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목차
1. 경험적 꿈 작업
2. 질문을 진술로 전환하기
3. 일인칭대명사로 바꾸기
4. 책임 감당하기
5. 투사하기
6. 빈의자 기법
7. 한 바퀴 돌기
8. 과장하기
9. 직면
10. 내가 한 마디해도 됩니까?
11. 느낌과 함께 머물기
12. 반전 기법
참고문헌
1. 경험적 꿈 작업
2. 질문을 진술로 전환하기
3. 일인칭대명사로 바꾸기
4. 책임 감당하기
5. 투사하기
6. 빈의자 기법
7. 한 바퀴 돌기
8. 과장하기
9. 직면
10. 내가 한 마디해도 됩니까?
11. 느낌과 함께 머물기
12. 반전 기법
참고문헌
본문내용
는 질문을 사용하게 된다. 예를 들면 한 내담자가 "엄마가 매우 사소한 문제 때문에 나를 비난하는 것을 좋아하지 않는다.”라고 매우 부드럽게 말할 수 있다. 게슈탈트치료자는 내담자에게 "당신은 그러한 부드러운 목소리로 어머니의 비난에 대한 비호감을 드러낼 때 당신 내부에 어떤 감정을 깊이 경험하고 있는가?“를 질문하면서 내담자의 부드러운 음성과 엄마에게 가지는 분노와 비호감 사이에 생겨나는 강한 느낌 사이의 불일치를 지적하게 된다. 이러한 부드러운 직면은 내담자가 내적 감정을 더 자각할 수 있게 하며, 그러한 감정을 잘 통합할 수 있게 한다.
10. 내가 한 마디해도 됩니까?
게슈탈트치료자들은 내담자가 분명하지 않거나 감춰져 있는 함축적인 메시지나 태도를 언어화하도록 돕기 위해서 반복해서 말하도록 한 문장을 제안한다. 치료자들은 "내가 한마디해도 됩니까?(May I Feed You a Sentence?)”라고 말한 다음에 그 말을 반복하도록 요구한다. 예를 들어, 만약 내담자가 한 친구로부터 받은 상처 입은 느낌을 언어화하는 데 어떤 문제를 가지고 있다고 느낀다면, 치료자는 내담자에게 “내가 당신에게 한 마디해도 됩니까?”라고 물은 그런 다음에 “여기에 당신이 나를 따라 반복해서 말하기를 원하는 한 문장이 있는데, 그것은 나는 나의 귀한 친구인 조안에게 깊은 상처를 받아 실망했다.”라고 말할 수 있다. 이때 내담자는 이 문장을 크게 반복해서 말하게 되는데, 내담자는 이 과정을 통해 자신의 내적 감정을 더 잘 자각하게 되고, 또한 통찰력 이 자라날 수 있다.
11. 느낌과 함께 머물기
게슈탈트치료자는 내담자가 현재 상태에 임박하게 경험하는 감정들을 차단하거나 피하는 대신, 그 경험에 머물면서 경험하도록 내담자들에게 이러한 일반적인 전략들을 사용한다.
내담자가 느낌과 함께 머물도록 게슈탈트치료에서 여러 가지 특수한 기법들을 사용할 수 있다. 첫째, “당신은 지금 무엇을 경험하고 있습니까?" 흑은 "당신은 이 순간에 무엇을 자각하고 있습니까?”와 같은 특별한 질문들을 반복해서 사용할 수 있다. 둘째로, 치료자들은 내담자들에게 그들의 느낌이 스스로 말하거나 그들의 느낌이 목소리를 갖도록 가르칠 수 있다(예를 들어, 너의 우울증이 목소리를 갖고 말하도록 해라). 셋째로 치료자는 내담자에게 느낌을 경험하는 순간을 떠올려 그 감정을 연기하거나 역할극을 하도록 격려할 수 있다(J. Sommers-Flanagan & Sommers-Flanagan, 2004, 159).
느낌과 함께 머물기는 내담자들로 하여금 전에 막혔던 감정을 더 많이 접촉하도록 도울 수 있고, 그 감정을 소리내며 소유하고, 그런 다음 그 감정을 그들의 최근의 각성과 기능 속으로 재통합되도록 도와준다.
12. 반전 기법
치료자들은 내담자가 전에는 막았거나 부인했던 치료자의 어 떤 면들과 더 잘 접촉하도록 게슈탈트치료 기법을 시용한다. 예를 들면 게슈탈트치료자들은 목소리가 크고 공격적인 내담자에게 그의 행동을 반전시켜 한층 부드럽고 조용한 방법으로 말하도록 요청한다. 반전 기법은 개인상담뿐만 아니라 집단상담에서도 사용할 수 있는데, 게슈탈트치료자는 그룹상담에서 거의 말하지 않는 매우 수동적 이고 내성적인 내담자에게 연속된 그룹 상담에서는 가장 많이 말하도록 해서 그러한 행동을 뒤집도록 요청하게 된다.
참고문헌
양명숙, 김동일 외 저, 상담이론과 실제, 학지사 2013
히스 램버트 저, 성경적 상담의 핵심 개념, 국제제자훈련원 2015
에릭 존슨 저, 심리학과 기독교 어떤 관계인가, 부흥과개혁사 2012
윤가현, 권석만 외 저, 심리학의 이해, 학지사 2012
에릭 L. 존슨 저, 기독교심리학, CLC 2012
10. 내가 한 마디해도 됩니까?
게슈탈트치료자들은 내담자가 분명하지 않거나 감춰져 있는 함축적인 메시지나 태도를 언어화하도록 돕기 위해서 반복해서 말하도록 한 문장을 제안한다. 치료자들은 "내가 한마디해도 됩니까?(May I Feed You a Sentence?)”라고 말한 다음에 그 말을 반복하도록 요구한다. 예를 들어, 만약 내담자가 한 친구로부터 받은 상처 입은 느낌을 언어화하는 데 어떤 문제를 가지고 있다고 느낀다면, 치료자는 내담자에게 “내가 당신에게 한 마디해도 됩니까?”라고 물은 그런 다음에 “여기에 당신이 나를 따라 반복해서 말하기를 원하는 한 문장이 있는데, 그것은 나는 나의 귀한 친구인 조안에게 깊은 상처를 받아 실망했다.”라고 말할 수 있다. 이때 내담자는 이 문장을 크게 반복해서 말하게 되는데, 내담자는 이 과정을 통해 자신의 내적 감정을 더 잘 자각하게 되고, 또한 통찰력 이 자라날 수 있다.
11. 느낌과 함께 머물기
게슈탈트치료자는 내담자가 현재 상태에 임박하게 경험하는 감정들을 차단하거나 피하는 대신, 그 경험에 머물면서 경험하도록 내담자들에게 이러한 일반적인 전략들을 사용한다.
내담자가 느낌과 함께 머물도록 게슈탈트치료에서 여러 가지 특수한 기법들을 사용할 수 있다. 첫째, “당신은 지금 무엇을 경험하고 있습니까?" 흑은 "당신은 이 순간에 무엇을 자각하고 있습니까?”와 같은 특별한 질문들을 반복해서 사용할 수 있다. 둘째로, 치료자들은 내담자들에게 그들의 느낌이 스스로 말하거나 그들의 느낌이 목소리를 갖도록 가르칠 수 있다(예를 들어, 너의 우울증이 목소리를 갖고 말하도록 해라). 셋째로 치료자는 내담자에게 느낌을 경험하는 순간을 떠올려 그 감정을 연기하거나 역할극을 하도록 격려할 수 있다(J. Sommers-Flanagan & Sommers-Flanagan, 2004, 159).
느낌과 함께 머물기는 내담자들로 하여금 전에 막혔던 감정을 더 많이 접촉하도록 도울 수 있고, 그 감정을 소리내며 소유하고, 그런 다음 그 감정을 그들의 최근의 각성과 기능 속으로 재통합되도록 도와준다.
12. 반전 기법
치료자들은 내담자가 전에는 막았거나 부인했던 치료자의 어 떤 면들과 더 잘 접촉하도록 게슈탈트치료 기법을 시용한다. 예를 들면 게슈탈트치료자들은 목소리가 크고 공격적인 내담자에게 그의 행동을 반전시켜 한층 부드럽고 조용한 방법으로 말하도록 요청한다. 반전 기법은 개인상담뿐만 아니라 집단상담에서도 사용할 수 있는데, 게슈탈트치료자는 그룹상담에서 거의 말하지 않는 매우 수동적 이고 내성적인 내담자에게 연속된 그룹 상담에서는 가장 많이 말하도록 해서 그러한 행동을 뒤집도록 요청하게 된다.
참고문헌
양명숙, 김동일 외 저, 상담이론과 실제, 학지사 2013
히스 램버트 저, 성경적 상담의 핵심 개념, 국제제자훈련원 2015
에릭 존슨 저, 심리학과 기독교 어떤 관계인가, 부흥과개혁사 2012
윤가현, 권석만 외 저, 심리학의 이해, 학지사 2012
에릭 L. 존슨 저, 기독교심리학, CLC 2012
키워드
추천자료
[심리치료]심리치료 놀이치료,발달놀이,음악치료,독서치료,미술치료,집단상담
고전적 가족치료(다세대가족치료, 구조적 가족치료, 의사소통가족치료) 가운데 한 가지를 선...
아동상담기법에서 자신이 관심 있는 분야의 치료기법에 대해 쓰고 그 기법이 아동문제해결에 ...
아동상담기법에서 자신이 관심 있는 분야의 치료기법에 대해 쓰고 그 기법이 아동문제해결에 ...
게슈탈트 심리치료의 특성과 장단점
[경험적 가족치료][경험적 가족치료 발달배경][경험적 가족치료사][치료기법]경험적 가족치료...
[심리치료와 상담] 심리치료(心理治療)와 상담 이론(相談理論)의 중요성 - 심리치료 이론의 ...
[심리치료와 상담] 심리치료 - 고통과 불행이라는 인간의 문제와 마음의 치유 및 성장을 위한...
[심리치료와 상담] 심리치료와 상담의 기본요소,내담자, 심리치료자(심리치료자의 동기와 자...
[심리치료와 상담] 인지치료(Cognitive Therapy)의 개요 _ 아론 벡(Aaron Beck)
[심리치료와 상담] 행동치료(behavior therapy)의 개요
[심리치료와 상담] 동양 심리치료(mindfulness-based psychotherapy)의 특성
[심리치료와 상담] 어떤 심리치료가 더 효과적인가 - 도도새의 판결 (Dodo Bird Verdict)
[심리치료와 상담] 인간중심치료(person-centered therapy)의 실제(치료의 진행과정과 역할)...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