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시너지 이론
1.1 시너지 이론이란
1.2 재무시너지와 영업시너지
1.3 시너지 효과의 측정
2 대리인 이론
2.1 대리인 이론이란
2.2 대리인 비용과 기업합병
3 세금효과 이론
3.1 세금효과 이론이란
3.2 세금효과와 기업합병
4. 기타 M&A이론
1.1 시너지 이론이란
1.2 재무시너지와 영업시너지
1.3 시너지 효과의 측정
2 대리인 이론
2.1 대리인 이론이란
2.2 대리인 비용과 기업합병
3 세금효과 이론
3.1 세금효과 이론이란
3.2 세금효과와 기업합병
4. 기타 M&A이론
본문내용
론이다.
4.3 저평가 이론
- 저평가 이론(undervaluation theory)은 대상기업이 보유하는 자산의 시장가치가 인수 측이 자체적으로 개발하는 경우에 소요되는 대체비용보다 작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M&A가 일어난다고 하는 이론이다. 이 때 평가기준으로 제시되는 것이 토빈의 q비율(Tobin's q ratio)이다. 토빈의 q는 기업의 평가가 금융시장과 실물시장에서 각기 달라지게 되므로 이 차이의 정도를 추정하기 위한 비율이다.
※ q = 주가 / 1주당 순자산액(자기자본)의 시가
즉, 만일 q>1이면 실물자산에 비해 주가가 고평가되어 있으므로 투자가 촉진되어야 함을 의미한다. 반대로 q<1이면 실물자산에 비해 주가가 저평가되어 이 회사의 주식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게 되는 것을 의미한다.
4.3 저평가 이론
- 저평가 이론(undervaluation theory)은 대상기업이 보유하는 자산의 시장가치가 인수 측이 자체적으로 개발하는 경우에 소요되는 대체비용보다 작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M&A가 일어난다고 하는 이론이다. 이 때 평가기준으로 제시되는 것이 토빈의 q비율(Tobin's q ratio)이다. 토빈의 q는 기업의 평가가 금융시장과 실물시장에서 각기 달라지게 되므로 이 차이의 정도를 추정하기 위한 비율이다.
※ q = 주가 / 1주당 순자산액(자기자본)의 시가
즉, 만일 q>1이면 실물자산에 비해 주가가 고평가되어 있으므로 투자가 촉진되어야 함을 의미한다. 반대로 q<1이면 실물자산에 비해 주가가 저평가되어 이 회사의 주식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게 되는 것을 의미한다.
추천자료
M&A(기업인수합병)의 유형, M&A(기업인수합병)의 동기에 관한 이론, M&A(기업인...
재무관리의 기초개념 및 재무분석과 재무계획
재무관리의 기초개념과 재무분석과 재무계획에 대하여 서술하시오
재무관리의 기초개념 및 재무분석과 재무계획
NI접근법 NOI접근법 전통적 접근법 비교 MM의 자본구조이론
은행합병(은행인수합병)의 개념과 배경, 은행합병(은행인수합병)의 이론, 은행합병(은행인수...
재무분석(경영분석, 기업경영분석)의 정의, 유형, 재무분석(경영분석, 기업경영분석)의 필요...
[퍼지][비퍼지화][퍼지집합 확장원리]퍼지와 비퍼지화, 퍼지와 퍼지집합 확장원리, 퍼지와 카...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사회체계이론의 주요개념 정리
CAPM [capital asset pricing model : 자본자산 가격결정모형] (CAPM의 이론적 배경, CAPM의 ...
고객만족(CS)의 정의, 고객만족(CS)의 비교이론, 고객만족(CS)의 선행연구, 고객만족(CS)의 ...
재무관리 (financial management) - 재무관리의 개념 & 병원조직의 재무관리.pot
정부 3.0 - 행정 이론적 평가 및 통계청 사례를 중심으로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