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것은 운동선수들은 동기화 시키는데 효과적으로 작용하기도 한다. 그러나 핵심은 항상 그렇지만은 않다는 것이다. 외적인 강화인자가 그 힘을 잃게 되는 경우도 있다. 그래서 외적인 강화인자가 유용하다는 점도 있지만 동기를 파괴하는 잠재성을 지니고 있다는 점을 알고 있어야 한다. 첫째, 외적보상은 운동 참가 초기 내적동기가 부족할 때 흥미를 유발시키는데 효과적으로 사용된다. 동기부여에 능숙한 부모들이나 코치는 외적보상을 차츰 줄여나가서 스포츠가 가지고 있는 본질적인 내적보상을 강조한다. 예를 들어, 한 소년이 부모의 권유에 의해서 축구를 시작했거나 멋있고 빛나는 유니폼을 입고 싶은 마음에서 축구를 시작했다. 그러나 시간이 흐르면 축구에 애착을 가지게 되고 스포츠를 계속하고자 하는 깊은 내적동기가 생겨나게 된다. 둘째, 부모나 코치는 어린 선수들에게 외적보상이 자신들에게 어떤 의미를 가지는지 이해할 수 있도록 도와주어야 한다. 선수에게 메달이나 트로피가 가지는 진정한 의미에 대하여 일깨워 줘야 한다. 그것을 통해 자신이 가지는 목표성취에 대한 긍지와 동기를 마음속에서 영원히 빛나게 해주어야 한다. 마지막으로 가장 중요한 것은 개인의 목표가 다른 사람들로부터 지지받고 양성될 수 있는 동기적 환경을 만드는 것이다, 목표는 저마다 최상의 수행을 추구 하면서 서로 동기화 되고 보상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든다. 동기의 외적자원이 코치나 팀 리더로부터 나와야 한다는 것은 잘못된 생각이다. 선수들 간에 서로 보상이 될 때, 코치들은 일일이 조작을 하거나 통제 할 필요가 없으며 자결성의 감정과 내적동기의 환경은 발달하게 된다.
추천자료
사회체육학개론 장소에 따른 사회체육의 형태
[사회체육학개론] 장소에 따른 사회체육형태
[특수체육] 특수체육의 개념, 발전 과정, 역할, 각종 체육프로그램 및 장애인 특수체육
체육과 체육사회학
지역사회체육과 학교체육의 연계방안
[체육교육]양성평등 체육교육의 실태 및 바람직한 개선방안
생활체육의 참여실태와 활성화방안 - 생활체육의 목표와 역할, 참가정도, 참여 효과와 실태, ...
[체육사]서양체육사
학교체육과 지역 사회체육의 연계
한국의 체육(체육활동), 일본의 체육(체육활동), 벨기에의 체육(체육활동), 러시아의 체육(체...
사회 체육의 활성화 방안, 프랑스와 호주의 사회체육 실태, 현대사회에서 사회체육의 필요성
체육행정관리과정, 체육행정조직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