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재구성하기(reframing)
2. 치료적 이중구속(therapeutic double binds)
3. 재연(시연)(enactment)
4. 가족조각 기법(family scupting)
5. 순한질문(circular questioning)
6. 인지적 재구조(cognitive restructuring)
7. 기적질문(miracle questions)
8. 외현화(externalization)
8. 가족경계 설정하기(boundary setting)
9. 가계도(genogram)
10. 부부 및 가족치료의 실제(가상 대화록)
참고문헌
2. 치료적 이중구속(therapeutic double binds)
3. 재연(시연)(enactment)
4. 가족조각 기법(family scupting)
5. 순한질문(circular questioning)
6. 인지적 재구조(cognitive restructuring)
7. 기적질문(miracle questions)
8. 외현화(externalization)
8. 가족경계 설정하기(boundary setting)
9. 가계도(genogram)
10. 부부 및 가족치료의 실제(가상 대화록)
참고문헌
본문내용
남아 있는 것 같아요, 이젠 그 아이도 16살이니까요.
가족치료사: 그래요. 이 문제에 대해서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아버님?
내담자(아버지): 글쎄요. 저는 존에게 개인적인 공간과 사생활을 보호해 주는 것에 대해서는 괜찮다고 봐요. 하지만 존이 자신의 삶 속에서 일어나고 있는 일에 대해 자주 알려주면, 그렇게 해주기 조금 더 쉬울 것 같아요.
내담자{아들): 노력해 볼게요, 아빠. 그렇지만 이젠 아빠가 더 이상 제 방을 시도 때도 없이 들어오지 않으셨으면 좋겠어요, 특히 문이 잠겨 있을 때요, 노크도 안 하시잖아요. 저에게 할 말 있으시면, 노크부터 하시고 제 방에 들어오세요. 네?
내담자{아버지): 그래.
가족치료사: 좋네요! 서로 대화 할 수 있도록 알맞은 경계선이나 지침을 만들어 가고 있어서 빨리 자라고 있는 존의 자신만에 공간과 사생활을 지켜달라는 요구를 들어줄 수 있도록 만들어 주고 있어요! 그래서 아버지께서는 이제 존의 방에 들어가시기 전에 노크하시는 것에 찬성하시나요?
내담자(아버지): 네, 기억하도록 노력할게요.
가족치료사: 좋아요! 그리고 존, 이제 아버지가 먼저 물어보시기 전에 아버지에게 너와 너의 삶에 일어나는 것에 대해 조금 더 자주 말해줄 수 있겠니?
내담자{아들): 네, 저도 아빠처럼 노력해 볼게요! (여기서 살짝 미소 지으며. 아빠를 쳐다본다)
가족치료사: 그리고 어머님은 괜찮으신가요?
내담자(어머니): 당연하죠! 지금까지 계속 오늘 약속했던 것과 비슷하게 종 해야 된다고 남편에게 말해왔어요. 이젠 존도 16살이고, 더 이상 10살짜리 아이처럼 대하시면 안 되잖아요!
내담자{아버지): 하지만 당신은 내게 기분 좋게 말하지 않았고, 가끔은 너무 많은 잔소리를 해요!(미소를 지으며) 하지만 인정해요. 그리고 이젠 너와 더 잘 연합할 수 있도록 같이 노력할 수 있겠어, 존.
내담자{어머니): 그거 좋네요.
가족치료사: 좋고 말고요! 아버지, 어머니께서 서로 협력하시고, 아버지와 존이 더 열린 마음으로 그리고 자발적으로 대화하고 연합하고, 아버지께서는 서는 존의 개인적인 공간을 더욱 존중해 주시고, 또 존이 잔소리를 통해서이지만 아버지가 얼마나 자신을 생각하는지 이해하게 되는, 이제 이 모든 것을 다음 만날 때까지 가족 모두가 숙제로 해오실 수 있나요?
내담자{아버지): 네, 노력할게요.
내담재아들): 물론이죠.
내담자{어머니): 두 사람을 위해 최선을 다해 도울게요!
가족치료사: 좋아요! 마지막 남은 시간동안 더 상담하실 으|제가 뭐가 있는지 보도록 해요.
16살된 아들과 그의 부모와 함께한 가족치료 회기의 일부분에 대한 이 가상의 대화록은 재구성 방법(아들과 그의 인생에 대한 관심의 표현이었던 아버지의 잔소리와 잦은 질문)과 가족경계 설정하기(아들이 자주 자발적으로 자신의 삶에 일어나는 일을 아버지에게 나눌 수 있도록 권하는)를 사용한 가족치료사의 예를 설명해주고 있다. 가족치료사는 각 가족구성원이 말을 할 수 있는 기회를 가질 수 있도록 감독과 지도를 했다. 가족치료사는 서로가 말한 것을 요약해 주고, 가능한 해결책을 함께 찾은 후 구체적인 제안을 내고 괜찮은지 물어봐 주고, 가족구성원이 스스로 창의적인 문제해결 방안을 만들 수 있게 권한을 주어, 가족구성원이 함께 따뜻하고, 존중하고, 공감적인 치료적 관계를 맺어 주었다.
참고문헌
양명숙, 김동일 외 저, 상담이론과 실제, 학지사 2013
히스 램버트 저, 성경적 상담의 핵심 개념, 국제제자훈련원 2015
에릭 존슨 저, 심리학과 기독교 어떤 관계인가, 부흥과개혁사 2012
윤가현, 권석만 외 저, 심리학의 이해, 학지사 2012
에릭 L. 존슨 저, 기독교심리학, CLC 2012
가족치료사: 그래요. 이 문제에 대해서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아버님?
내담자(아버지): 글쎄요. 저는 존에게 개인적인 공간과 사생활을 보호해 주는 것에 대해서는 괜찮다고 봐요. 하지만 존이 자신의 삶 속에서 일어나고 있는 일에 대해 자주 알려주면, 그렇게 해주기 조금 더 쉬울 것 같아요.
내담자{아들): 노력해 볼게요, 아빠. 그렇지만 이젠 아빠가 더 이상 제 방을 시도 때도 없이 들어오지 않으셨으면 좋겠어요, 특히 문이 잠겨 있을 때요, 노크도 안 하시잖아요. 저에게 할 말 있으시면, 노크부터 하시고 제 방에 들어오세요. 네?
내담자{아버지): 그래.
가족치료사: 좋네요! 서로 대화 할 수 있도록 알맞은 경계선이나 지침을 만들어 가고 있어서 빨리 자라고 있는 존의 자신만에 공간과 사생활을 지켜달라는 요구를 들어줄 수 있도록 만들어 주고 있어요! 그래서 아버지께서는 이제 존의 방에 들어가시기 전에 노크하시는 것에 찬성하시나요?
내담자(아버지): 네, 기억하도록 노력할게요.
가족치료사: 좋아요! 그리고 존, 이제 아버지가 먼저 물어보시기 전에 아버지에게 너와 너의 삶에 일어나는 것에 대해 조금 더 자주 말해줄 수 있겠니?
내담자{아들): 네, 저도 아빠처럼 노력해 볼게요! (여기서 살짝 미소 지으며. 아빠를 쳐다본다)
가족치료사: 그리고 어머님은 괜찮으신가요?
내담자(어머니): 당연하죠! 지금까지 계속 오늘 약속했던 것과 비슷하게 종 해야 된다고 남편에게 말해왔어요. 이젠 존도 16살이고, 더 이상 10살짜리 아이처럼 대하시면 안 되잖아요!
내담자{아버지): 하지만 당신은 내게 기분 좋게 말하지 않았고, 가끔은 너무 많은 잔소리를 해요!(미소를 지으며) 하지만 인정해요. 그리고 이젠 너와 더 잘 연합할 수 있도록 같이 노력할 수 있겠어, 존.
내담자{어머니): 그거 좋네요.
가족치료사: 좋고 말고요! 아버지, 어머니께서 서로 협력하시고, 아버지와 존이 더 열린 마음으로 그리고 자발적으로 대화하고 연합하고, 아버지께서는 서는 존의 개인적인 공간을 더욱 존중해 주시고, 또 존이 잔소리를 통해서이지만 아버지가 얼마나 자신을 생각하는지 이해하게 되는, 이제 이 모든 것을 다음 만날 때까지 가족 모두가 숙제로 해오실 수 있나요?
내담자{아버지): 네, 노력할게요.
내담재아들): 물론이죠.
내담자{어머니): 두 사람을 위해 최선을 다해 도울게요!
가족치료사: 좋아요! 마지막 남은 시간동안 더 상담하실 으|제가 뭐가 있는지 보도록 해요.
16살된 아들과 그의 부모와 함께한 가족치료 회기의 일부분에 대한 이 가상의 대화록은 재구성 방법(아들과 그의 인생에 대한 관심의 표현이었던 아버지의 잔소리와 잦은 질문)과 가족경계 설정하기(아들이 자주 자발적으로 자신의 삶에 일어나는 일을 아버지에게 나눌 수 있도록 권하는)를 사용한 가족치료사의 예를 설명해주고 있다. 가족치료사는 각 가족구성원이 말을 할 수 있는 기회를 가질 수 있도록 감독과 지도를 했다. 가족치료사는 서로가 말한 것을 요약해 주고, 가능한 해결책을 함께 찾은 후 구체적인 제안을 내고 괜찮은지 물어봐 주고, 가족구성원이 스스로 창의적인 문제해결 방안을 만들 수 있게 권한을 주어, 가족구성원이 함께 따뜻하고, 존중하고, 공감적인 치료적 관계를 맺어 주었다.
참고문헌
양명숙, 김동일 외 저, 상담이론과 실제, 학지사 2013
히스 램버트 저, 성경적 상담의 핵심 개념, 국제제자훈련원 2015
에릭 존슨 저, 심리학과 기독교 어떤 관계인가, 부흥과개혁사 2012
윤가현, 권석만 외 저, 심리학의 이해, 학지사 2012
에릭 L. 존슨 저, 기독교심리학, CLC 2012
추천자료
[가족상담및치료,가족관계]최근_우리사회에서_알려지고_있는_다양한_가족문제에_대하여_대중...
가족상담및치료 가정 문제의 사례를 찾아보고 가족치료 이론
(가족상담및치료) 가족상담 및 치료과정 이론정리
[심리치료와 상담] 가족치료(Family Therapy)의 개요
(가족상담및치료 4공통) 한국의 가족상담 및 치료의 발달사를 정리한 뒤, 한국 가족의 특성...
가족상담및치료4공통) 한국의 가족家族상담 및 치료의 발달사를 정리한 뒤, 한국 가족의 특성...
요즘 일어나는 사건들이나 자신 주변지인들의 사례를 전략적 가족치료기법으로 가상의 상담일...
[가족상담및치료 공통] 가족상담 및 치료 과정에서의 직업윤리를 설명하고, 직업윤리에 위배...
<<가족상담및치료>>가족상담 및 치료 과정에서의 직업윤리를 설명하고, 직업윤리에 위배되는 ...
가족상담및치료_해결중심적 가족치료의 변화와 해결로 이끄는 질문을 활용하여 자신이 현재 ...
[가족상담및치료][가족상담] 가족상담 및 치료 과정에서의 직업윤리를 설명하고, 직업윤리에 ...
가족상담및치료]우리나라 가정의 형태 특성에 맞는 가족치료이론 선정 및 실천과정에 대한 보...
가족상담및치료 공통:) 가족체계이론에 대해서 설명한 뒤, 가족상담 및 치료 맥락에서 갖는 ...
(가족상담및치료4공통) 가족체계이론에 대해서 설명한 뒤, 가족상담 및 치료 맥락에서 갖는 ...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