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장내과 흉부외과 주요 간호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심장내과 흉부외과 주요 간호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PTCA 수술 전 간호
2. CABG 전 간호
3. EPS(electrophysiologic study: 전기생리학적검사) - P682
4. Coronary angiogram
5. Pace maker(심박조율기)
6. Thorachotomy (개흉술: 흉강(胸腔)을 절개하는 수술)
7. Tracheostomy (기관절개술)
8. Thoracentesis (흉강천자검사)
9. Defibrillator(제세동기)
10. Intubation(laryngoscopy:후두경)

본문내용

삽입한 후 180도 아래로 돌린다.
⑥ 넬라톤의 끝을 샐라인에 담궈 흡인되는 지 확인한다
▶ 카테터 내면을 식염수로 적심으로 분비물 이동이 쉬우며 카테터 삽입시 용이
⑦ 코에서 귀까지 거리를 재어 그 길이만큼 삽입하도록 함
⑧ 1회 10~15초 정도 흡인하며 환자에게 청색증, 호흡곤란이 있는지 관찰함.
⑨ 흡인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호흡음을 청진하고 분비물의 양과 양상을 관찰, 기록함.
ㄴ. 비강흡인(nasal suction)
① 비강바닥을 따라 주입하거나 비강 기도관을 통해 주입하되 계속 흡인 하면서 카테터를 주입,
이때 목을 과신전시킴 (주입하는동안 목젖이 거의 열려있게 되어 기도 속까지 카테터를 주입하는데 용이)
② 흡인과정은 구강과 비슷.
ㄷ. 기관내 흡인(endotracheal suction)
대상자가 다치지 않도록 조심하여 흡인하면서 기관지에 카테터 삽입
① 환자에게 기침을 하게 하거나 ‘아’라고 말하게 함 (성무낵방 및 기관내 삽입 용이)
② 카테터를 기도내에 오랫동안 두었다면 삽입 중단후 일정한 간격으로 산소를 공급
③ 카테터 삽입을 3번 실패했다면 보조를 요청
④ 구토, 갑작스러운 호흡음 감소는 카테터가 인두아래에 있음을 의미하며 튜브를 조금 뺐다가 다시 넣음.
3) Suction 시 주의할 점
① 항상 suction 전후로 handwashing → 환자와 의료인 자신으로의 감염 방지와 환자와 환자간의
cross infection 을 방지
② Sution glove 처리는 위생적으로 분리하여 한다
③ Sution 전에는 high O₂를 먼저 제공한다,
④ Suction 시 suction tip 삽입할때는 항상 suction 이 되지 않도록 tip을 막고 suction 하며
적절한 압력으로 부드럽게 흡인하여 hypoxia 예방.
⑤ Suction 시간은 10-15초이상을 넘지 않도록 하여 hypoxia를 예방.
⑥ Suction 시 항상 환자의 상태를 관찰하면서 주의 깊게 한다.
9. EKG monitor
1) 정의
심장에서 발생하여 체표면으로 전달되는 약한 전류를 그래프나 그림으로 기록한 것.
2) 심전도의 구성
① P파: 심방의 탈분극을 나타내는 편향
② PR 간격: 방실결절에서 흥분파가 지연되는 것뿐만 아니라 심방의 탈분극에 필요한 시간 (정상 0.12~0,20)
③ QRS 구간: 2개의 심실의 탈분극에 요구되는 시간 (0.04~0.10)
④ QT 간격: 심실 탈분극과 재분극에 필요한 전체시간 (환자의 연령과 성에 따라 간격이 다양함)
10. Diuretics
1) 정의
요량(尿量)을 증대시켜 체내의 불필요한 수분의 배출을 촉진하는 약제
2) 임상응용
① 울혈성 심장기능상실로 인한 부종
② 고혈압, 콩팥질환, 뇌부종
③ 급성 녹내장 및 안압 상승
3) 부작용 (간호사의 관찰사항 및 환자교육사항)
① 신경근계 반응: 현기증, 어질어질함, 두통, 쇠약, 피로
② 심혈관계 반응: 기립성 저혈압, 전해질 불균형
③ 소화기계 반응: 식욕부진, 구역, 구토
11. Digitalization
1) 정의
약하거나 불완전한 심장의 기능을 정상으로 돌이키는 데 쓰이는 약제.
2) 임상응용
① 심장기능상실
② 심방세동의 치료에 사용된다
심방세동: 심방근육의 빠른 수축과 떨림을 특징으로 하는 심장의 부정맥.
3) 부작용 (간호사의 관찰사항 및 환자교육사항)
① 중추신경계 부작용: 두통, 허약, 졸림, 시력장애
② 순환기계 : 부정맥
③ 소화기계: 위장관 장애 및 식욕부진
12. Chest tube/chest bottle 관리
1) chest tube:
① 전체 연결관 관찰(꼬임, 눌림, 접힘, 고리형성, 흉관의 당김, 연결부위 분리 유무)한다.
- 배액관이 대상자의 움직임을 방해하거나 꼬이지 않도록 해야하는데,
만약 배액관이 꼬이거나 압박이 가해지면 압력이 발생되어 거꾸로 늑막강으로 역류되거나
늑망강에서 배액되는 것을 방해하게 된다.
② 관내의 액체가 호기시에 내려가고 흡기시에 내려가는지 관찰한다.
③ 대상자가 옆으로 누워있을때 배액관이 눌리지 않도록 하고 배액을 증진시키기 위해
대상자의 자세를 자주 변경한다.
④ 가끔 배액병쪽으로 배액관을 훑어내리는데 이는 배액관을 짜주어 혈괴나 섬유소에 의한 배액관이 막히는
것을 예방하고 개방성을 유지하여 폐확장을 촉진시키고 합병증을 최소화한다. 방법은 배액관을 엄지와
검지 첫마디로 안전하게 꽉 쥐고 다른손으로는 배액병 쪽으로 훑어내린다.
2) chest bottle: 병이 넘어졌는가, 날짜, 배액량, 파동 및 기포, 병의 위치
① 늑망강내로 액체가 역류되는 것을 예방하기 위해 대상자의 가슴보다 아래에 놓이게 한다.
② 병의 위치는 흉관삽입부에서 70~90cm 이하이고 침대난간에 걸 경우 난간의 위치에 따라
병의 위치가 바뀌므로 침대틀에 걸어야함을 교육하고 관찰한다.
③ 밀봉병안에 파동이 있는지 확인하는데 이는 늑막강과 배액병 사이의 개방을 나타내고
늑막강 내 압력을 평가한다.
※ 액체파동이 정지되는 이유: 폐가 재확장 되었을때,관이 혈괴, 섬유소로 막혔거나 꼬였을때,
연결줄이 고리를 형성하였을때, 흡인기가 작동하지 않을때
13. Wound drain 관리
1) 정의
- 상처로부터 액체(삼출물)가 흘러나오도록 하기 위하여 관을 삽입하는 것을 의미한다.
① 복부액이 괴거나 괴는 것이 예상될 때 상처에 배액관을 삽입한다.
② 배액관은 절개부위 근처에 넣게 된다
③ 상처에 체액이 괴는 것은 다음과 같은 해를 초래할 수 있다.
a. 박테리아 성장을 위한 배양매개체를 제공한다.
b. 수술 부위 압력 증가로 혈류를 방해한다.
c. 근접 부위에 압력을 초래한다.
d. 국소조직에 자극과 괴사(담즙, 농, 췌장액과 소변등으로 인한)가 초래된다
2) 간호
① 대상자에게 일반적으로 배액관이 흔히 사용된다는 것과 통증은 유발하지 않으나 불편감을 초래할 수 있다는 정보를 제공함. 배액관이 꼬이거나 막히지 않아야하는 이유를 설명함
② 배액관이 삽입된 부위의 드레싱이 더러워지거나 젖는것을 피한다.
③ 배액물에 혈액이 섞이거나 과도한 경우 의사에게 알려야한다.
④ 배액통에 배액물이 1/2~2/3 정도 채워진 경우 비워야한다.

키워드

  • 가격1,000
  • 페이지수15페이지
  • 등록일2015.10.20
  • 저작시기2015.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98470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