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기독교 상담에서의 암시적 통합과 명시적 통합
2. 신앙의 암시적 통합
3. 기독교 신앙의 명사적 통합
참고문헌
2. 신앙의 암시적 통합
3. 기독교 신앙의 명사적 통합
참고문헌
본문내용
한다. 그런데 내담자가 그런 신앙적 인접근에 관심이 있다면, 내담자로부터 동의를 받아야 한다. 이때 가급적이면 기록된 형태의 동의서를 받는 것이 좋다. 종교적인 이슈에 대한 대화와 기도 및 성경과 같은 영적 자원과 개입방법을 사용한다는 것에 대해 내담자가 충분히 공개적으로 듣고, 자유의사에 따라 동의한다는 내용을 계약서에 포함하는 것이다. 그리고 내담자 스스로 상담에 대해 갖고 있는 기대나 목표를 포함시키는 것도 좋다. 그러나 상담자 스스로 명시적 통합 접근을 사용할 만큼 적절한 훈련이 되어 있다고 느껴지지 않으면, 그런 접근을 할 수 있는 경험 있는 상담자에게 내담자를 위탁하는 것이 필요하다(Tan, 1996c).
상담에 기독교신앙을 통합하는 데에 있어서 암시적 통합과 명시적 통합은 서로를 배제하는 상충적인 모델들이 아니다. 그보다는 서로 연결되는 통합의 모델들로서 앙쪽 끝에 위치한 것들이라고 할 수 있다. 상담 중에 영적인 이슈들을 다루고 영적인 자원들을 사용함에 있어서 기독교 상담자는 암시적인 접근에서부터 명시적인접근까지 유연하게 선택할 수 있다. 내담자의 필요나 수용정도에 따라 상담의 진행과정을 보아가며 암시적 · 명시적 통합선상에서 적절한 접근을 택할 수 있다. 때로는 한 상담 회기 중에도 이 2가지 입장 사이를 오갈 수 있다. 상담자는 내담자의 상황에 따라 공감적이며 민감한 관심을 갖고 적절하게 반응할 수 있어야 한다. 테 렐(2007)이 강조하였듯이, 보다 관계지향적인 정신역동 접근은 상대적으로 암시적이라 할 수 있지만, 그 의도성에 비추어 '명시적’이라 할 수 있는 기독교적 통합 접근을 할 수 있다. 종교적 이슈들에 대해 굳이 말로 표현하지 않더라도 영적인 측면을 구현할 수 있기 때문이다.
기독교 상담에서 명시적 통합 접근은 다양한 방식으로 전개될 수 있다. 그 3가지 주요 내용들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1) 상담할 때 신앙적 인 자원들을 사용하기 (2) 상담할 때 영적인 이슈들에 대해 다루기 (3) 상담자와 내담자 안에 내면적인통합과 영적 성장을 촉진하기(Tan, 1996c).
참고문헌
양명숙, 김동일 외 저, 상담이론과 실제, 학지사 2013
히스 램버트 저, 성경적 상담의 핵심 개념, 국제제자훈련원 2015
에릭 존슨 저, 심리학과 기독교 어떤 관계인가, 부흥과개혁사 2012
윤가현, 권석만 외 저, 심리학의 이해, 학지사 2012
에릭 L. 존슨 저, 기독교심리학, CLC 2012
상담에 기독교신앙을 통합하는 데에 있어서 암시적 통합과 명시적 통합은 서로를 배제하는 상충적인 모델들이 아니다. 그보다는 서로 연결되는 통합의 모델들로서 앙쪽 끝에 위치한 것들이라고 할 수 있다. 상담 중에 영적인 이슈들을 다루고 영적인 자원들을 사용함에 있어서 기독교 상담자는 암시적인 접근에서부터 명시적인접근까지 유연하게 선택할 수 있다. 내담자의 필요나 수용정도에 따라 상담의 진행과정을 보아가며 암시적 · 명시적 통합선상에서 적절한 접근을 택할 수 있다. 때로는 한 상담 회기 중에도 이 2가지 입장 사이를 오갈 수 있다. 상담자는 내담자의 상황에 따라 공감적이며 민감한 관심을 갖고 적절하게 반응할 수 있어야 한다. 테 렐(2007)이 강조하였듯이, 보다 관계지향적인 정신역동 접근은 상대적으로 암시적이라 할 수 있지만, 그 의도성에 비추어 '명시적’이라 할 수 있는 기독교적 통합 접근을 할 수 있다. 종교적 이슈들에 대해 굳이 말로 표현하지 않더라도 영적인 측면을 구현할 수 있기 때문이다.
기독교 상담에서 명시적 통합 접근은 다양한 방식으로 전개될 수 있다. 그 3가지 주요 내용들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1) 상담할 때 신앙적 인 자원들을 사용하기 (2) 상담할 때 영적인 이슈들에 대해 다루기 (3) 상담자와 내담자 안에 내면적인통합과 영적 성장을 촉진하기(Tan, 1996c).
참고문헌
양명숙, 김동일 외 저, 상담이론과 실제, 학지사 2013
히스 램버트 저, 성경적 상담의 핵심 개념, 국제제자훈련원 2015
에릭 존슨 저, 심리학과 기독교 어떤 관계인가, 부흥과개혁사 2012
윤가현, 권석만 외 저, 심리학의 이해, 학지사 2012
에릭 L. 존슨 저, 기독교심리학, CLC 2012
추천자료
[상담이론] 분석 심리학 - 상담심리학의 이론과 실제.pptx
[심리치료와 상담] 프로이드/프로이트(Freud) 사후의 정신분석 - 자아심리학, 대상관계 이론,...
[심리치료와 상담] 아들러(Adler)의 생애(성장과정과 교육배경)와 개인심리학의 발전과정(프...
[심리치료와 상담] 한국의 심리치료 - 동사섭(同事攝)에 대한 이해(특성)
[심리치료와 상담] 한국의 심리치료 - 현실역동상담에 대한 이해 _ 장성숙
[심리치료와 상담] 벡(Aaron Beck)의 생애와 인지치료의 발전과정 - Beck의 성장과정과 교육...
[심리치료와 상담] Bowen(보웬)의 다세대 가족치료(multi-generational family therapy) - 가...
[상담相談과 심리치료] 현실치료의 치료적 과정과 관계 - 현실치료의 3가지 주요한 기초원리,...
[상담相談과 심리치료] 실존치료에 대한 비평(강점과 약점) 및 실존치료에 대한 미래 전망
[상담과 심리치료] 상담과 심리치료의 법적, 윤리적 문제(시혜와 유해행위, 성실과 책임, 도...
[상담相談과 심리치료] 게슈탈트치료의 주요 치료 기법과 개입
[상담相談과 심리치료] 인지행동치료와 합리적 정서행동치료의 개요 및 인지행동치료 주요인...
[상담相談과 심리치료] 부부치료에 대한 개요 및 부부 및 가족치료에 있어 주요 학자들에 대...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