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림푸스 디지털카메라 'my digital story'의 스토리 광고와 타사 디지털카메라 광고와의 비교분석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올림푸스 디지털카메라 'my digital story'의 스토리 광고와 타사 디지털카메라 광고와의 비교분석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발표주제
발표주제 선정 이유

본문내용

상은 약간의 채도가 빠진듯한 느낌 그리고 흑백의 스틸사진은 아니지만 색이바래서 오래된 컬러사진을 보는듯한 독특한 화면질감을 보인다. 그러나 알고 보니 올림푸스 디카를 가지고 이러한 색감을 내는 것은 사실 불가능하다고 한다.
- 대부분의 영상은 인물표현중심이라고 볼 수 있다. 또한 여러 가지 샷이 보여지는 한편 두드러지게 인물의 클로즈업이 많다. 올림푸스 디카의 장점인 인물촬영의 강점을 부각시키려 하였다.
- 영상의 시작과 함께 주인공이 과거를 회상하는 장면으로 들어가면서 ‘줌업’이 된다. 이에 반해 광고의 마지막에서 주인공은 회상하던 과거에서 현재로 다시 돌 아오며‘줌백’의 기법을 사용하여 과거에서 현재로 되돌아오게 된다. 줌백은 화 면이 어떻게 변할지 모르므로 예측이 불가능하다. 이는 수수께끼와 같은 효과를 내면서 그 전까지는 카메라가 아닌 영상만을 보여주면서 마지막에 줌백을 통해 카메라를 보여줌으로써 지금까지 본 이 영상이 카메라 LCD를 통해 보여진 것이 라는 것으로 카메라 광고라는 것을 부각시키려 했다.
-> 여기서 디지털카메라의 LCD화면은‘줌업’과 ‘줌백’의 표현을 통해 과거 와 현재를 이어주는 매개체가 된다.
- 정적인 사진과 동적인 사진을 적절하게 배분, 표현하는 기법을 활용하여 디카사 용기능과의 적절성을 강화하였다. 이는 올림푸스 뮤400제품의 동영상촬영기능을 표현하기위해 스틸과 필름을 동시에 적절히 믹스시킨 것이라고 한다. 그러나 4가 지 스토리광고를 보면 동영상을 이용해 표현한 영상은 여름 편 마지막부분의 운 전 장면과 겨울 편에서 썰매를 끄는 장면, 봄 편에서 자동차를 운전하는 장면 그
  • 가격1,0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15.10.30
  • 저작시기2015.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98597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