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초고층 빌딩의 정의
국가의 랜드마크 초고층 빌딩 개발 경쟁
초고층 건축물의 현황
성서 속의 재앙 – 바벨탑에 내린 신의 분노
초고층 빌딩과 경제 불황과의 상관관계 (원리)
초고층 빌딩은 경제위기를 부른다?
초고층 건축의 재앙
사례 1 엠파이어 스테이트 빌딩
해외 초고층 빌딩 건설과 관련한 경제위기
세계 대공황속에 엠파이어 스테이트 빌딩건설
사례 2 윌리스 타워 & 세계무역센터 빌딩
중동 오일쇼크로 소비심리 위축,경기 불황
사례3. 페트로나스 타워 & 버즈칼리파
1998년 한국 및 동남아에 외환위기 사태 IMF(미국식) 금융 개혁
사례4. 타이페이101
건물이 지어지지 않은 상태에서 근처에 규모 6.8의 지진이 발생 대형사고 발생
2007년 서브프라임 모기지 - 월가의 재앙 - 글로벌 경제위기 – 현재
2007년 월가 의 금융위기 , 서브프라임 모기지 사태 두바이 , 미국의 주택 경매
한국의 마천루 사례
한국의 마천루 공사 예정
서울의 랜드마크로서의 역할
용산 역세권 개발사업 좌초와 경제 위기
한국 초고층 개발 사업과 경제위기 이야기
송도국제도시건설과 금융위기
무리한 개발사업으로 인한 재정위기
잠실 제2 롯데타워 건설 진행의 난관
국가의 랜드마크 초고층 빌딩 개발 경쟁
초고층 건축물의 현황
성서 속의 재앙 – 바벨탑에 내린 신의 분노
초고층 빌딩과 경제 불황과의 상관관계 (원리)
초고층 빌딩은 경제위기를 부른다?
초고층 건축의 재앙
사례 1 엠파이어 스테이트 빌딩
해외 초고층 빌딩 건설과 관련한 경제위기
세계 대공황속에 엠파이어 스테이트 빌딩건설
사례 2 윌리스 타워 & 세계무역센터 빌딩
중동 오일쇼크로 소비심리 위축,경기 불황
사례3. 페트로나스 타워 & 버즈칼리파
1998년 한국 및 동남아에 외환위기 사태 IMF(미국식) 금융 개혁
사례4. 타이페이101
건물이 지어지지 않은 상태에서 근처에 규모 6.8의 지진이 발생 대형사고 발생
2007년 서브프라임 모기지 - 월가의 재앙 - 글로벌 경제위기 – 현재
2007년 월가 의 금융위기 , 서브프라임 모기지 사태 두바이 , 미국의 주택 경매
한국의 마천루 사례
한국의 마천루 공사 예정
서울의 랜드마크로서의 역할
용산 역세권 개발사업 좌초와 경제 위기
한국 초고층 개발 사업과 경제위기 이야기
송도국제도시건설과 금융위기
무리한 개발사업으로 인한 재정위기
잠실 제2 롯데타워 건설 진행의 난관
본문내용
마천루가 자부심과 성취감의 상징에서 그치는 것이 아니라 바벨탑처럼 자만심에 의해 비롯된 재앙을
불러일으킬 수 있는 요소로 작용
인간의 탐욕이 화를 가져올수 있다는 강한 암시로
초고층 빌딩 건설의 불길함을 예언적으로 시사
영국의 투자은행 바클레이즈 캐피탈 보도자료 인용
☞ 마천루 건축과 뒤따르는 재정위기 사이에는 “불건강한 연관관계”가 있다.
독일의 도이체방크의 애널리스트 랜드루 로런스의 대화 인용
☞ 마천루의 저주(Skyscraper curse) : 초고층 빌딩을 건설하고 난 다음에 국가가
파산되는 사례가 많음
엠파이어 스테이트 빌딩 (뉴욕, 381m, 1931년)
☞ 마천루 소개
: 1973년 세계무역센터가 완공 될 때까지 세계에서 가장 높은
건물이었음, 현재는 다시 뉴욕에서 가장 높은 건물임.
☞ “세계 대공황(Great Depression)” 시기와 일치
: 1929년부터 1940년까지 월 가에서 시작돼 전 세계를 휩쓴
대공황의 시기와 일치함
: 준공 후 미분양으로
Empty state 빌딩으로 불림
☞ 비슷한 시기에 뉴욕에서는
월드스트리트 빌딩과
크라이슬러 빌딩 등의
고층 빌딩을 건설함
불러일으킬 수 있는 요소로 작용
인간의 탐욕이 화를 가져올수 있다는 강한 암시로
초고층 빌딩 건설의 불길함을 예언적으로 시사
영국의 투자은행 바클레이즈 캐피탈 보도자료 인용
☞ 마천루 건축과 뒤따르는 재정위기 사이에는 “불건강한 연관관계”가 있다.
독일의 도이체방크의 애널리스트 랜드루 로런스의 대화 인용
☞ 마천루의 저주(Skyscraper curse) : 초고층 빌딩을 건설하고 난 다음에 국가가
파산되는 사례가 많음
엠파이어 스테이트 빌딩 (뉴욕, 381m, 1931년)
☞ 마천루 소개
: 1973년 세계무역센터가 완공 될 때까지 세계에서 가장 높은
건물이었음, 현재는 다시 뉴욕에서 가장 높은 건물임.
☞ “세계 대공황(Great Depression)” 시기와 일치
: 1929년부터 1940년까지 월 가에서 시작돼 전 세계를 휩쓴
대공황의 시기와 일치함
: 준공 후 미분양으로
Empty state 빌딩으로 불림
☞ 비슷한 시기에 뉴욕에서는
월드스트리트 빌딩과
크라이슬러 빌딩 등의
고층 빌딩을 건설함
키워드
추천자료
시대별건축의 형태 [1970 ∼ 1980]
주식시장
스타시티 현장견학을 다녀와서
[부동산간접투자][리츠-REITs]부동산간접투자(리츠-REITs) 심층 분석(부동산간접투자와 리츠-...
[경영학원론]대림산업 기업분석(A+리포트)
건축 코어/종류 및 설명
고전학파 공황론 발표용 파워포인트
[리모델링][리모델링시장][외국 리모델링 사례][리모델링과제]리모델링의 개념, 리모델링의 ...
[건축학] '세계건축기행'을 읽고..
고성능 콘크리트의 폭렬방지공법
[건축] 세계 대표적 철골 구조물
공동주택 성공사례 분석
올레 KT의 LTE시장에서의 마케팅전략 사례분석(VS SK텔레콤과 비교분석)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