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왜 만남인가.
◈사조, 너는 누구냐.
◈ 어떻게 만나는가.
◈ 나는 어떻게 만날 것인가. - 놀이성으로 만나기
◈사조, 너는 누구냐.
◈ 어떻게 만나는가.
◈ 나는 어떻게 만날 것인가. - 놀이성으로 만나기
본문내용
편, 놀이 속에는 복잡다단한 현실이 녹아있다. 즉, 아이들은 놀이 속에서 모방과 상상적 변형을 통해 현실의 삶을 자신이 스스로 조절하려고 노력한다. 그리고 진지한 그 작업을 통해 자신을 성장시켜나가는 것이다. 놀이가 아이들의 현실을 담아내고 있는 진지한 작업인 동시에, 아이들이 자신을 투사하여 끊임없이 상상적 변형을 이루어가는 과정이라고 볼 때, 아동청소년 연극을 만드는 전문연극인들이 이를 바탕으로 연극을 만들어야 할 이유가 분명해진다. 그것은 아이들이 연극을 볼 때, 그것을 놀이처럼 받아들이고 그것에 몰입할 수 있는 이유이기도 하고, 연극을 만드는 작업 속에서 연극인들도 그 놀이=연극을 통해 함께 성장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것은 비단 아이들을 대상으로 한 연극에서만 유효한 연극성은 아니다. 성인들을 대상으로 연극 속에서도 놀이성은 충분히 그들과 소통할 수 있는 중요한 통로가 된다. 인간은 기본적으로 ‘놀이하는 인간’으로서의 속성을 가지고 있으며 놀이가 문화를 이루는 중요한 속성이기도 하다는 점에서 볼 때 후이징하,『호모루덴스』
, 놀이성은 어른과 아이의 구분에 상관없이 연극을 관객에게 가까이 다가가게 할 수 있는 중요한 다리가 될 것이다.
그러나 이것은 비단 아이들을 대상으로 한 연극에서만 유효한 연극성은 아니다. 성인들을 대상으로 연극 속에서도 놀이성은 충분히 그들과 소통할 수 있는 중요한 통로가 된다. 인간은 기본적으로 ‘놀이하는 인간’으로서의 속성을 가지고 있으며 놀이가 문화를 이루는 중요한 속성이기도 하다는 점에서 볼 때 후이징하,『호모루덴스』
, 놀이성은 어른과 아이의 구분에 상관없이 연극을 관객에게 가까이 다가가게 할 수 있는 중요한 다리가 될 것이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