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내측 상과염 (Golfer's Elbow)는 무엇인가?
▪어떻게 발생하는가?
▪증상은 무엇인가?
▪어떻게 진단하는가?
▪어떻게 치료하는가?
▪언제쯤이면 스포츠 또는 활동으로 복귀 할 수 있는가?
▪어떻게 내측 상과염을 예방할 수 있는가?
▪내측 상과염의 재활 운동
▪어떻게 발생하는가?
▪증상은 무엇인가?
▪어떻게 진단하는가?
▪어떻게 치료하는가?
▪언제쯤이면 스포츠 또는 활동으로 복귀 할 수 있는가?
▪어떻게 내측 상과염을 예방할 수 있는가?
▪내측 상과염의 재활 운동
본문내용
한다. 비누곽 또는 망치손잡이를 잡고, 부드럽게 엄지가 천정을 향하여 도달할 때까지 위쪽으로 구부린다. 천천히 아래쪽으로 내려서 원래 위치로 간다. 아래팔은 운동을 하면서 움직여선 안된다. 1세트에 10번씩, 3세트를 한다.
5. 회내 외전 강화운동 (Pronation and supination strengthening)
비누곽 또는 망치손잡이를 손으로 잡고 팔꿈치가 90도가 되게 구부린다. 손바닥이 위와 밑을 보도록 천천히 돌린다. 1세트에 10번씩, 3세트를 한다.
6. 팔꿈치 뻗음 (Elbow flexion and extension)
비누곽을 손바닥으로 쥐어잡는다. 천천히 팔꿈치를 어깨에 닳도록 구부린다. 그리고 천천히 팔꿈치는 쭉 핀다. 1세트에 10번씩, 3세트를 한다. 천천히 무게를 올린다.
5. 회내 외전 강화운동 (Pronation and supination strengthening)
비누곽 또는 망치손잡이를 손으로 잡고 팔꿈치가 90도가 되게 구부린다. 손바닥이 위와 밑을 보도록 천천히 돌린다. 1세트에 10번씩, 3세트를 한다.
6. 팔꿈치 뻗음 (Elbow flexion and extension)
비누곽을 손바닥으로 쥐어잡는다. 천천히 팔꿈치를 어깨에 닳도록 구부린다. 그리고 천천히 팔꿈치는 쭉 핀다. 1세트에 10번씩, 3세트를 한다. 천천히 무게를 올린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