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청자 버드나무 학 동자무늬 매병 / 고려 13세기
본문내용
한 다음 투명한 백색 유약을 입혀 구워 낸 도자기를 말한다. 백자의 색깔은 그릇에 입혀진 유약의 색으로 좌우된다. 유색은 유약의 성분, 가마 안의 조건 등에 따라 조금씩 다른데 제작된 시기와 지역에 따라 색조의 차가 있다. 그래서 백자의 백색은 한마디로 정의하기가 어려운데 대체로 보통 15세기 백자가 유백색 계통이며, 16세기가 되면 설백색, 17세기에는 회백색, 18-19세기에는 푸른 기가 약간 도는 청백색으로 볼 수 있다. 본 유물은 기면에는 무늬가 전혀 보이지 않는데 이것과 같이 그릇 표면에 아무런 무늬가 없는 순도 높은 순백의 태토와 잡물이 섞이지 않은 순수한 석회유를 씌워 고화도에서 구운 경질의 백자를 순백자라 한다. 장식이 전혀 없는 것이 일반적이다. 조선시대 가마터를 조사해 보면 순백자 종류가 95% 이상을 차지하며 그릇의 종류는 대접, 접시류가 대부분이며 병이나 항아리는 드문 편이다. 순백자는 일반적으로 형태가 온전하고 백자색이 순정한 것을 좋은 백자로 치는데 특히 조선 초기의 백자와 18세기 전반의 백자가 우수하다고 알려져 있다. 기형을 보면 우선 입이 넓은 광구형이고 위로 올라가면서 사선방향으로 외반하였다. 그리고 광택을 띄고 있다.
추천자료
세계문화사 (동서양의 음식문화)
[세계문화의이해] 헝가리의 음식문화
[세계의풍속과문화]한국남성과 동남아 여성의 국제결혼가족에서 발견되는 문화적 적응과 갈등...
[세계문화] 미국문화
세계문화도시를가다 - 문화도시를 팔아라
[세계문화] 스리랑카의 장례문화에 대해 알아보기
[세계문화기행]브라질의 문화
세계문화의 이해 문화대혁명
[세계문화기행] 미국문화 (America)
[세계문화] 스웨덴 문화에 대해서
[세계음식문화] [멕시코 음식문화 특징]
프랑스의 음식문화-세계 음식문화와 관광,France의 대표적 음식,France의 역사적, 지리적특징...
[세계문화의 이해] 프랑스의 똘레랑스(tolérance)에 관해 (프랑스인의 기질과 기...
[음식의세계문화 과제] 한식(韓食)의 세계화 방안 - 문제점 분석과 실질적 가능성을 중심으로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