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실험 목적
2. 관련 이론
가. 전파위상제어(Full-wave Phase Control)
나. 반파 위상제어 : 수동부하에 공급하는 제어정류기
3. 실험 요약
4. 실험 순서
가. 전파위상제어
나. 반파위상제어
다. 수동부하(Passive Load)에 공급하는 제어 정류기
5. 검토 및 결론
2. 관련 이론
가. 전파위상제어(Full-wave Phase Control)
나. 반파 위상제어 : 수동부하에 공급하는 제어정류기
3. 실험 요약
4. 실험 순서
가. 전파위상제어
나. 반파위상제어
다. 수동부하(Passive Load)에 공급하는 제어 정류기
5. 검토 및 결론
본문내용
c
(V)
e1
(V)
R1
(Ω)
120
2.5
10
150
300
60
220
1.5
5
250
600
220
그림 7-7 전파위상제어의 회로
■ 8. 다음의 값들을 설정한다.
Power Supply
전압표시 선택단자 4-N
사이리스터 점호회로
ANGLE CONTROL COMPLEMENT O
ANGLE CONTROL ARC COSINE O
FIRING CONTROL MODE 1 ~
DC SOURCE MIN
오실로스코프
채널-1감도 5 V/DIV.(DC coupled)
채널-2감도 5 V/DIV.(DC coupled)
시간설정 5 ms/DIV.
트리거 LINE
■ 9. Power Supply에서 전압조절단자는 0에 설정하고 주 전원스위치가 I(ON)의 위치에 두도록 한다. 전압조절단자는 100(%)가 되게 설정한다.
DC SOURCE 조절에 의해 사이리스터 점호장치에 점호각(Firing Angle)을 변화시킨다. 출력파형의 변화를 기술하고 부하에 전달된 전력의 영향을 기술하시오.
Power Supply상에서 전압조절단자는 0에 맞추고, 주 전원스위치는 O(OFF)에 둔다.
이 회로의 동작을 설명하시오.
나. 반파위상제어
■10. 그림 7-8에 보여진 회로를 구성한다.
LINE
VOLTAGE
R1
(Ω)
e1
(V)
I1dc
(mA)
120
60
300
500
220
220
600
300
그림 7-8 사이리스터의 양단전압을 측정하기 위한 회로
■ 11. Power Supply에서 주 전원스위치를 I(ON)에 둔다. 전압조절단자는 100(%)로 한다. 오실로스코프로 관측하는 동안 사이리스터점호장치에 점호각을 변화시킨다.
Firing Angle을 120°로 조정하고 그림 7-9에 그린다.
■ 12. Power Supply에서 전압조절단자는 0에 맞춘다. 그리고 주 전원스위치는O(OFF)에 둔다. 회로에서 전압 Isolator를 분리하고, 그림 7-10에 보여진 바와 같이 부하양단에 연결한다.
그림 7-9 사이리스터의 전압파형( 120°)
그림 7-10 부하양단전압을 측정하기 위한 회로
Power Supply상에 주 전원스위치를 I(ON)에 둔다. 전압조절단자는 100(%)로 한다. 오실로스코로 관측하는 동안 사이리스터 점호장치에 FIRING ANGLE을 변화시킨다.
FIRING ANGLE을 120°에 맞추고, 그림 7-9에 파형을 그린다.
점호각이 120°일 때 사이리스터의 도통각는 얼마인가?
도통각 =。
Power Supply상에 전압조절단자는 0으로 맞추고 주 전원 스위치는 O(OFF)에 둔다.
다. 수동부하(Passive Load)에 공급하는 제어 정류기
■ 13. 저항부하를 이용하는 그림 7-11의 회로를 구성한다.
LINE
VOLTAGE
I1 dc (A)
i1 (A)
E1dc (V)
e1 (V)
R
R+L
120
2.5
10
150
300
60Ω
60Ω, 0.2H
220
1.5
5
300
600
220Ω
220Ω, 0.8H
그림 7-11 수동부하에 공급하는 제어정류기
■ 14. Power Supply상에 주 전원스위치를 I(ON)에 둔다. 전압조절단자는 100%에 둔다. FIRING ANGLE을 변화시키고 오실로스코프로 관찰한다.
사이리스터 점호장치에 점호각을 45°에 맞춘다. 그림 7-12 에 전압 및 전류파형을 그리고, 표 7-1를 완성하시오.
그림 7-12 전압과 전류파형(α=45°)
부하
출력전압
(V)
출력전류
(A)
출력
= ×
(W)
도통각
(Degree)
(a) 저항부하
(b) 유도부하
표 7-1 제어정류회로의 측정값 (α = 45°)
Power Supply에 전압조절단자를 0에 맞추고 주 전원스위치는 O(OFF)에 둔다.
■ 15. 부하를 유도부하로 바꾼다.
Power Supply에서 주 전원스위치를 I(ON)에 둔다. 전압조절단자는 100(%)로 한다.
전압과 전류파형을 그림 7-12에 그린다.
표 7-1의 두 번째열을 완성한다.
Power Supply에서 전압조절단자를 0 에 둔다. 주 전원 스위치는 O(OFF)에 둔다.
순수 저항부하의 경우에 비해 왜 유도부하가 도통기간이 길어지는가?
유도부하는 평균전압 및 전류에 어떤 변화가 있는가?
이 정류회로와 다이오드 반파정류회로와는 어떤 차이가 있는가?
■ 16. 그림 7-13에 보여준 회로에 환류다이오드를 부가한다. Power Supply에서 주 전원 스위치는 I(ON)에 둔다. 그리고 전압조절단자를 100(%)에 둔다.
그림 7-13 환류다이오드를 갖는 정류회로
표 7-2를 완성하시오.
부하
출력전압
(V)
출력전류
(A)
출력
= ×
(W)
유도부하
표 7-2 α = 45°에서 환류다이오드를 갖는 제어정류기의 측정값
환류다이오드의 사용은 회로동작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
Power Supply상에 전압조절단자는 0 에 둔다. 그리고 주 전원스위치는 O(OFF)로 한다.
■ 17. Power supply에서 전압조절단자는 0 으로 한다. 그리고 전원스위치와 24V AC스위치는 O(OFF)에 둔다. Enclosure/Power Supply의 로커스위치는 O(OFF)에 둔다. 모든 리드선과 케이블은 제거한다.
5. 검토 및 결론
① 사이리스터의 게이트펄스의 동기를 맞추기 위해 단상교류의 어느 부분이 사용되는가?
단상 교류가 영점을 지나는 부분이 사용된다.
② 기준점에서 사이리스터회로에 게이트펄스는 왜 지연되어야만 하는가?
게이트펄스의 지연각을 점호각이라하며 게이트 펄스가 투입되는 시점에서 싸이리스터가 도통된다. 따라서 지연각을 이용하여 전력의 전달을 제어한다.
③ 전파교류위상제어 회로에서 두 사이리스터에 공급되는 게이트펄스의 관계는 어떤가?
전파교류제어는 AC위상제어로 부하로 공급되는 AC 전력을 제어한다. 따라서 각 반주기마다 게이트 펄스가 공급되어야 하므로 180o 위상차의 관계를 갖는다.
④ 사이리스터에 대한 전원은 왜 무효전력을 공급해야만 하는가?
게이트펄스의 점호각에 따라 싸이리스터의 도통시점이 결정되므로 부하에 공급되는 전압, 전류의 파형은 정현파의 일부분으로 비정현파이다. 따라서 전력은 비정현파의 곱이 되므로 무효전력을 요구하게 된다.
(V)
e1
(V)
R1
(Ω)
120
2.5
10
150
300
60
220
1.5
5
250
600
220
그림 7-7 전파위상제어의 회로
■ 8. 다음의 값들을 설정한다.
Power Supply
전압표시 선택단자 4-N
사이리스터 점호회로
ANGLE CONTROL COMPLEMENT O
ANGLE CONTROL ARC COSINE O
FIRING CONTROL MODE 1 ~
DC SOURCE MIN
오실로스코프
채널-1감도 5 V/DIV.(DC coupled)
채널-2감도 5 V/DIV.(DC coupled)
시간설정 5 ms/DIV.
트리거 LINE
■ 9. Power Supply에서 전압조절단자는 0에 설정하고 주 전원스위치가 I(ON)의 위치에 두도록 한다. 전압조절단자는 100(%)가 되게 설정한다.
DC SOURCE 조절에 의해 사이리스터 점호장치에 점호각(Firing Angle)을 변화시킨다. 출력파형의 변화를 기술하고 부하에 전달된 전력의 영향을 기술하시오.
Power Supply상에서 전압조절단자는 0에 맞추고, 주 전원스위치는 O(OFF)에 둔다.
이 회로의 동작을 설명하시오.
나. 반파위상제어
■10. 그림 7-8에 보여진 회로를 구성한다.
LINE
VOLTAGE
R1
(Ω)
e1
(V)
I1dc
(mA)
120
60
300
500
220
220
600
300
그림 7-8 사이리스터의 양단전압을 측정하기 위한 회로
■ 11. Power Supply에서 주 전원스위치를 I(ON)에 둔다. 전압조절단자는 100(%)로 한다. 오실로스코프로 관측하는 동안 사이리스터점호장치에 점호각을 변화시킨다.
Firing Angle을 120°로 조정하고 그림 7-9에 그린다.
■ 12. Power Supply에서 전압조절단자는 0에 맞춘다. 그리고 주 전원스위치는O(OFF)에 둔다. 회로에서 전압 Isolator를 분리하고, 그림 7-10에 보여진 바와 같이 부하양단에 연결한다.
그림 7-9 사이리스터의 전압파형( 120°)
그림 7-10 부하양단전압을 측정하기 위한 회로
Power Supply상에 주 전원스위치를 I(ON)에 둔다. 전압조절단자는 100(%)로 한다. 오실로스코로 관측하는 동안 사이리스터 점호장치에 FIRING ANGLE을 변화시킨다.
FIRING ANGLE을 120°에 맞추고, 그림 7-9에 파형을 그린다.
점호각이 120°일 때 사이리스터의 도통각는 얼마인가?
도통각 =。
Power Supply상에 전압조절단자는 0으로 맞추고 주 전원 스위치는 O(OFF)에 둔다.
다. 수동부하(Passive Load)에 공급하는 제어 정류기
■ 13. 저항부하를 이용하는 그림 7-11의 회로를 구성한다.
LINE
VOLTAGE
I1 dc (A)
i1 (A)
E1dc (V)
e1 (V)
R
R+L
120
2.5
10
150
300
60Ω
60Ω, 0.2H
220
1.5
5
300
600
220Ω
220Ω, 0.8H
그림 7-11 수동부하에 공급하는 제어정류기
■ 14. Power Supply상에 주 전원스위치를 I(ON)에 둔다. 전압조절단자는 100%에 둔다. FIRING ANGLE을 변화시키고 오실로스코프로 관찰한다.
사이리스터 점호장치에 점호각을 45°에 맞춘다. 그림 7-12 에 전압 및 전류파형을 그리고, 표 7-1를 완성하시오.
그림 7-12 전압과 전류파형(α=45°)
부하
출력전압
(V)
출력전류
(A)
출력
= ×
(W)
도통각
(Degree)
(a) 저항부하
(b) 유도부하
표 7-1 제어정류회로의 측정값 (α = 45°)
Power Supply에 전압조절단자를 0에 맞추고 주 전원스위치는 O(OFF)에 둔다.
■ 15. 부하를 유도부하로 바꾼다.
Power Supply에서 주 전원스위치를 I(ON)에 둔다. 전압조절단자는 100(%)로 한다.
전압과 전류파형을 그림 7-12에 그린다.
표 7-1의 두 번째열을 완성한다.
Power Supply에서 전압조절단자를 0 에 둔다. 주 전원 스위치는 O(OFF)에 둔다.
순수 저항부하의 경우에 비해 왜 유도부하가 도통기간이 길어지는가?
유도부하는 평균전압 및 전류에 어떤 변화가 있는가?
이 정류회로와 다이오드 반파정류회로와는 어떤 차이가 있는가?
■ 16. 그림 7-13에 보여준 회로에 환류다이오드를 부가한다. Power Supply에서 주 전원 스위치는 I(ON)에 둔다. 그리고 전압조절단자를 100(%)에 둔다.
그림 7-13 환류다이오드를 갖는 정류회로
표 7-2를 완성하시오.
부하
출력전압
(V)
출력전류
(A)
출력
= ×
(W)
유도부하
표 7-2 α = 45°에서 환류다이오드를 갖는 제어정류기의 측정값
환류다이오드의 사용은 회로동작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
Power Supply상에 전압조절단자는 0 에 둔다. 그리고 주 전원스위치는 O(OFF)로 한다.
■ 17. Power supply에서 전압조절단자는 0 으로 한다. 그리고 전원스위치와 24V AC스위치는 O(OFF)에 둔다. Enclosure/Power Supply의 로커스위치는 O(OFF)에 둔다. 모든 리드선과 케이블은 제거한다.
5. 검토 및 결론
① 사이리스터의 게이트펄스의 동기를 맞추기 위해 단상교류의 어느 부분이 사용되는가?
단상 교류가 영점을 지나는 부분이 사용된다.
② 기준점에서 사이리스터회로에 게이트펄스는 왜 지연되어야만 하는가?
게이트펄스의 지연각을 점호각이라하며 게이트 펄스가 투입되는 시점에서 싸이리스터가 도통된다. 따라서 지연각을 이용하여 전력의 전달을 제어한다.
③ 전파교류위상제어 회로에서 두 사이리스터에 공급되는 게이트펄스의 관계는 어떤가?
전파교류제어는 AC위상제어로 부하로 공급되는 AC 전력을 제어한다. 따라서 각 반주기마다 게이트 펄스가 공급되어야 하므로 180o 위상차의 관계를 갖는다.
④ 사이리스터에 대한 전원은 왜 무효전력을 공급해야만 하는가?
게이트펄스의 점호각에 따라 싸이리스터의 도통시점이 결정되므로 부하에 공급되는 전압, 전류의 파형은 정현파의 일부분으로 비정현파이다. 따라서 전력은 비정현파의 곱이 되므로 무효전력을 요구하게 된다.
추천자료
정보사회 (정보화사회) 의 문제점과 대책
GIS 용어정리 B
자동차 구조 원리 요약
탐침형 탄소나노튜브의 원리와 응용
심전도 실험과 산소 측정기 실험
무선 LAN (Wireless LAN)기술
pzt 압전세라믹스 현장실습 보고서
[DRM][디지털저작권관리][디지털저작권보호]디지털저작물에 대한 DRM(디지털저작권관리), 저...
[음반산업][음악산업]음반산업(음악산업)의 개념, 음반산업(음악산업)의 역사, 음반산업(음악...
RFID의 활성화 방안
Matlab을 활용한 편광설계!
채동번의 당나라역사소설 당사통속연의 82회 83회 84회 한문 및 한글번역
미래 자동차산업 그 변화의 핵심융합기술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