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Introduction
(1) 실험목적
(2) 실험의 이론적 배경과 원리[조사]
2. Materials & Methods
(1)실험재료
(2)실험방법
3. Result
4. Discussion
(1) 실험목적
(2) 실험의 이론적 배경과 원리[조사]
2. Materials & Methods
(1)실험재료
(2)실험방법
3. Result
4. Discussion
본문내용
어려워 시간이 매우 부족했다. (figure 7)을 보면 수많은 적혈구들 사이로 겨우 몇 개의 백혈구만 보인다. 백혈구의 수가 적혈구의 수에 비해 굉장히 작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고 백혈구의 종류도 훨씬 다양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2) 성공과 실패의 원인
(figure 8. 실패한 erythrocyte 10x10 현미경 관찰사진)
이번 실험에서 총 4개의 혈액을 채취해 샘플을 만들었는데 그 중 도말이 너무 얇게 되어 샘플 제조 후 몇 분도 채 안되어 말라버린 샘플에서 가장 좋은 결과를 관찰할 수 있었다. 도말을 얇게 해 빨리 말라버려 정상적인 적혈구와 백혈구를 관찰하기 어렵다고 생각해 오랜 시간(15분 정도) 방치해 두었다가 혹시나 하는 마음에 고정, 염색시키고 관찰했더니 좋은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실험방법대로 2~3분 정도의 건조과정을 거친 샘플을 관찰해 더 좋은 결과를 얻고 싶었지만 시간적으로 여유롭지 못했다. 도말을 얼마나 얇게, 세포를 손상시키지 않고 슬라이드 글라스 위에 균일하게 했느냐가 정말 중요했다. 도말을 제대로 하지 않은 샘플의 경우 위의 (figure 8)의 사진처럼 적혈구만 빨갛게 흘러 여러 겹으로 겹쳐 이동하는 것을 관찰하게 된다. 건조시간의 경우는 이번 실험에서 큰 영향을 미치지는 않았으리라고 추측된다. 왜냐하면 2~3분간 건조시키라고 실험방법에 나와 있지만 15분 동안 건조시켰음에도 불구하고 좋은 사진을 얻을 수 있었기 때문이다.
3) 더 알아야 할 점
-적혈구의 형태와 형태적 특징으로 인한 장점
적혈구는 생성 초기에는 핵이 있지만 성숙함에 따라 핵이 없어진다. 가운데가 움푹 패인 원반모양을 하게 되는데 이러한 모양은 구형 적혈구에 비해 혈구 표면적이 넓어 가스 교환 효율이 높고, 삼투압 변화나 외부의 충격에 대한 저항력이 크며, 형태 변화가 쉬워 좁은 혈관을 쉽게 통과할 수 있다.
-관찰된 백혈구들을 분류하기 위해 염색된 핵의 개수나 가지 쳐진 모양을 보며 분류했는데 각 종류의 백혈구마다 핵의 개수나 모양이 다른 이유가 궁금하다. 아마도 각 백혈구들마다의 기능이 다르기 때문이라고 사료되는데 아쉽게도 이에 대한 정확한 정보는 찾을 수 없었다.
-우리 몸의 60조 개 이상에 해당하는 세포에 어떻게 산소를 통해 에너지를 생산할까? 하는 의문이 들었다. 전공 책에서 그 이유를 찾을 수 있었다. 적혈구의 작은 크기에도 불구하고 한 세포가 약 2억 5천만 개의 헤모글로빈 분자를 보유하고 있다. 한 분자의 헤모글로빈은 4분자의 산소와 결합을 할 수 있으므로 하나의 적혈구가 운반할 수 있는 산소분자의 수는 10억 개에 해당한다. 따라서, 1마이크로리터 안에는 약 500만~600만 개의 적혈구가 있으므로 전체 5L의 혈액에는 적혈구가 25조 개나 있는 셈이기 때문에 체내의 세포들이 원활하게 작동할 수 있는 것이다.
5. Reference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332045&cid=42411&categoryId=42411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163204&cid=40942&categoryId=32310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092841&cid=40942&categoryId=32403
http://ko.wikipedia.org/wiki/%EC%84%B8%ED%8F%AC_%ED%98%B8%ED%9D%A1
Campbell, Reece, Urry, Cain, Wasserman, Minorsky, Jackson. (2010) Biology. 9E. 897-913page. Pearson Education.
2) 성공과 실패의 원인
(figure 8. 실패한 erythrocyte 10x10 현미경 관찰사진)
이번 실험에서 총 4개의 혈액을 채취해 샘플을 만들었는데 그 중 도말이 너무 얇게 되어 샘플 제조 후 몇 분도 채 안되어 말라버린 샘플에서 가장 좋은 결과를 관찰할 수 있었다. 도말을 얇게 해 빨리 말라버려 정상적인 적혈구와 백혈구를 관찰하기 어렵다고 생각해 오랜 시간(15분 정도) 방치해 두었다가 혹시나 하는 마음에 고정, 염색시키고 관찰했더니 좋은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실험방법대로 2~3분 정도의 건조과정을 거친 샘플을 관찰해 더 좋은 결과를 얻고 싶었지만 시간적으로 여유롭지 못했다. 도말을 얼마나 얇게, 세포를 손상시키지 않고 슬라이드 글라스 위에 균일하게 했느냐가 정말 중요했다. 도말을 제대로 하지 않은 샘플의 경우 위의 (figure 8)의 사진처럼 적혈구만 빨갛게 흘러 여러 겹으로 겹쳐 이동하는 것을 관찰하게 된다. 건조시간의 경우는 이번 실험에서 큰 영향을 미치지는 않았으리라고 추측된다. 왜냐하면 2~3분간 건조시키라고 실험방법에 나와 있지만 15분 동안 건조시켰음에도 불구하고 좋은 사진을 얻을 수 있었기 때문이다.
3) 더 알아야 할 점
-적혈구의 형태와 형태적 특징으로 인한 장점
적혈구는 생성 초기에는 핵이 있지만 성숙함에 따라 핵이 없어진다. 가운데가 움푹 패인 원반모양을 하게 되는데 이러한 모양은 구형 적혈구에 비해 혈구 표면적이 넓어 가스 교환 효율이 높고, 삼투압 변화나 외부의 충격에 대한 저항력이 크며, 형태 변화가 쉬워 좁은 혈관을 쉽게 통과할 수 있다.
-관찰된 백혈구들을 분류하기 위해 염색된 핵의 개수나 가지 쳐진 모양을 보며 분류했는데 각 종류의 백혈구마다 핵의 개수나 모양이 다른 이유가 궁금하다. 아마도 각 백혈구들마다의 기능이 다르기 때문이라고 사료되는데 아쉽게도 이에 대한 정확한 정보는 찾을 수 없었다.
-우리 몸의 60조 개 이상에 해당하는 세포에 어떻게 산소를 통해 에너지를 생산할까? 하는 의문이 들었다. 전공 책에서 그 이유를 찾을 수 있었다. 적혈구의 작은 크기에도 불구하고 한 세포가 약 2억 5천만 개의 헤모글로빈 분자를 보유하고 있다. 한 분자의 헤모글로빈은 4분자의 산소와 결합을 할 수 있으므로 하나의 적혈구가 운반할 수 있는 산소분자의 수는 10억 개에 해당한다. 따라서, 1마이크로리터 안에는 약 500만~600만 개의 적혈구가 있으므로 전체 5L의 혈액에는 적혈구가 25조 개나 있는 셈이기 때문에 체내의 세포들이 원활하게 작동할 수 있는 것이다.
5. Reference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332045&cid=42411&categoryId=42411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163204&cid=40942&categoryId=32310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092841&cid=40942&categoryId=32403
http://ko.wikipedia.org/wiki/%EC%84%B8%ED%8F%AC_%ED%98%B8%ED%9D%A1
Campbell, Reece, Urry, Cain, Wasserman, Minorsky, Jackson. (2010) Biology. 9E. 897-913page. Pearson Education.
추천자료
자성,웅성생식세포 관찰 및 정액의 성상검사
[생물학 실험보고서] 제한효소를 이용한 mapping
[생물학 실험] Blood Cell Counting and Coagulation
생물보고서 - 동물세포의 관찰
세포 관찰 레포트
[일반 생물학 실험] 쥐의 해부
[생물학 실험] (결과) 피부감각 - 촉각의 민감도 측정
[생물학 실험] 진화 및 생물다양성의 이해
[일반생물학] 효소의 반응속도에 영향을 주는 요인에 대한 실험보고서
[생물학 실험] 적혈구 용혈 현상.pptx
[생물학 실험] 단백질(蛋白質) 검출 : 생명현상과 생물체를 이루는 중요한 구성요소 중 단백...
미생물 세포의 관찰 - 그람염색 : 광학현미경의 사용방법을 익히고 미생물 세포를 그람염색을...
[레포트paper] 생물학 실험-PCR&molecular cloning
분자생물학 실험 Ligation & Transformation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