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서론
2. 본론
(1) 순수와 오염
(2) 집단성(Group)과 행동준칙(Grid)
1)강한 집단성(group) / 강한행동준칙(grid)
2)강한 집단성(group) / 약한 행동준칙(grid)
3)약한 집단성(group) / 강한 행동준칙(grid)
4)약한 집단성(group) / 약한 행동준칙(grid)
(3) 한국 문화에 적용
(4) 비판
3. 결론
2. 본론
(1) 순수와 오염
(2) 집단성(Group)과 행동준칙(Grid)
1)강한 집단성(group) / 강한행동준칙(grid)
2)강한 집단성(group) / 약한 행동준칙(grid)
3)약한 집단성(group) / 강한 행동준칙(grid)
4)약한 집단성(group) / 약한 행동준칙(grid)
(3) 한국 문화에 적용
(4) 비판
3. 결론
본문내용
대한 인터넷 상/혹은 현실상의 개인의 사회 매장, 갈등이 생겼을 때 내부분쟁이 심하며 ‘반대 의견은 지하로 잠적하며 사회유지를 강화’하려는 태도를 보았을 때엔 강한 집단성/약한 행동준칙의 양상을 보이고 있으며, 경쟁이 치열한 사회이며 개인과 소집단의 결합으로 집단적 관계가 결정된다는 점(개인 대 혈연/지연/학연)에서 약한 집단성/강한 행동준칙의 양상을 보이고 있다.
(4) 비판
지금까지 메리 더글라스의 ‘순수와 오염’, ‘집단성과 행동준칙’등을 한국의 문화에 적용하여 한국의 문화적 특성을 알아보고 분석해보았다. 메리 더글라스의 이론에 따르면, 우리나라는 우리나라에서의 유교윤리를 바탕으로 한 ‘문화적 규범’에 의해 ‘순수한 것과 더러운 것’을 구분하고, 이를 사람들이 실제 생활에 적용하여 행동양식에 제한을 두거나 사고하는 데에 영향을 받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집단성과 행동준칙’에 따른 양식구분과, 그에 따라 우리나라에 적용된 ‘강한 집단성/약한 행동준칙’의 특징을 앎으로써 우리의 문화적 문제점이나 취약성, 특징등을 파악하는 데에 도움을 주었다고 볼 수 있겠다.
그러나 더글라스의 주장에도 역시 문제점이 있다. 더글라스는 강한 집단성/약한 행동준칙의 사회가 곧 농경사회의 패턴이며 음식을 분류할 때 육식동물을 먹는 행위를 금한다는 과장된 주장은 어딘가 일반화시키는 데에 문제가 있음을 지나치지 않을 수 없다. 또한 우리가 더글라스의 추론을 그럴듯한 것으로 받아들인다 할지라도 특정 사회가 행동준치/집단성 도식의 어디에 속하는 지 어떻게 결정할 수 있을 것인가에 대한 문제도 남아있다. 실제 보는 시각에 따라 한국사회에서 ‘강한집단성/약한 행동준칙’과 정반대 양상인 ‘약한 집단성/강한 행동준칙’의 특징을 동시에 발견할 수 있다는 점은, 더글라스의 이론의 문제점이 무엇인지 발견할 수 있다. 즉, 이 이론은 지나치게 일반론적이며 단선적인 구조를 따르고 있음을 우리는 발견할 수밖에 없다는 것이다.
‘순수와 오염’ 이론에서도 그 집단의 사람들의 윤리적 관점과 금기하는 것에 대해 발견할 수 있다는 점에서는 획기적인 것일 수 있으나, 그것을 발견한다는 것 그 이상, 그 이하의 가치를 가질 수 없다는 점에서 취약성을 지니고 있다고 볼 수 있겠다.
3. 결론
현대 사회는 한 가지 시각으로만 바라볼 수 없을 정도로 복잡하고 상호 유기적이다. 메리 더글라스의 이론은 그녀가 원하던 ‘통문화적 시각’으로 해당 문화를 바라보는 데에 어느 정도 도움이 될 수 있다는 점을 우리는 본론에서 한국 문화에 직접 적용하며 그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더글라스의 이론은 확실한 주장과 함께 확정적 대답을 얻을 수 있는 가능성을 지닌 반면 반대로 지나치게 일반화되고 단선적인 구조와, ‘그 구조를 적용할 때에 어떻게 분류를 할 것인가’에 대한 문제점을 지니고 있다는 것 또한 확인 할 수 있었다. 그녀의 구조를 조금 더 세분화시키고, 구조를 분류할 때에 조건에 대해 조금 더 확실한 조건을 건다면 더글라스의 이론이 좀 더 유리하게 문화 연구에 작용할 수 있지 않을까 생각해본다.
(4) 비판
지금까지 메리 더글라스의 ‘순수와 오염’, ‘집단성과 행동준칙’등을 한국의 문화에 적용하여 한국의 문화적 특성을 알아보고 분석해보았다. 메리 더글라스의 이론에 따르면, 우리나라는 우리나라에서의 유교윤리를 바탕으로 한 ‘문화적 규범’에 의해 ‘순수한 것과 더러운 것’을 구분하고, 이를 사람들이 실제 생활에 적용하여 행동양식에 제한을 두거나 사고하는 데에 영향을 받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집단성과 행동준칙’에 따른 양식구분과, 그에 따라 우리나라에 적용된 ‘강한 집단성/약한 행동준칙’의 특징을 앎으로써 우리의 문화적 문제점이나 취약성, 특징등을 파악하는 데에 도움을 주었다고 볼 수 있겠다.
그러나 더글라스의 주장에도 역시 문제점이 있다. 더글라스는 강한 집단성/약한 행동준칙의 사회가 곧 농경사회의 패턴이며 음식을 분류할 때 육식동물을 먹는 행위를 금한다는 과장된 주장은 어딘가 일반화시키는 데에 문제가 있음을 지나치지 않을 수 없다. 또한 우리가 더글라스의 추론을 그럴듯한 것으로 받아들인다 할지라도 특정 사회가 행동준치/집단성 도식의 어디에 속하는 지 어떻게 결정할 수 있을 것인가에 대한 문제도 남아있다. 실제 보는 시각에 따라 한국사회에서 ‘강한집단성/약한 행동준칙’과 정반대 양상인 ‘약한 집단성/강한 행동준칙’의 특징을 동시에 발견할 수 있다는 점은, 더글라스의 이론의 문제점이 무엇인지 발견할 수 있다. 즉, 이 이론은 지나치게 일반론적이며 단선적인 구조를 따르고 있음을 우리는 발견할 수밖에 없다는 것이다.
‘순수와 오염’ 이론에서도 그 집단의 사람들의 윤리적 관점과 금기하는 것에 대해 발견할 수 있다는 점에서는 획기적인 것일 수 있으나, 그것을 발견한다는 것 그 이상, 그 이하의 가치를 가질 수 없다는 점에서 취약성을 지니고 있다고 볼 수 있겠다.
3. 결론
현대 사회는 한 가지 시각으로만 바라볼 수 없을 정도로 복잡하고 상호 유기적이다. 메리 더글라스의 이론은 그녀가 원하던 ‘통문화적 시각’으로 해당 문화를 바라보는 데에 어느 정도 도움이 될 수 있다는 점을 우리는 본론에서 한국 문화에 직접 적용하며 그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더글라스의 이론은 확실한 주장과 함께 확정적 대답을 얻을 수 있는 가능성을 지닌 반면 반대로 지나치게 일반화되고 단선적인 구조와, ‘그 구조를 적용할 때에 어떻게 분류를 할 것인가’에 대한 문제점을 지니고 있다는 것 또한 확인 할 수 있었다. 그녀의 구조를 조금 더 세분화시키고, 구조를 분류할 때에 조건에 대해 조금 더 확실한 조건을 건다면 더글라스의 이론이 좀 더 유리하게 문화 연구에 작용할 수 있지 않을까 생각해본다.
소개글