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적으로 등장하는 관음증적인 요소를 살펴보고, 더불어 <현기증>에 나타난 신경증적인 요소, <싸이코>에 나타나는 동일시라는 개념을 살펴봤습니다. 사실 히치콕의 영화를 처음부터 끝까지 다 본 건 이번이 처음인데, 과제나 분석을 떠나고 생각하더라도 재미있는 영화였고, 다 보고 나니 왜 히치콕의 영화를 보라고 하셨는지 어느 정도는 알 것 같습니다. 개인적으로 아쉬웠던 것은, 영화에 관련된 수업이 아니기 때문에 영화 기법 등에 대한 부분은 생략하고 발표를 하게 된 것입니다. 히치콕은 음향이나 앵글 등을 되게 잘 쓰는 감독으로 알려져 있는데 그런 부분에 대해 언급을 하지 못한 점이 아무래도 아쉬운 것 같습니다. 제 발표는 여기까지입니다. 혹시 질문이나 덧붙일 내용이 있으신 분이 계시면 손을 들어주시기 바랍니다.
추천자료
소설과 영화의 미적(美的) 차연(差延)
바흐친의 대화이론
포스트모더니즘과 영화
[영화 평론] 페미니즘 영화 분석
문학수업에서의 매체활용 사례를 조사
신비평의 장단점에 대한 개인적인 의견
전통비평의 장단점에 대한 개인적인 의견
1990년대 평론 - 포스트모더니즘 비평, 메타 비평
[영화기호학 의의][영화기호학 탐구 방법][영화기호학 태동][영화기호학 관점][영화기호학 비...
영화적 기법을 중심으로 바라본 박태원의
사회문화비평에 대해 논하시오.
부가적 비평 방법
[비평론] 구조주의 비평 (구조주의와 구조주의 비평의 이해, 구조주의 비평의 실제, 구조주의...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