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아시아 인권레짐 활성화 방안
본 자료는 8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해당 자료는 8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8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동아시아 인권레짐 활성화 방안 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동아시아 인권의 현상황
Ⅲ. 인권레짐 활성화방안
1. ASEAN+3
2. ARF
3. NGO
Ⅳ. 헬싱키프로세스의 시사점
Ⅴ. 결론
ⅵ. 참고자료

본문내용

『한아세안 關係發展 方案 』 서울: 外交安保硏究院,
이서항. 2005. 『ARF의 발전방향 : 동아시아 다자안보 협력체 실태분석과 관련하여』서울: 외교통상부 외교안보연구원
한겨례 21(한겨례 신문사, 2008-11-24/ 2009-01-05)
이원웅. 1996.『북한의 인권실태와 국제사회의 대응』현대사회연구소
유엔세계대회를 위한 민간단체공동대책위원회. 1994.『93 유엔세계인권대회자료집』
최의철,홍관희,김수암[공저]. 2005.『동북아지역인권체제(포럼)구성추진』서울:통일연구원
-논문
유네스코 한국위원회. 1995. “인권이란 무엇인가-유네스코와 세계인권선언의 발전과 역사”
유엔세계대회를 위한 민간단체공동대책위원회. 1994. “93 유엔 세계인권 대회자료집”
김정은. 2007. “동아시아 지역주의 구축에 있어서 한국의 역할 : ASEAN+3 정상회의를 중심으로,” 경남대 교육대학원. pp 32-36, pp42-44, pp.55-60, pp60-64.
배긍찬. 2001. “동아시아 지역협력의 주요과제,” 『주요국제문제분석(2001-36)』 서울: 외교안보연구원.
배긍찬, 2003. “동아시아 지역협력 전망: 제7차 ASEAN+3 정상회의 결과를 중심으로,” 『주요 국제문제분석(2003-40)』서울: 외교안보연구원.
배긍찬. 2005. “제1차 동아시아정상회의(EAS)결과 분석,” 『주요국제문제분석』서울: 외교안보연구원.
황인원. 2008. “확대 지향의 동아시아 지역주의와 아세안(ASEAN)의 인식과 대응,” 『東亞硏究』, 제54집. 서울: 西江大學校東亞硏究所. p52, p56.
국가인권위원회. 2007. 『국내,외 공공분야 인권교육 실태조사』 국가인권위원회
최의철;홍관희;김수암 . 2005.『동북아 지역 인권체제(포럼)구성 추진』 통일연구원
미 국무부 발표. 2007. 『국가별 인권현황 보고서(북한편)』 북한민주화위원회
김창렬. 1990. “제국주의자들이 떠벌이고 있는 <인권옹호>와 그 반동적 본질”『근로자』p.92
李元雄. 1997. 『國際人權레짐의 特性과 動胎에 관한 硏究 : 非政府機構 (NGO)의 役割을 中心으로』서울: 西江大 大學院 pp7-8.
이인배. 2002. “‘다자간 협력안보’에서 약소국의 역할과 한국에의 함의” 『국방정책연구』. 제57호 pp.187-192
한국국제정치학회. 2009. 『제6차 북한인권심포지엄 6th Annual International Symposlum on North Korea Human Rights』 한국국제정치학회
국가인권위원회. 『동아시아인권레짐과 북한인권 East Asian human rights regime and North Korean human rights』 국가인권위원회
성흥모. 2006. 『동북아 다자안보협력체 구축 방안 :OSCE 및 ARF의 경험의 적용을 중심으로』서울: 국방대 국방관리대학원 pp.46-50
김준. 2002.『북한 인권문제 해결을 위한 국제협력에 관한 연구』 전주: 전주대 교육대학원 pp.30-32
박경원. 2000.『북한인권문제와 국제인권보호체제의 활용에 관한 연구』대전: 충남대 대학원 pp.25-28
황필규. 2003.『UN인권체제에서의 NGO의 법적 지위와 역할』서울: 국민대 대학원 pp.33-34
신윤환. 2009. 동남아의 지역주의와“동아시아 공동체”:그 역사에 대한 재해석 『東亞硏究』제56집. 서울: 西江大學校 東亞硏究所. pp.130-131.
변창구, 1996. “탈냉전과 아세안의 다자안보대화: ARF의 현황과 전망”, 『국제정치논총』 제 36집 2호,
변창구, 2002. “ARF운영에 있어서 아세안의 리더십”, 『국제정치연구』 제4집 2호.
배긍찬, 2002. “ARF의 평가와 발전과제: 3개 운영문서 채택 시행과 관련하여 ”, 『 주요국제문제분석 』 서울:
외교안보연구,
정준호 외, 1993. “아 태지역 다자간 안보협력체 형성전망과 대응책”, 서울 : 민족통일연구원,
변창구, 2000. “ARF의 발전과 북한의 가입 : 한국외교에 대한 함의”, 『대한정치화화보』, 제8집 2호,
2.영문자료
-논문
David, Beetham. 1995. “Intoduction: Human Rights in the Study of Politics" Oxford, U.K : Blackwell Publishers. pp.1-4
Ann, Marie, Clark. 1995. “Non-Govermental Organizations and Their Influence on International Society" Journal of International Affairs, 48, No.2. pp.507-25
Paddy Hillyard and Janie Percy-Smith. 1988. "The Coercive State", London: Pinter Publishers. pp.97
A. Glenn Mower Jr, Regonal. 1991. "Human Rights", Newyork: Greenwood Press. pp.55-61
Ian Neary,Human rights in Japan. 2002. South Korea and Taiwan London : Routledge. p15
<신문자료>
-신문자료
프레시안 2008.01.08 기사
『오바마 취임에 日 신분차별 논란』연합뉴스, 2009-01-21
『중앙일보』,1997년 4월 3일
John Fry, Helsinki process: negotidting security and cooperation in europe (Washington D.C: National Defense University Press. 1993)
Robert O. Keohane, "Reciprocity in International Relations," Inter-national Organization, No.40(1986), pp.1-27
Ernst B.Haas, "Why Collaborate? Issue-Linkage and Interna-tional Regimes," World Politics, Vol. 32, No. 3 (April 1980), pp.362-374
  • 가격2,800
  • 페이지수23페이지
  • 등록일2015.10.30
  • 저작시기2015.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98593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