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하나님의 본질
1 하나님에 관한 지식
2 하나님 계시에서 알 수 있는 하나님의 존재
Ⅱ하나님의 속성
1. 비공유적 속정
2 공유적 속성
1 하나님에 관한 지식
2 하나님 계시에서 알 수 있는 하나님의 존재
Ⅱ하나님의 속성
1. 비공유적 속정
2 공유적 속성
본문내용
장소, 환경을 선택하신다. 하나님은 그들에게 자유를 부여하시나 그의 의지는 그들의 행동을 관리 하신다. 성경은 가장 철저하게 하나님의 의지의 자유를 말하고 있다.(욥11:10, 잠21:1, 마20:15)
③죄와의 관계에서 본 하나님의 의지
하나님의 의지와 죄와 관련하여 중대한 문제들이 일어난다. 만일 하나님께서 만사를 계획하셨다고 하면, 역시 죄가 세상을 들어오는 것도 계획하셨을 것이다. 이것은 하나님을 죄의 창시자로 만든다. 그러나 우리는 하나님께서 자신의 죄를 만들 것을 결정하지도 않으셨고 그 범행을 효과적으로 일으키지도 않으셨다는 것을 명심해야 한다. 이에 우리에게 의지라는 말을 두 가지 서로 다른 뜻으로 사용하고 있다는 것을 주의해야 할 것이다. 계시된 의지로 그는 우리가 해야 할 일을 계시하신다. 은밀한 의지에 따라서는 죄를 기뻐하시고, 계시된 의지에 따라서는 죄를 기뻐하시지 않으신다는 입장이 아니며, 죄가 세상에 들어오도록 하나님께서 작정하셨다는 사실은 그가 죄를 기뻐하신다는 것을 뜻하는 것이 아니다.
b) 하나님의 주권적 능력과 전능
하나님의 주권은 역시 그의 의지를 행사하는 권능인 신적 권능 혹은 전능에서도 그 표현을 찾아볼 수 있다. 하나님의 전능은 하나님께서 무엇이든지 다 하실 수 있다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된다. 성경은 하나님께서 하지 못하시는 것이 많이 있다는 것을 가르쳐 주고 있다. 거짓말 하는 것, 죄를 범하는 것, 변질하는 것, 자신을 부정하는 것 등 그가 할 수 없는 것이다.(민23:19, 약1:13)하나님의 전능은 EI-Shaddai라는 이름에서 그 표현을 찾아볼 수 있다.(욥9:12, 눅1:37)
느낀점
하나님의 본질 안에 하나님께서 우리를 사랑 받지 못할 존재의 우리들을 사랑하셔서 예수그리스도를 보내심으로 죽기까지 우리를 사랑하시는 것을 보고 죄의 선택에 있어서 하나님께서 하시지 못하시는 거짓말과, 죄범함, 변질과, 자기 부정을 우리의 영이 선택하는 것을 느끼고 볼 수 있는데, 하나님을 모두 알지 못하지만 하나님께서는 선을 행하시며 선을 우리가 행할 때 사랑을 행하고 하나님의 말씀을 준행할 때 하나님의 형상이 더욱 빛남을 알 수 있다. 그 전제의 기초는 바로 하나님을 만나고 하나님을 느낄 때 우리가 의식적으로 행동이 나오는 것이 아닌 하나님의 사랑 안에 자연스럽게 나온다는 것을 되새기는 시간이었다.
참고 도서
기독교 신학개론 루이스 뻘콥 지음, 신복윤 옮김 성광문화사
③죄와의 관계에서 본 하나님의 의지
하나님의 의지와 죄와 관련하여 중대한 문제들이 일어난다. 만일 하나님께서 만사를 계획하셨다고 하면, 역시 죄가 세상을 들어오는 것도 계획하셨을 것이다. 이것은 하나님을 죄의 창시자로 만든다. 그러나 우리는 하나님께서 자신의 죄를 만들 것을 결정하지도 않으셨고 그 범행을 효과적으로 일으키지도 않으셨다는 것을 명심해야 한다. 이에 우리에게 의지라는 말을 두 가지 서로 다른 뜻으로 사용하고 있다는 것을 주의해야 할 것이다. 계시된 의지로 그는 우리가 해야 할 일을 계시하신다. 은밀한 의지에 따라서는 죄를 기뻐하시고, 계시된 의지에 따라서는 죄를 기뻐하시지 않으신다는 입장이 아니며, 죄가 세상에 들어오도록 하나님께서 작정하셨다는 사실은 그가 죄를 기뻐하신다는 것을 뜻하는 것이 아니다.
b) 하나님의 주권적 능력과 전능
하나님의 주권은 역시 그의 의지를 행사하는 권능인 신적 권능 혹은 전능에서도 그 표현을 찾아볼 수 있다. 하나님의 전능은 하나님께서 무엇이든지 다 하실 수 있다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된다. 성경은 하나님께서 하지 못하시는 것이 많이 있다는 것을 가르쳐 주고 있다. 거짓말 하는 것, 죄를 범하는 것, 변질하는 것, 자신을 부정하는 것 등 그가 할 수 없는 것이다.(민23:19, 약1:13)하나님의 전능은 EI-Shaddai라는 이름에서 그 표현을 찾아볼 수 있다.(욥9:12, 눅1:37)
느낀점
하나님의 본질 안에 하나님께서 우리를 사랑 받지 못할 존재의 우리들을 사랑하셔서 예수그리스도를 보내심으로 죽기까지 우리를 사랑하시는 것을 보고 죄의 선택에 있어서 하나님께서 하시지 못하시는 거짓말과, 죄범함, 변질과, 자기 부정을 우리의 영이 선택하는 것을 느끼고 볼 수 있는데, 하나님을 모두 알지 못하지만 하나님께서는 선을 행하시며 선을 우리가 행할 때 사랑을 행하고 하나님의 말씀을 준행할 때 하나님의 형상이 더욱 빛남을 알 수 있다. 그 전제의 기초는 바로 하나님을 만나고 하나님을 느낄 때 우리가 의식적으로 행동이 나오는 것이 아닌 하나님의 사랑 안에 자연스럽게 나온다는 것을 되새기는 시간이었다.
참고 도서
기독교 신학개론 루이스 뻘콥 지음, 신복윤 옮김 성광문화사
추천자료
하나님 나라와 교회와의 관계에 관한 연구
은유로서의 ‘하나님 아버지’
[지식사회 대학교육]지식사회 대학교육의 문제점과 향후 개선방안 분석(지식사회와 조직사회...
[신][신 존재][신 인식][신 명칭][신의 속성][신의 섭리][신의 삼위일체론][삼위일체론][삼위...
[헤겔][법철학][자연철학][역사철학][현실][신학][신 존재 증명]헤겔의 일생, 헤겔의 법철학,...
벌코프 저서에 조직 신학중 기독론에 대하여
하나님의 절대적이 본질과 활력에 대한 슐라이에르마허의 견해를 전통적 신학의 관점에서 평...
이종성의 신학적 인간학에서 6번 사회 속에서 사는 존재, 7번 시간과 영원속에서 사는 인간
[신약신학] <하나님의 약속의 완성>에 대하여
[성경·설교·말씀] (요한복음 20장 19-23절) 신학도를 향한 예수님의 언약 (성서·기독교·교회·...
[바울신학 Pauline theology] 하나님의 아들의 구원 사역 (바울이 그리스도의 사역과 그의 죽...
과정신학 화이트헤드의 사상을 중심으로
[구약신학] 출애굽기 33장의 성경적 이해(주해)와 현대적 적용 - 모세의 중보기도와 하나님의...
사회복지현장이 급격히 변화되고 제도가 확대되고 있지만 사회복지조직을 님비시설로 여기는 ...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