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조선산업의 역사적 개관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한국 조선산업의 역사적 개관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제 1장 서론---------------------------------------------------1
제 1절 서론-------------------------------------------------1
제 2절 주제 선택 이유-----------------------------------------1


제 2장 우리나라 근대 조선 산업의 역사-------------------------------1
제 1절 1920년대 ~ 1950년대-----------------------------------1
제 2절 1960년대---------------------------------------------2
제 3절 1970년대---------------------------------------------2
제 4절 1980년대 --------------------------------------------3
제 5절 1990년 ~ 현재----------------------------------------3


제 3장 우리나라의 조선 산업의 경쟁력 변천과정------------------------4
제 1절 세계 조선 산업의 판도 변화-------------------------------4
제 2절 조선산업의 환경 변화 및 전망------------------------------5


제 4장 조선 산업의 경쟁력 강화 방안 -------------------------------7
제 1절 조선소의 과제------------------------------------------7
제 2절 정부의 과제-------------------------------------------8


제 5장 결론과 향후 과제------------------------------------------8


참고 문헌(References)--------------------------------------------9

본문내용

종별 선령의 구성을 살펴보면 아래 두 그림과 같이 21년 이상 되는 랭커와 살물 선의 전체 선복 량의 각각 37%,22%를 차지하고 있다. 조선자료집에 따르면 선박의 해체 및 멸실 량도
<그림 3-4> 세계 해상 물동량
1997년 1540만DWT, 1998년 2380DWT,1999년 3020DET로 증가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 향후 얼마간은 대체 수요가 상당할 것으로 예상된다.
<그림 3-5> 탱커 선령별 구성(DWT기준) <그림 3-6> 살물선 선령별 구성(DWT기준)
4장 조선 산업의 경쟁력 강화 방안
일본 또한 우리에게 1위 자리를 물려 줬듯이 우리도 언젠가는 1위 자리를 빼앗길 수 있다. 그래서 우리는 경쟁력 향상 방안을 강구해야한다.
1절 조선소의 과제
(1) 설계능력을 향상 시켜야 한다.
1.경쟁력 있는 기본 설계를 해야 한다.
2. 구조 설계의 경량화를 해야 한다.
3.의장 설계의 단순화, 직선 화를 해야 한다.
4. 단위 작업의 공법을 개선해야 한다.
(2) 생산 현장의 생산성을 향상 시켜야 한다.
1. 전문인을 육성해야 한다.
2. 계획적 생산 SYSTEM(목표관리)를 해야 한다.
3. 조직력을 강화해야한다.
4. 노사를 안정시켜야한다.
5. 종업원의 복지를 향상 시켜야 한다.
(3) 설비의 성력 화를 해야 한다.
1. ROBERT 용접 및 용접 기법을 개선해야한다.
2. FLOW의 일원화를 해야 한다.
3. 각 STAGE 장비의 정도 및 생산력 우위의 설비를 확보해야한다.
4. 현장 작업의 취 공구의 원활한 지원 SYSTEM를 해야 한다.
(4) 간접비를 절감해야한다.
1. 조선소의 건설비를 절감해야 한다.
2. 간접비용을 축소 시켜야 한다.
2절 정부의 과제
첫째, 해외시장에서 저가 수주 과잉 경쟁을 방지하기위해 협의체를 구성하는 등 조선소간 협력관계를 유지할 수 있도록 지도한다.
둘째 금융조건 개선 및 세제 지원을 통해 경쟁력을 유지 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하여야 한다.
셋째, 조선기자재산업을 육성하여 가격 경쟁력을 유지 할 수 있도록 한다. 자재 및 기술 개발용 설비에 대해 관세 감면 및 조세 감면 해택을 확대 하고, 지원자금의 지원대상 확대에 힘쓴다.
넷째, 조선소의 전방 산업인 해운시장을 활성화하여 내수 기반을 튼튼히 함으로써 세계 조선시황 변화에 탄력적으로 대응 할 수 있도록 하고 국내선주가 국내 조선소에서 건조를 할 경우 유리한 금융조건과 세제 지원을 통해 해외의 수주를 막는다.
다섯째, 조선 및 조선기자재 산업에 대한 지원과 연구개발을 위한 자금조성의 방안으로 조선 산업 발전 기금을 조성한다.
5장 결론과 향후 과제
한국의 조선 산업은 1970년대 중반에 시작하여 20-30년 만에 비약 적인 발전을 이룩하여 수주량 건조 량 건조시설 등에서 명실 공히 세계 1위국으로 발 돋음하고 있다. 현재는 가격 경쟁력 측면에서 일본보다 훨씬 우위를 점하고 있으나, 향후 중국 등의 개도국이 성장하게 되면 가격 경쟁은 어려울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기술 중심의 비가격경쟁력을 높일 수 있는 방안을 강구 해야만 한다. 후발 조선국과는 가격경쟁력에서 조선 선진국과는 비가격 경쟁력에서 우위를 지키려는 목적으로 조선 산업의 경쟁력요소를 분석하여 경쟁력에 영향을 미치는 열위기술을 파악하고 선진 조선국으로 발돋움 할 수 있는 그 향상 방안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
근대 조선공업의 발전과정과 세계 속의 조선 변천사 그리고 우리나라의 조선의 현재와 미래에 관하여 이번 보고서를 통해 다시 한 번 생각 할 수 있는 기회가 되었다. 조선 산업이 계속 발전하기 위해서는 대형 조선소 위주의 산업이 아니라 허리인 중형 조선소를 발전 시켜야 한다. 사람이 허리가 약하고 머리와 다리만 강하면 서 있을 수가 없다. 조선 산업도 마찬가지이다. 그러므로 우리나라도 기존의 대기업 중심의 산업을 탈피해 중소기업 중심의 산업 체제를 확립해야 한다. STX같은 조선소가 몇 개 더 있어야 한다는 것이다. 앞으로 더욱더 연구개발을 통해서 우리나라 조선 산업의 국제 경쟁력을 향상시켜야 할 것 이다.
참고 문헌(References)
[1] 김영훈 “국내 조선산업의 구조적 문제점과 향후 생존 전략” 해양한국
[2] 김정호 “한국 조선 산업의 과제 : 기술개발력” 기술관리
[3] 김종규 “조선산업의 경재력 재고에 관한 연구”울산대학교 경영학과 석사학위논문
[4] 노환진 “조선산업의 경쟁력 강화 방안" 대한 조선학회지
[5] 김근철 “선박 생산기술의 현황과 발전 전망”, 조선공업협회보
  • 가격1,2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15.10.29
  • 저작시기2015.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98580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