급성 폐쇄성 후두염 간호 case stydy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급성 폐쇄성 후두염 간호 case stydy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A. 기초자료
1. 일반적 사항
2. 과거력
3. 현 병력.
4. 신체사정
B. 질병에 대한 이론적 고찰
치료계획
임상검사 및 진단검사
투약
간호과정
-참고문헌

본문내용

분류: 폐니실린계 항생제.
효능/효과:상하부 호흡기 감염증, 세균성 폐렴 등에 사용
분류: 항생제
효능/효과: 폐렴, 기관지염 등의 호흡기계감염증. 이비인후과 감염증 등 사용
- Dexmethasone 5mg: 부신피질호르몬-항염증제
- N/S 500ml: 탈수를 막기위해 투약
* Medication
- sebron syrup: 진해 거담제
* PRN
- Tylenol syrup
분류: 비마약성 진통제 및 해열제
효능/효과: 감기로 인한 발열, 동통, 두통, 신경통
- suspen suppo: 해열제-감기로 인한 발열 및 동통에 사용(좌약)
활력징후
2012.3.20.
체온
12:00
13:00
14:00
16:00
17:40
20:00
21:00
23:00
38.5
38.6
38.6
38.9
39.2
38.4
38.1
36.6
F. 간호문제 목록
번호
#1 발열
#2 기침
#3 가래
G. 간호과정
#1.폐의 염증과 관련된 고체온
간호
사정
Subjective Data
“아기 몸이 많이 뜨거워요”
“열이 나서 그런지 잠도 못자고 계속 보채요”
Objective Data
BT 39.2℃로 체크됨
얼굴에 홍조를 띰
간호
진단
Assessment
체온상승으로 나타나는 하기도 염증과 관련된 고체온
간호
목표
Plan
체온이 정상범위로 돌아온다.( 37.2℃ 이하로 내려온다.)
환아의 얼굴색이 정상으로 돌아온다.
간호
계획
대상자의 활력징후를 측정한다.
체온이 내려가는데 도움이 되는 환경을 제공한다.
대상자에게 적절한 약물을 제공한다.
대상자의 정서적 안정을 도모한다.
간호
수행
Implementation
① 2시간 마다 체온을 측정하였다.(by. student nurse)
pm 2-38.5, pm4- 39.2, pm6- 37.7, pm9- 37.2로 측정되었다.
② 열이 있는 동안 환기를 시키고 얇은 옷으로 갈아입히도록 하였다.(by. student nurse)
(∵ 시원한 환경은 복사에 의한 열손실로 체온을 내려준다.)
③ 미온수 마사지를 시행하도록 방법을 설명하였다.(by. nurse)
(∵ 미온수 목욕은 체표면을 시원하게 하고 혈관을 수축시키며, 신진대사를 떨어지게 하므로 체온을 하강시킨다.)
④ Tylenol과 Suspen suppo의 작용에 대해 설명하고 약을 제공하였다. (by nurse)
(∵ Tylenol과 Suspen suppo는 해열제의 효능을 가지고 있다.)
⑥ 발열로 인해 나타날 수 있는 탈수 현상을 보완하기 위해 수액을 연결하였다.
(∵ 발열이 있을시 탈수현상이 나타날 수 있으며 에너지 공급이 원활하게 일어나지 않는다.)
⑤ 환아가 불안감을 느끼지 않게 하기 위해 부모의 돌봄의 중요성을 설명하고 조용하고 안정적인 환경을 제공하여 울음을 멈추게 하였다. (by. nurse)
(∵ 불안한 환경에서의 불필요한 에너지 소모를 막고 편안한 환경에서 체온을 낮추는데 도움을 준다)
간호
평가
Evaluation
환아의 체온이 정상범위로 돌아왔다.( pm9- 36.6 )
환아의 얼굴에 붉은 기가 줄어들었다.
환아의 보챔이 줄어들었다.
환아가 편안히 자고있다.( am3-by.nurse )
Revision
시원한 환경 유지를 격려하였다.
#2. 분비물 배출의 어려움과 관련된 비효율적 호흡양상
간호
사정
Subjective Data
“애기가 기침 소리가 이상해요. 컹컹거려요”
“기침을 하기 시작하면 애기가 힘들어 해요” -(By보호자)
Objective Data
간호
진단
Assessment
분비물 배출의 어려움과 관련된 비효율적 호흡양상
간호
목표
Plan
체온이 정상범위로 돌아온다.( 37.2℃ 이하로 내려온다.)
환아의 얼굴색이 정상으로 돌아온다.
간호
계획
T.P.R.체크, 특히 호흡수를 사정한다.
환기를 증진시키기 위해 반 좌위를 취해 준다.
흉부 물리요법의 방법을 설명하고 실시한다.
nebulization(분무요법)의 실시한다.
수분 섭취를 증가 시켜 분비물이 묽어지도록 한다.
필요시 기관지 확장제나 거담제를 투여한다.
간호
수행
Implementation
① 호흡양상(호흡수, 흉부견축 정도)를 4시간 마다 사정한다.
② v/s을 8시간 마다 체크한다.
③의사의 처방에 따라nebulizer 를 실시한다. 점심, 저녁 식전 그리고 자기전에 벤토린흡입기와 뮤코미스트 흡입치료 교육 후 시행하도록 하였다.
(기관지확장제와 수증기를 공급함으로서 기관지를 확장시키고, 기관지 분비물을 묽게 하여 배출하기 쉽게한다. 약물이 기도에 직접 작용하기 때문에 소량의 약물로 효과가 크고 약효가 신속하게 나타난다.)
⑤누워서 재우기 보다는 엎히거나 좌위, 반좌나를 취해서 재운다.
( 폐확장을 도모한다.)
⑥흉부물리요법(타진)을 이용하여 20~30분마다 한번씩 3~5분간 실시한다.
*방법: 환아를 하엽 뒤쪽 분절을 손을 컵 모양으로 오므리고 팔꿈치를 약간 구부린 후 손목을 이완시켜 빠르게 폐분절부위를 교대로 두드림
(손을 컵모양으로 오므려 공기주머니를 형성하여 두드리면 흉벽을 통해 분비물을 일시적으로 진동시키므로 분비물이 묽어져 쉽게 떨어져 배출이 용이하도록 한다.)
⑦의사의 처방에 따라 거담제, 기관지 확장제를 투여한다.
⑧적절한 습도를 유지하기 위해서 가습기를 침상 옆 서랍장위에 놓고 중정도로 틀어 놓았다.
( 기관지 분비물을 묽게 하여 배출을 용이하게 한다.)
⑨물을 충분히 섭취하게 한다.
(마시고 있는 동안에 기침을 하기 시작하면 사래가 들거나 토하기 쉬우므로 숟가락으로 한 입씩 떠먹이는 것이 안심이 된다.)
간호
평가
Evaluation
컹컹거리는 호흡음이 덜해졌다.
“잘 때 숨소리가 훨씬 좋아졌어요.”라고 보호자가 말씀하셨다.
충분한 수분섭취와 흉부타진요법으로 가래와 기침의 양이 입원할 때 보다 많이 줄었고 보챔도 없어졌다.
I. 참고문헌
* 아동간호학Ⅱ- 수문사, 홍경자외, page.429~
* 홍창의 소아과학- 대한교과서(주), 안효성, page.639~
* PACIFIC (Pediatric Health Nursing) - PACIFIC BOOKS, page.172~
* http://health.naver.com/medical/disease, 서울대학교 병원
  • 가격2,000
  • 페이지수12페이지
  • 등록일2015.11.22
  • 저작시기2013.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98775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