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실험목적
2. 관련이론
3. 실험방법, 측정값
4. 실험결과
5. 결론및 고찰
2. 관련이론
3. 실험방법, 측정값
4. 실험결과
5. 결론및 고찰
본문내용
부가질량에 대해 알아보는 실험이었다. 구 질량의 측정값과 실험값, 부가질량의 실험값과 퍼텐셜 이론을 사용하여 구한 값이 서로 다르게 나왔다. 오차의 원인으로는 다음의 것들이 있다.
- 퍼텐셜 이론을 사용할 때 유체는 비점성, 비압축성, 비회전성으로 가정한다. 그러나 실제 유체는 부가질량 뿐만 아니라 유체점성으로 인한 감쇠영향을 등의 복잡한 형태를 지닌다.
- 계측오차 : 용수철 길이와 시간을 측정할 때 사람이 직접 했기 때문에 오차발생이 가능하다.
- 수조에서 실험 시, 반사파에 의한 영향이 발생했을 수 있다.
- 용수철을 당길 때, 완전한 수직이 아니었을 가능성이 있고, 일정한 힘이 들어가지 않았다.
- 추에 적혀있는 질량과 실제 질량이 다를 수 있다.
- 구의 질량 차의 원인으로 공기의 저항을 고려해 볼 수 있다.
added mass에 대해서는 이번학기에 구조진동설계 과목에서도 배웠다. 그만큼 유체 속에서 운동하는 물체에서는 이 부가질량의 효과가 중요한 것 같다. 하지만 시중에 관련 이론에 대한 정보가 생각보다 많지 않아서 아쉬웠다. 그리고 이론을 확실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유체역학에 대한 기초지식을 확실히 다져야겠다는 생각이 들어 반성하게 됐다.
- 퍼텐셜 이론을 사용할 때 유체는 비점성, 비압축성, 비회전성으로 가정한다. 그러나 실제 유체는 부가질량 뿐만 아니라 유체점성으로 인한 감쇠영향을 등의 복잡한 형태를 지닌다.
- 계측오차 : 용수철 길이와 시간을 측정할 때 사람이 직접 했기 때문에 오차발생이 가능하다.
- 수조에서 실험 시, 반사파에 의한 영향이 발생했을 수 있다.
- 용수철을 당길 때, 완전한 수직이 아니었을 가능성이 있고, 일정한 힘이 들어가지 않았다.
- 추에 적혀있는 질량과 실제 질량이 다를 수 있다.
- 구의 질량 차의 원인으로 공기의 저항을 고려해 볼 수 있다.
added mass에 대해서는 이번학기에 구조진동설계 과목에서도 배웠다. 그만큼 유체 속에서 운동하는 물체에서는 이 부가질량의 효과가 중요한 것 같다. 하지만 시중에 관련 이론에 대한 정보가 생각보다 많지 않아서 아쉬웠다. 그리고 이론을 확실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유체역학에 대한 기초지식을 확실히 다져야겠다는 생각이 들어 반성하게 됐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