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01. 이문열은 누구인가
젊은 날의 초상 .02
03. 여름 그리고 가을
그 해 겨울 .04
05. 찬란하게 필 봄
-참고문헌
젊은 날의 초상 .02
03. 여름 그리고 가을
그 해 겨울 .04
05. 찬란하게 필 봄
-참고문헌
본문내용
1977년 단편 『나자레를 아십니까』로 신춘문예에 입선하며, 1979년 동아 일보 신춘문예에 중편 《새하곡(塞下曲)》이 당선되어 정식으로 문단에 등단
하구』, 『우리 기쁜 젊은 날』, 『그 해 겨울』을 3부작으로 묶어 『젊은 날의 초상』을 출간 (1981)
『사람의 아들』로 오늘의 작가상을 수상(1979)
『금시조』로 동인문학상(1982)
『황제를 위하여』로 대한민국문학상(1983)
『영웅시대』로 중앙문화대상(1984)
『우리들의 일그러진 영웅』으로 이상문학상(1987)
『시인과 도둑』으로 현대문학상(1992)
『전야 혹은 시대의 마지막 밤』으로 21세기문학상(1998)
『변경』으로 호암 예술상(1999)등을 수상하면서
국민작가로 불리게 되었다.
하구』, 『우리 기쁜 젊은 날』, 『그 해 겨울』을 3부작으로 묶어 『젊은 날의 초상』을 출간 (1981)
『사람의 아들』로 오늘의 작가상을 수상(1979)
『금시조』로 동인문학상(1982)
『황제를 위하여』로 대한민국문학상(1983)
『영웅시대』로 중앙문화대상(1984)
『우리들의 일그러진 영웅』으로 이상문학상(1987)
『시인과 도둑』으로 현대문학상(1992)
『전야 혹은 시대의 마지막 밤』으로 21세기문학상(1998)
『변경』으로 호암 예술상(1999)등을 수상하면서
국민작가로 불리게 되었다.
추천자료
[인문대]-서울, 1964년 겨울 작품분석
이문열의 선택을 읽고 _ 이문열
소설 『태백산맥』 감상문
[독후감] 이문열의 젊은 날의 초상
이문열의 금시조 독후감
♧ 김승옥의 「서울, 1964년 겨울」과 전진우의 「서울, 1986년 여름」의 감상·비평
[도서감상문]이문열의 삼국지를 읽고
박민규 「카스테라」분석과 소설 지도 방법 연구
우리고전의 현재적 가치 (고전소설과 TV드라마 비교분석 연구)
‘소외’와 ‘고립’- 김승옥 소설 분석
일본어강독_제11과
(한문고전강독 공통)북한에서 각 시대를 대표하는 세 가지 문학사의 특징을 설명하고, 그러한...
한국현대문학입문 - 박노해 시인의 일생과 작품에 대해서
<<삼국지 독후감 및 분석>>삼국지독후감,삼국지 독서감상문,삼국지 줄거리,삼국지 분석,이문...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