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Pathophysiology
2) Manifestations
3) Diagnostic Test
4) Laboratory Test
5) Treatment
6) Complication
7) Nursing Care
2) Manifestations
3) Diagnostic Test
4) Laboratory Test
5) Treatment
6) Complication
7) Nursing Care
본문내용
3.10)
#7
#6
Key Problem/ND:
환기 저하, 심장기능장애와 관련된 조직관류장애
Supporting Data:
S : “기운이 없어요.”
O : 승모판 폐쇄부전증, 얕고 빠른 호흡(28회/분), 약간의 dyspnea관찰, 서맥(71회/분, pmk-80), 빈혈(5/17 RBC:3.70 Hgb:11.40 Hct:33.10)
#8
Key Problem/ND:
침습적 처치와 관련된 감염 위험성
Supporting Data:
O : chest tube적용, IV line 적용, Foley 적용
Key Problem/ND: 심장기능장애, 죽음의 위협과 관련된 불안
Supporting Data:
S : “제 상태가 심각한 거죠?”, “이래서 딸이 결혼할 때까지 살 수 있을까요?”
O : pmk 적용, ABR, Foley 적용, chest tube 적용, 얕고 빠른 호흡(28회/분), 약간의 dyspnea, 서맥(71회/분, pmk-80)
Problem No. 1: 심장기능장애, 수술과 관련된 급성통증
Behavioral Outcome Objective(s): The patient will...
목적 : 5월 20일까지 통증지수가 0이 된다.
기대되는 결과 : 대상자는 5월 20일까지 통증으로 인한 불편감이 없다고 말한다.
on the day of care. 2010. 5. 17
Nursing Plan
Nursing interventions
Patient responses (evaluation)
1. 대상자의 통증 강도를 확인한다.
2. 통증의 특성, 위치, 지속시간, 방사유무, 촉진 또는 완화요인을 사정한다.
3. 의사 처방에 따라 진통제를 투여한다. 이때 진통제의 부작용도 살핀다.
4. 대상자의 통증 부위를 지지해주어 대상자의 통증을 경감시킬 수 있도록 도와준다.
5. 통증 호소 시 정서적으로 안위를 제공하기 위해 스트레스를 유발하는 소음이나 냄새 등의 요인을 최대한 차단하도록 한다.
6. 대상자와 간호사간에 신뢰감을 형성할 수 있도록 한다.
1. 0-10까지의 통증척도로 대상자의 통증지수를 확인한다.
2. 대상자에게 통증의 특성, 위치, 지속시간, 방사유무, 촉진 또는 완화요인이 어떠한지 질문한다.
3. 의사 처방에 따라 통증을 조절하기 위한 진통제를 투여하고(Tylenol) 진통제의 부작용을 살핀다.
4. 베개나 이불로 대상자가 통증을 느끼는 부위를 잘 지지해 준다.
5. 대상자의 침상에 커튼을 쳐서 다른 침상 보호자의 소음이나 냄새 등의 자극적인 요인을 차단한다.
6. 차분한 말투로 자주 대화하여 대상자와의 관계를 향상시키고 간호사간의 신뢰감이 형성될 수 있도록 한다.
1. 통증지수가 4로 내려갔다고 함.
2. 가슴이 쿡쿡 쑤시는 통증이 꾸준하게 지속된다고 함. 움직이면 더 아프고 가슴 부위를 살짝 누르면 괜찮아 진다고 말씀하심.
3. 진통제를 먹으니 통증이 좀 가라앉았다고 함.
4. 베개로 통증부위를 지지하니 조금 괜찮다고 함.
5. 다른 침상의 보호자가 너무 시끄러웠는데 이제 괜찮다고 하심.
6. 항상 도와줘서 고맙다고 말씀하심.
Summarize impressions of patient progress toward outcomes:
첫날에 비해 통증이 경감되는 편이었으며, 베개를 이용한 지지를 통해 통증이 경감된다고 말로 표현하셨다. 하지만 약간의 통증을 지속적으로 호소하고 있으므로 계속적인 진통제 투여와 지지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정서적으로는 대상자와 간호사간의 신뢰감을 많이 형성하여 자신의 증상에 대해서 말로 많이 표현하려고 하신다. 안위를 제공함으로써 더 강한 통증이 유발되지 않도록 해야 할 것이다.
Problem No. 2: 통증, 심장기능장애와 관련된 비효율적 호흡양상
Behavioral Outcome Objective(s): The patient will...
목적 : 5월 20일까지 호흡곤란이 관찰되지 않는다.
기대되는 결과 : 대상자는 5월 20일까지 숨쉬기가 편하다고 말한다.
on the day of care. 2010. 5. 17
Nursing Plan
Nursing interventions
Patient responses (evaluation)
1. 대상자의 호흡 상태를 사정한다.
2. 적정 농도의 산소를 투여 한다.
3. 심호흡법을 교육하여 효율적인 호흡을 할 수 있도록 교육한다.
4. intensive spirometer의 사용법과 필요성을 교육한다.
5. 호흡곤란으로 인한 불안감을 사정한다.
6. 대상자를 정서적으로 잘 지지하고 격려한다.
1. 대상자에게 호흡 시 불편한 점을 질문하고 호흡수와 깊이, 보조근 사용여부를 사정한다.
2. 산소를 1L/m의 속도로 비강 캐뉼라를 통해 투여한다.
3. 횡격막호흡 혹은 복식호흡, 입술 오므리기 호흡방법을 교육하여 효율적인 호흡을 할 수 있도록 한다.
4. 폐활량의 향상을 위해 intensive spirometer를 2시간마다 사용해야 할 것과 사용하는 방법을 교육한다.
5. 호흡곤란으로 인해 불안감을 느끼지 않는지 사정한다.
6. 대상자와의 대화를 통해 신뢰감 있는 관계를 형성한다.
1. 숨쉬기가 어렵다고 말씀하시며, 얕고 깊은 호흡(28회/분)을 함. 보조근은 사용하지 않음.
2. 산소를 투여하니 숨쉬기가 조금 낫다고 하심.
3. 교육에 잘 협조해주시고 심호흡법의 필요성을 잘 인식하심.
4. intensive spirometer를 올바르게 사용하심.
5. 호흡으로 인한 불안감이 많이 완화되었다고 하심
6. 앞으로 열심히 심호흡 하겠다고 하시고 항상 도와줘서 고맙다고 하심.
Summarize impressions of patient progress toward outcomes:
대상자가 협조가 잘 되고 스스로가 심호흡의 필요성을 잘 인식하고 있다. 첫날에 비해 호흡곤란이 많이 나아졌다고 했으나 약간의 호흡곤란을 호소하고 있다. 앞으로 지속적인 심호흡법과 강화폐활량계의 사용을 통해서 점차 효율적인 호흡이 이루어지도록 해야 할 것이며, 지속적인 대상자와의 신뢰감 있는 관계 형성을 통해 대상자를 정서적으로 잘 지지하고, 교육의 효과가 지속될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7
#6
Key Problem/ND:
환기 저하, 심장기능장애와 관련된 조직관류장애
Supporting Data:
S : “기운이 없어요.”
O : 승모판 폐쇄부전증, 얕고 빠른 호흡(28회/분), 약간의 dyspnea관찰, 서맥(71회/분, pmk-80), 빈혈(5/17 RBC:3.70 Hgb:11.40 Hct:33.10)
#8
Key Problem/ND:
침습적 처치와 관련된 감염 위험성
Supporting Data:
O : chest tube적용, IV line 적용, Foley 적용
Key Problem/ND: 심장기능장애, 죽음의 위협과 관련된 불안
Supporting Data:
S : “제 상태가 심각한 거죠?”, “이래서 딸이 결혼할 때까지 살 수 있을까요?”
O : pmk 적용, ABR, Foley 적용, chest tube 적용, 얕고 빠른 호흡(28회/분), 약간의 dyspnea, 서맥(71회/분, pmk-80)
Problem No. 1: 심장기능장애, 수술과 관련된 급성통증
Behavioral Outcome Objective(s): The patient will...
목적 : 5월 20일까지 통증지수가 0이 된다.
기대되는 결과 : 대상자는 5월 20일까지 통증으로 인한 불편감이 없다고 말한다.
on the day of care. 2010. 5. 17
Nursing Plan
Nursing interventions
Patient responses (evaluation)
1. 대상자의 통증 강도를 확인한다.
2. 통증의 특성, 위치, 지속시간, 방사유무, 촉진 또는 완화요인을 사정한다.
3. 의사 처방에 따라 진통제를 투여한다. 이때 진통제의 부작용도 살핀다.
4. 대상자의 통증 부위를 지지해주어 대상자의 통증을 경감시킬 수 있도록 도와준다.
5. 통증 호소 시 정서적으로 안위를 제공하기 위해 스트레스를 유발하는 소음이나 냄새 등의 요인을 최대한 차단하도록 한다.
6. 대상자와 간호사간에 신뢰감을 형성할 수 있도록 한다.
1. 0-10까지의 통증척도로 대상자의 통증지수를 확인한다.
2. 대상자에게 통증의 특성, 위치, 지속시간, 방사유무, 촉진 또는 완화요인이 어떠한지 질문한다.
3. 의사 처방에 따라 통증을 조절하기 위한 진통제를 투여하고(Tylenol) 진통제의 부작용을 살핀다.
4. 베개나 이불로 대상자가 통증을 느끼는 부위를 잘 지지해 준다.
5. 대상자의 침상에 커튼을 쳐서 다른 침상 보호자의 소음이나 냄새 등의 자극적인 요인을 차단한다.
6. 차분한 말투로 자주 대화하여 대상자와의 관계를 향상시키고 간호사간의 신뢰감이 형성될 수 있도록 한다.
1. 통증지수가 4로 내려갔다고 함.
2. 가슴이 쿡쿡 쑤시는 통증이 꾸준하게 지속된다고 함. 움직이면 더 아프고 가슴 부위를 살짝 누르면 괜찮아 진다고 말씀하심.
3. 진통제를 먹으니 통증이 좀 가라앉았다고 함.
4. 베개로 통증부위를 지지하니 조금 괜찮다고 함.
5. 다른 침상의 보호자가 너무 시끄러웠는데 이제 괜찮다고 하심.
6. 항상 도와줘서 고맙다고 말씀하심.
Summarize impressions of patient progress toward outcomes:
첫날에 비해 통증이 경감되는 편이었으며, 베개를 이용한 지지를 통해 통증이 경감된다고 말로 표현하셨다. 하지만 약간의 통증을 지속적으로 호소하고 있으므로 계속적인 진통제 투여와 지지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정서적으로는 대상자와 간호사간의 신뢰감을 많이 형성하여 자신의 증상에 대해서 말로 많이 표현하려고 하신다. 안위를 제공함으로써 더 강한 통증이 유발되지 않도록 해야 할 것이다.
Problem No. 2: 통증, 심장기능장애와 관련된 비효율적 호흡양상
Behavioral Outcome Objective(s): The patient will...
목적 : 5월 20일까지 호흡곤란이 관찰되지 않는다.
기대되는 결과 : 대상자는 5월 20일까지 숨쉬기가 편하다고 말한다.
on the day of care. 2010. 5. 17
Nursing Plan
Nursing interventions
Patient responses (evaluation)
1. 대상자의 호흡 상태를 사정한다.
2. 적정 농도의 산소를 투여 한다.
3. 심호흡법을 교육하여 효율적인 호흡을 할 수 있도록 교육한다.
4. intensive spirometer의 사용법과 필요성을 교육한다.
5. 호흡곤란으로 인한 불안감을 사정한다.
6. 대상자를 정서적으로 잘 지지하고 격려한다.
1. 대상자에게 호흡 시 불편한 점을 질문하고 호흡수와 깊이, 보조근 사용여부를 사정한다.
2. 산소를 1L/m의 속도로 비강 캐뉼라를 통해 투여한다.
3. 횡격막호흡 혹은 복식호흡, 입술 오므리기 호흡방법을 교육하여 효율적인 호흡을 할 수 있도록 한다.
4. 폐활량의 향상을 위해 intensive spirometer를 2시간마다 사용해야 할 것과 사용하는 방법을 교육한다.
5. 호흡곤란으로 인해 불안감을 느끼지 않는지 사정한다.
6. 대상자와의 대화를 통해 신뢰감 있는 관계를 형성한다.
1. 숨쉬기가 어렵다고 말씀하시며, 얕고 깊은 호흡(28회/분)을 함. 보조근은 사용하지 않음.
2. 산소를 투여하니 숨쉬기가 조금 낫다고 하심.
3. 교육에 잘 협조해주시고 심호흡법의 필요성을 잘 인식하심.
4. intensive spirometer를 올바르게 사용하심.
5. 호흡으로 인한 불안감이 많이 완화되었다고 하심
6. 앞으로 열심히 심호흡 하겠다고 하시고 항상 도와줘서 고맙다고 하심.
Summarize impressions of patient progress toward outcomes:
대상자가 협조가 잘 되고 스스로가 심호흡의 필요성을 잘 인식하고 있다. 첫날에 비해 호흡곤란이 많이 나아졌다고 했으나 약간의 호흡곤란을 호소하고 있다. 앞으로 지속적인 심호흡법과 강화폐활량계의 사용을 통해서 점차 효율적인 호흡이 이루어지도록 해야 할 것이며, 지속적인 대상자와의 신뢰감 있는 관계 형성을 통해 대상자를 정서적으로 잘 지지하고, 교육의 효과가 지속될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