를 피하고 수면이 부족하지 않도록 충분히 잠을 자도록 한다.
5. 섬유소가 적고, 장에 머무는 시간이 짧고 흡수가 잘되는 음식을 섭취하도록 한다. 코코아, 초코렛, 레몬주스, 찬음료, 탄산음료, 콩류나 씨앗류, 팝콘과 술 등은 피해야 한다
7. 처방된 콤비플렉스주 1440ml를 정맥 투여하였다.
이론적 근거
1. 영양부족은 표준체중의 10-20%이상 감소된 상태.
2. 영양부족은 일일 권장량보다 음식 섭취량이 부족하거나, 섭취한 영양분의 과도한 손실에서 생긴다.
3. 고칼로리, 고단백, 저지방, 저섬유소성 식단을 제공한다. 신진대사가 증가되므로 하루에 적어도 1,200-1,500Kcal의 열량을 섭취해야 한다. 열량을 증가시키기 위해 유동식에 농축식품을 첨가해 줄 수도 있다.
4. 에너지를 증진시키기 위하여 충분한 휴식을 취하도록 한다.
5. Crohn's disease는 대개 만성으로 질병이 진행되므로 식이교육이 매우 중요하다.
8. 질환의 악화로 음식물을 구강으로 섭취하기 어려울 때 비경구적 영양요법을 하게 된다.
간호 평가
-대상자는 정상 대변을 보고 있다고 말했다.
-대상자는 식사할 때 반찬과 더불어 밥 3/4공기 이상을 섭취하고 있다.
-대상자는 체중변화가 나타나지 않았다.
Ⅳ 참고문헌
- 성인간호학 I 수문사 2010 이항련 외
- 네이버 의약사전
- 네이버 건강
잦은 설사, 열, 독혈증(toxemia), 출혈이 있는 환자는 침상에서 안정을 취한다.
병변범위에 따라 설사의 심한 정도가 다르므로 배변의 횟수, 경도, 색깔, 혈액의 유무 등에 대해 계속 관찰
1) 약물관리
지사제
설사를 조절하기 위해 사용하는 아편제제의 약물들은 복부팽만과 거대결장을 일으킬 수도 있다.
항염제
염증에 대한 신체의 반응을 감소시키기 위해 스테로이드 제제와 corticotropin을 다른 치료법과 함께 사용한다. 스테로이드 제제는 염증을 감소시킴으로써 염증성 장질환 과정을 완화시킬 수 있다. 스테로이드 치료 시 생길 수 있는 위궤양을 예방하기 위해 제산제나 히스타민 수용체 길항제를 투여한다.
면역억제제
부교감신경 차단제 : 장폐쇄성 질환에서는 사용해서는 안된다.
향균제
2) 식이관리
화학적-물리적으로 자극이 없고, 칼로리와 단백질 및 무기질 등이 풍부한 음식과 수분 섭취
저섬유소성, 저지방 식이
Sulfasalazine 투여로 생길 수 있는 엽산염 결핍은 시간에 sulfasalazine을 투여하거나 엽산 또는 엽산염이 포함된 음식 섭취를 증가
고단백, 고칼로리 식이
코코아, 초코렛, 레몬주스, 찬음료, 탄산음료, 콩류나 씨앗류, 팝콘과 술 등은 피한다.
(6) 간호중재
1) 배변 조절
설사를 조절하기 위해 지사제를 투여한다. 지사제 투여 시 배변 횟수와 대변의 경도에 대해 주의 깊게 관찰. 수분과 전해질 균형 사정. 항문 주변 피부 찰과상이 있으므로 배변 후 따뜻한 물로 피부를 청결히 닦고 건조
2) 영양 관리
환자의 영양 섭취량을 관찰. 음식물 섭취는 위결장 반사를 자극하고, 배변 욕구를 자극한다. 섬유소가 적고, 장에 머무는 짧은 시간 동안에 흡수가 잘되는 음식을 섭취한다.
3) 통증 조절
통증을 사정하고 처방된 진통제 투여. 증상이 감춰지는 것을 막기 위해 마약성 진통제의 사용은 금한다.
Ⅲ 간호과정
간호 사정
주관적 자료
"입맛이 별로 없어요."
"무른변으로 봤어요..“
객관적 자료
-Dx: Crohn's disease
-diarreha 1회
-170cm, 53kg (BMI : 18.34(저체중)
Total Protein
6.6-8.3
6.4 ▼
-기운이 없고 피곤해서 활동이 저하되고, 침상에 누워있는 모습 관찰됨
간호 진단
설사 및 흡수불량과 관련된 영양부족
간호
계획
목표
-대상자는 정상 대변을 본다.
-대상자는 점차적으로 음식 섭취량을 늘려나간다.
-대상자는 현재 체중에서 10%이상의 체중변화를 보이지 않는다.
계획
1. 체중 변화를 사정한다.
2. 일일 음식섭취량과 배설량을 사정한다.
3. 충분한 열량을 섭취한다.
4. 충분한 휴식을 취하게 한다.
5. 적절한 식이교육을 한다.
6. 처방된 영양제를 투여한다.
간호 수행
수행
1. 매일 같은 시간에 같은 차림으로 체중을 측정하여 대상자의 체중이 정상범위에 있는지 사정했다.
2. 일일 음식 섭취량과 배설량을 사정하고 기록했다.
3. 병원에서 나오는 식사를 골고루 반찬과 함께 400kcal 이상 섭취하도록 하고, 식사 중간중간에 간식을 섭취하여 열량을 증가하도록 했다.
4. 과로를 피하고 수면이 부족하지 않도록 충분히 잠을 자도록 한다.
5. 섬유소가 적고, 장에 머무는 시간이 짧고 흡수가 잘되는 음식을 섭취하도록 한다. 코코아, 초코렛, 레몬주스, 찬음료, 탄산음료, 콩류나 씨앗류, 팝콘과 술 등은 피해야 한다
7. 처방된 콤비플렉스주 1440ml를 정맥 투여하였다.
이론적 근거
1. 영양부족은 표준체중의 10-20%이상 감소된 상태.
2. 영양부족은 일일 권장량보다 음식 섭취량이 부족하거나, 섭취한 영양분의 과도한 손실에서 생긴다.
3. 고칼로리, 고단백, 저지방, 저섬유소성 식단을 제공한다. 신진대사가 증가되므로 하루에 적어도 1,200-1,500Kcal의 열량을 섭취해야 한다. 열량을 증가시키기 위해 유동식에 농축식품을 첨가해 줄 수도 있다.
4. 에너지를 증진시키기 위하여 충분한 휴식을 취하도록 한다.
5. Crohn's disease는 대개 만성으로 질병이 진행되므로 식이교육이 매우 중요하다.
8. 질환의 악화로 음식물을 구강으로 섭취하기 어려울 때 비경구적 영양요법을 하게 된다.
간호 평가
-대상자는 정상 대변을 보고 있다고 말했다.
-대상자는 식사할 때 반찬과 더불어 밥 3/4공기 이상을 섭취하고 있다.
-대상자는 체중변화가 나타나지 않았다.
Ⅳ 참고문헌
- 성인간호학 I 수문사 2010 이항련 외
- 네이버 의약사전
- 네이버 건강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