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요통
♤관련 위험인자
♤척추수술의 적응증
♤병태생리
♤척추 수술환자 간호
2. 수술 후 간호
참고문헌
♤관련 위험인자
♤척추수술의 적응증
♤병태생리
♤척추 수술환자 간호
2. 수술 후 간호
참고문헌
본문내용
감염의 증상에 대해 교육한다.
-요추수술 환자일 경우:
- 올바른 자세 취하기
1) 누울 때 침상의 침요는 단단해야 한다. 침요가 단단하지 않으면 아침에 일어날 때 통증을 호소한다. 중요한 것은 척추각도가 가장 자연스러워야 하며 이를 위해 단 단하고 두꺼운 침요를 사용하거나 침요 밑에 넓은 판을 대준다. 온돌에서 자는 것 은 침요에서 자는 것보다 요통에 바람직하다.
2) 기립체위로 서있는 동안 의식적으로 허리를 바로 펴서 배와 엉덩이에 힘을 준다. 오랫동안 서 있을 때는 교대로 한쪽 다리로 서고 다른 다리는 발판에 올려 놓아 허리 긴장을 피한다. 등을 벽에 기대는 것도 좋은 효과가 있다.
3) 기립 시 불편한 사람은 걸을 때도 불편하다. 가볍게 걸으면서 통증이 많이 완화된 다. 높은 구두를 신으면 통증이 증가하므로 편한 신을 권장한다.
4) 의자는 편안하고 통증이 악화되지 않도록 단단하고 등이 곧은 의자를 사용하고 회 전의자나 바퀴달린 의자는 피한다. 그래서 등이 잘 지지되도록 한다. 오래 앉아 있을 때 허리가 아프면 2~3분씩 자주 일어서 걷거나 앉은 자세에는 한 다리를 얹 어 놓아 골반이 앞으로 기울어 짐을 방지한다.
- 운전할 때 의사가 허용할 때 까지는 운전을 하지 말아야 하고 운전을 할 때가 될 경우 자동차 의자의 높이와 거리를 조정한다. 장기간 운전이나 승차는 피하도록 한다.
- 물건을 들지 않는 것이 가장 좋지만 직업에 따라서는 피할 수 없는 경우가 있다. 이때 는 고관절과 무릎을 굽히고 물건을 몸체에 가까이 대면서 들어올린다. 팔을 뻗쳐서 드 는 경우 요추부에 긴장감이 증가되므로 팔을 굽혀 든다. 갑자기 힘을 주지 말고 물건을 끌기 보다는 미는 것이 좋다.
- 활동은 점진적으로 증가시키고 요통을 증가시키는 동작은 자제하도록 한다.
- 신전운동을 매일 해야 하며 물리치료를 해야 한다.
- 고열량식이를 섭취해야 하지만 단, 비만은 예방한다.
- 재발방지를 위해 적절한 휴식이 필요하다.
-흉추수술 환자일 경우 :
- 침상 밖으로 나오기 전에 보조기를 착용하고 제거한다.
- 침상밖으로 나올때 마다 보조기를 착용한다.
-경추수술 환자일 경우 :
- 항상 보조기를 착용하도록
- 보조기 착용 동안에는 운전하지 않도록
- 보조기 착용동안 문제시에는 의사에게 보고하도록
참고문헌
성인간호학 4, 김조자 외, 현문사
성인간호학 4, 이숙희 외, 수문사
최신 임상간호 매뉴얼, 최희숙 외, 현문사
-요추수술 환자일 경우:
- 올바른 자세 취하기
1) 누울 때 침상의 침요는 단단해야 한다. 침요가 단단하지 않으면 아침에 일어날 때 통증을 호소한다. 중요한 것은 척추각도가 가장 자연스러워야 하며 이를 위해 단 단하고 두꺼운 침요를 사용하거나 침요 밑에 넓은 판을 대준다. 온돌에서 자는 것 은 침요에서 자는 것보다 요통에 바람직하다.
2) 기립체위로 서있는 동안 의식적으로 허리를 바로 펴서 배와 엉덩이에 힘을 준다. 오랫동안 서 있을 때는 교대로 한쪽 다리로 서고 다른 다리는 발판에 올려 놓아 허리 긴장을 피한다. 등을 벽에 기대는 것도 좋은 효과가 있다.
3) 기립 시 불편한 사람은 걸을 때도 불편하다. 가볍게 걸으면서 통증이 많이 완화된 다. 높은 구두를 신으면 통증이 증가하므로 편한 신을 권장한다.
4) 의자는 편안하고 통증이 악화되지 않도록 단단하고 등이 곧은 의자를 사용하고 회 전의자나 바퀴달린 의자는 피한다. 그래서 등이 잘 지지되도록 한다. 오래 앉아 있을 때 허리가 아프면 2~3분씩 자주 일어서 걷거나 앉은 자세에는 한 다리를 얹 어 놓아 골반이 앞으로 기울어 짐을 방지한다.
- 운전할 때 의사가 허용할 때 까지는 운전을 하지 말아야 하고 운전을 할 때가 될 경우 자동차 의자의 높이와 거리를 조정한다. 장기간 운전이나 승차는 피하도록 한다.
- 물건을 들지 않는 것이 가장 좋지만 직업에 따라서는 피할 수 없는 경우가 있다. 이때 는 고관절과 무릎을 굽히고 물건을 몸체에 가까이 대면서 들어올린다. 팔을 뻗쳐서 드 는 경우 요추부에 긴장감이 증가되므로 팔을 굽혀 든다. 갑자기 힘을 주지 말고 물건을 끌기 보다는 미는 것이 좋다.
- 활동은 점진적으로 증가시키고 요통을 증가시키는 동작은 자제하도록 한다.
- 신전운동을 매일 해야 하며 물리치료를 해야 한다.
- 고열량식이를 섭취해야 하지만 단, 비만은 예방한다.
- 재발방지를 위해 적절한 휴식이 필요하다.
-흉추수술 환자일 경우 :
- 침상 밖으로 나오기 전에 보조기를 착용하고 제거한다.
- 침상밖으로 나올때 마다 보조기를 착용한다.
-경추수술 환자일 경우 :
- 항상 보조기를 착용하도록
- 보조기 착용 동안에는 운전하지 않도록
- 보조기 착용동안 문제시에는 의사에게 보고하도록
참고문헌
성인간호학 4, 김조자 외, 현문사
성인간호학 4, 이숙희 외, 수문사
최신 임상간호 매뉴얼, 최희숙 외, 현문사
키워드
추천자료
폐절제술 환자간호 발표수업
중환자실 두부손상 케이스 스터디
난청환자의간호
수혈환자간호
골절환자간호
[간경변증환자][위암수술환자][만성신부전환자][정상분만환자][천식환자]간경변증환자 케이스...
암환자간호 피피티 교육자료.
호흡&비뇨기계 환자간호
[모성간호학-환자사례 간호과정] 자궁경부 이형성증 (moderate cervical dysplasia) 케이스
간호과정-중환자실 (지주막하출혈)
[치매환자간호] 치매환자의 간호사정 및 간호계획(간호지침), 치매환자의 일반적인 간호방법
[수술시 영양관리] 수술환자 영양관리(수술 전과 수술 후 영양관리), 수술 종류에 따른 영양...
수술환자와 화상환자의 영양관리
[간호학] Peritonitis 환자간호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