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감상문 - 시민케인, 딥 포커스의 미학과 그 한계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영화감상문 - 시민케인, 딥 포커스의 미학과 그 한계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감독 소개
작품 소개

본문내용

다. 그는 케인의 삶을 추적했으나 관조적이었고, 마지막 순간에는 판단을 유보해버린다. 그렇기 때문에 <시민 케인>은 관객에게 대답하기 곤란한 질문을 던지지도 못했고, 관람 후에 논쟁할 거리를 만들지도 못했다. 비록 윌리엄 랜돌프 허스트라는 실존 인물을 모델로 했다고는 하나 1941년이라는 시대적 상황, 이야기의 배경이 된 대공황 시기의 사회적 모순을 첨예한 논쟁거리로 발전시키지는 못한 것으로 보인다. 새로운 영화문법과 뛰어난 연출력으로 만들어진 영화이기는 하지만 영화의 이야기 자체가 가진 과감성은 다소 무딘 느낌을 지울 수 없다. 시대와 호흡하지 못한 밋밋한 이야기의 한계는 형편없었던 당시의 흥행 성적이 반증하고 있을지도 모른다. 영화 형식에 대한 찬양을 잠시 접어둔 채 오늘날의 관객들이 고전 <시민 케인> 고유의 스토리를 통해 얻을 수 있는 것이 많은지는 다시 생각할 여지가 있다.
아버지의 영화인 <시민 케인> 이후로 오늘날의 영화는 수많은 시도를 해 왔다. 오손웰스가 이루고자 했던 영화 문법의 민주성을 위해 화면을 자르지 않고 끊임없이 긴 롱테이크 쇼트를 시도하기도 했으며, 내러티브 자체를 파괴해버리기도 했다. 딥 포커스식 화면 읽기는 3D 영화라는 형태로 뜬금없이 관객들에게 돌아오기도 했다. 오늘날 <시민 케인> 을 다시 본다는 것은 우리가 보고 있는 다양한 영화들의 근원을 목격한다는 것에서 의미가 있을 것이다. 하지만 지나친 성역화로 <시민 케인>을 대하는 것은 문제가 있다. 오손웰스의 <시민 케인>은 한 세기에 가깝게 영화인들의 귀감이 되었으며 현재의 영화는 그로부터 이미 먼 길을 걸어왔다.
  • 가격8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15.12.26
  • 저작시기2015.9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99108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