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사진, 일러스트레이션, 본문 텍스트, 그래프, 차트 등 많은 디자인 요소들을 시각적으로 최적의 조화를 이루어야 좋은 레이아웃이라고 할 수 있다.
7. 출판
편집 방향의 메시지를 디자인의 기술적 방법을 통하여 기획에서부터 편집, 제작, 마케팅까지 출판물의 상품 가치를 창출해내는 총체적인 출판 기획을 뜻한다. 출판의 전부인 인쇄의 종류에는 볼록판, 평판, 옵셋, 그라비아, 특수인쇄 등이 있다.
1)출판의 조건
-실용성 : 출판물 기획의 목적에 적합하면서 실용성이 있어야 한다.
-심미성 : 시각적 만족이 있어야 한다.
-독창성 : 디자인의 핵심.
-경제성 : 최소의 비용으로 최대의 효과를 거두어야 한다.
2)인쇄
-볼록판 인쇄
그림의 판화를 연상한다. 기러기 그림을 판에 올려 새겨서 롤러로 화면에 잉크 칠을 하여 종이에 찍는다. 인쇄방법은 이 판화에 해당하는 부분의 구조의 차이 에 따라 볼록판 평판. 오목판의 세 가지로 대별되는데, 볼록판 인쇄는 판화의 원리와 같아 잉크가 묻는 화선부와 묻지 않는 비화선부 보다 높게 되어있다.
-평판인쇄
판의 표면이 평평하게 되어있는 것을 말한다. 볼록판이나 오목판처럼 잉크가 묻는 화선부와 묻지 않는 비화선 부를 면의 오목&볼록 으로 나누어 놓지 않는 판식이다. 평판인쇄는 물과 기름의 반발작용의 원리를 적용, 직접인쇄와 간접인쇄가 있다. 현재의 상업인쇄 분야에서는 거의 옵셋 방식으로 인쇄한다.
-옵셋인쇄
일반적인 인쇄와 컬러인쇄에 널리 이용되며 포스터, 잡지, 전단, 컬러 면이 많이 들어 있는 인쇄물은 거의 옵셋에 의존하고 있다.
-그라비아
풍부한 계조를 얻을 수 있기 때문에 사진인쇄에 가장 적합한 인쇄 방법이다. 특히 최근 컬러 그라비아의 발달에 의하여 컬러 인쇄에도 많이 이용되고 있다. 옵셋 인쇄와 같이 잉크의 흡수가 잘되는 좋은 종이라면 거의 어떤 피인쇄 또는 종이에든지 인쇄가 가능하다. 단 흠이라면 제판비가 너무 비싼 것이 단점이다.
-특수인쇄
인쇄의 방식에는 세가지 판식이 있지만, 이외에도 몇 가지 판식이 있다. 대표되는 것이 스크린인쇄이다. 이전에는 실크스크린 인쇄라고 하여 문자 그대로 비단을 스크린으로 하여 사용하였지만, 지금은 스틸 또는 나일론 그물을 사용한다. 정식으로 공판인쇄의 일종이다.
출처
《새로운 편집디자인》, 임헌우·한상만 공저, 나남출판, 2007
《그리드》, 김지현 편역, 미진사, 1993
《그리드를 넘어서》, 티모시 사마라 저, 송성재 역, 안그라픽스, 2006
《디자인 기하학》, 킴벌리 일램 저, 김성학 역, 비즈앤비즈, 2005
《비쥬얼 인터페이스 디자인》, 캐빈 뮬렛 & 다렐 사노 저, 황지연 역, 안그라픽스, 2003
《知의 편집공학》, 마쓰오카 세이고 저, 박광순 역, 넥서스, 2000
《편집디자인》, 잰 화이트 저, 서연화 역, 아키그램, 2006
《편집이란 어떤 일인가》, 와시오 켄야 저, 김성민 역, 한국출판마케팅연구소, 2005
www.artbookproject.com
www.adobe.com www.behance.net www.jungle.co.kr
7. 출판
편집 방향의 메시지를 디자인의 기술적 방법을 통하여 기획에서부터 편집, 제작, 마케팅까지 출판물의 상품 가치를 창출해내는 총체적인 출판 기획을 뜻한다. 출판의 전부인 인쇄의 종류에는 볼록판, 평판, 옵셋, 그라비아, 특수인쇄 등이 있다.
1)출판의 조건
-실용성 : 출판물 기획의 목적에 적합하면서 실용성이 있어야 한다.
-심미성 : 시각적 만족이 있어야 한다.
-독창성 : 디자인의 핵심.
-경제성 : 최소의 비용으로 최대의 효과를 거두어야 한다.
2)인쇄
-볼록판 인쇄
그림의 판화를 연상한다. 기러기 그림을 판에 올려 새겨서 롤러로 화면에 잉크 칠을 하여 종이에 찍는다. 인쇄방법은 이 판화에 해당하는 부분의 구조의 차이 에 따라 볼록판 평판. 오목판의 세 가지로 대별되는데, 볼록판 인쇄는 판화의 원리와 같아 잉크가 묻는 화선부와 묻지 않는 비화선부 보다 높게 되어있다.
-평판인쇄
판의 표면이 평평하게 되어있는 것을 말한다. 볼록판이나 오목판처럼 잉크가 묻는 화선부와 묻지 않는 비화선 부를 면의 오목&볼록 으로 나누어 놓지 않는 판식이다. 평판인쇄는 물과 기름의 반발작용의 원리를 적용, 직접인쇄와 간접인쇄가 있다. 현재의 상업인쇄 분야에서는 거의 옵셋 방식으로 인쇄한다.
-옵셋인쇄
일반적인 인쇄와 컬러인쇄에 널리 이용되며 포스터, 잡지, 전단, 컬러 면이 많이 들어 있는 인쇄물은 거의 옵셋에 의존하고 있다.
-그라비아
풍부한 계조를 얻을 수 있기 때문에 사진인쇄에 가장 적합한 인쇄 방법이다. 특히 최근 컬러 그라비아의 발달에 의하여 컬러 인쇄에도 많이 이용되고 있다. 옵셋 인쇄와 같이 잉크의 흡수가 잘되는 좋은 종이라면 거의 어떤 피인쇄 또는 종이에든지 인쇄가 가능하다. 단 흠이라면 제판비가 너무 비싼 것이 단점이다.
-특수인쇄
인쇄의 방식에는 세가지 판식이 있지만, 이외에도 몇 가지 판식이 있다. 대표되는 것이 스크린인쇄이다. 이전에는 실크스크린 인쇄라고 하여 문자 그대로 비단을 스크린으로 하여 사용하였지만, 지금은 스틸 또는 나일론 그물을 사용한다. 정식으로 공판인쇄의 일종이다.
출처
《새로운 편집디자인》, 임헌우·한상만 공저, 나남출판, 2007
《그리드》, 김지현 편역, 미진사, 1993
《그리드를 넘어서》, 티모시 사마라 저, 송성재 역, 안그라픽스, 2006
《디자인 기하학》, 킴벌리 일램 저, 김성학 역, 비즈앤비즈, 2005
《비쥬얼 인터페이스 디자인》, 캐빈 뮬렛 & 다렐 사노 저, 황지연 역, 안그라픽스, 2003
《知의 편집공학》, 마쓰오카 세이고 저, 박광순 역, 넥서스, 2000
《편집디자인》, 잰 화이트 저, 서연화 역, 아키그램, 2006
《편집이란 어떤 일인가》, 와시오 켄야 저, 김성민 역, 한국출판마케팅연구소, 2005
www.artbookproject.com
www.adobe.com www.behance.net www.jungle.co.kr
키워드
추천자료
실내 디자인 _ 생활 디자인
의류직물학과(의류학과, 의상디자인,패션디자인)와 수학과의 관계
(디자인경영) 한국기업의 디자인 경영 현황 분석 및 향후 발전방안 연구
한국적인 디자인의 요소 연구와 자동차 디자인의 관계
[디자인경영] 경영 전략으로서의 디자인(한국,일본,미국)
21세기 디자인 경영시대의 메뉴의 디자인 전략
[포장][포장산업][포장디자인][농산물 포장 사례][포장(포장산업) 발전방안]포장의 개념, 포...
디자인과 디자인언어
디자인 과정을 통한 패러다임과 디자인 언어와의 전이(은유/유추)
자카드 직물 디자인의 이해와 디자인 트렌드 분석
(패션디자인A형)복식디자인 요소 중 선과 색채에서 각 항목에 해당되는 사례의 사진이나 그림...
[디자인 경영] 디자인 경영의 개념, 필요성 및 효율적인 경영방안
[캐릭터디자인] 캐릭터디자인의 특성과 사례
[기술개발사업]기술개발사업과 나노핵심기반기술, 디자인기반기술, 기술개발사업과 산업디자...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