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전승이론-기능론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사회전승이론-기능론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제2장 사회전승이론
<기능론>
<기능론의 주요개념>
<뒤르켕의 교육사회학>
<파슨스의 학교사회화 이론>
<드리번의 학교사회화 이론>
<메이어의 제도이론 및 배치이론>
<순자의 교육사상>
<기능론의 평가>
<기능론적 교육관>
<기능론적 교육관의 한계점>

본문내용

다는 문제점
2. 목적론적 오류
- 기능론은 목적론적 오류를 지닌다.
- 교육의 존재 목적을 오로지 사회 안정과 사회화, 질서 유지만을 위한 것이라는 오류
- 어떤 사회제도든지 목적을 갖는데, 그 목적이 좋은 것이라면 어떤 활동도 좋다고 보는 논리가 지니는 오류
3. 합의의 문제
- 기능론은 구성원간의 서로 다른 가치의 합의를 중시한다.
- 합의만이 한 사회를 안정 상태로 유지하는 데 필요한 가치라고 보는 것은 잘못
- 합의는 어떤 목적의 수단일 뿐 목적은 아니다. 합의는 절차적인 합의일 때만 유의하며, 절차가 무시된 합의는 정당화 될 수 없다.
- 절차적 합의란 어떤 가치에 대한 합의를 얻는 과정에서 구성원들이 그 정당성과 합리성을 수용한 합의를 말한다.
4. 변화의 문제
- 기능론은 통합된 전체를 이루어 안정을 유지해야 한다고 본다.
- 변화의 본질과 방향을 소홀히 다룸
- 즉, 사회변화 특히 내부에서 생기는 변화에 둔감하다.
<기능론적 교육관>
-기능론적 관점에서 볼 때 교육제도는 안정된 사회를 유지하는데 필요한 태도, 가치, 기술, 규범 등을 전수한다.
-구체적인 역할은 다음과 같다.
①지적 목적 추구
②사회통합을 위한 정치적 목적을 추구
③경제적 목적 추구
④사회적 목적 추구
⑤인재를 선발, 훈련, 배치하는 기능 수행
⑥교육은 사회이동을 촉진하는 기능 수행
<기능론적 교육관의 한계점>
- 교육을 받기 시작 단계부터 이미 사회 계급적 차이가 존재 하며 평등, 공정, 시회 등의 차이가 있는데 기능론은 이점을 과소평가 또는 간과 한다
- 교육에서 사회화 못지않게 중요한 것이 다양성, 개성, 학습의 기쁨의 향유를 과소평가, 사회화 못지않은 다양한 교육의 기능이 있다
- 기능론은 수동적 아동관을 지니고 있고, 또 특정시기에만 사회화가 일어난다는 전제를 갖는 것이 문제.
- 기능론은 학교교육을 종속 변수로 취급해 학교를 사회의 영향속애 움직일 수밖에 없다고 보지만 실제 학교는 능동적인 역할을 수행 하고 학교와 교사나 학생도 사회나 학교가 정한 목표를 자율적으로 수정하기도 한다.
- 학교교육을 통한 사회이동을 과신한 나머지 과잉 교육현상이 나타난다.
- 기능론은 기회 균등, 업적주의 경쟁적 사회이동을 전제하지만, 불평등한 출발, 과정, 결과에 따라 불평등한 사회이동이 일어나고 있는 현실에 무관심함. 이는 기능론이 능력차에 의한 소득의 차이를 당연한 것으로 여김으로써 불리한 계층의 불행을 소홀이 다룸.

추천자료

  • 가격1,0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15.10.31
  • 저작시기2014.9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98612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